•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바울의 복음에 대한 로마서 1:18의 γάρ와 하박국 2:4의 해석학적 기능, 그리고 새 관점 (Interpretation of the Role of γάρ in Romans 1:18 and Habakkuk 2:4 for Paul’s Gospel and Brief Dialogue with the New Perspective)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20.09
45P 미리보기
바울의 복음에 대한 로마서 1:18의 γάρ와 하박국 2:4의 해석학적 기능, 그리고 새 관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신약학회
    · 수록지 정보 : 신약논단 / 27권 / 3호 / 643 ~ 687페이지
    · 저자명 : 이승현

    초록

    한글 성경에서 번역되지 않은 채 공백으로 남아있는 로마서 1:18의 γάρ 는 단순히 과도적인 요소로 간주되어 공백 속에 묻히기에는 그 해석학적기능이 너무 크다. 헬라어 접속사 γάρ는 하나님의 진노로 표현되는 하나님의 의에 대한 소개를 통하여 로마서 1:18-3:20을 바울 복음의 핵심을 담고 있는 1:16-17에 긴밀하게 연결시킨다. 그리고 이어지는 하나님의 신실함의 표현으로서 구원을 가져오는 하나님의 의(3:21-4:25)의 개념과 함께왜 바울의 복음이 구원을 주는 능력인 하나님의 의의 계시를 담고 있는지, 그리고 왜 바울이 자신의 복음을 부끄러워하지 않는지에 대한 중요한이유를 제공한다. 사실 로마서 1:18의 γάρ에 담긴 이와 같은 해석학적 중요성은 1:17에 인용된 하박국 2:4에 대한 바울의 이해를 자세히 설명해주는 기능을 하기 때문이다. 하박국의 맥락에서 하나님의 백성을 향한 그의신실함은 그들을 향한 미래의 구원을 제공한 데서 발견된다. 그러나 하나님의 의는 하나님의 백성을 향한 신실함으로 표현되기에 앞서, 그들의 죄에 대한 의로운 심판으로 먼저 표현되어야 한다. 따라서 하박국의 의인은 하나님의 심판 너머에 존재하는 하나님의 구원에 대한 약속을 굳게 신뢰하고 믿는 이스라엘의 남은 자를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로마서 1:16-4:25에서 바울은 이러한 하박국의 예언의 빛 아래서 자신의 복음이 품은 하나님의 의의 계시를 심판과 구원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바울은 하나님의 의가 하나님의 신실함의 표현으로서 가져오는 종말론적 구원을 경험할 바른 방식으로 성도들의 믿음을 요구한다. 하박국과 유사하게, 바울에게 이 믿음은 아브라함과 사라의 죽은 것과 같은 몸에도 불구하고, 자손에 대한 하나님의 약속을 믿고 신뢰한 아브라함의 인내하는 믿음에서 가장 잘 보여진다. 물론 바울은 성도들과 아브라함의 공통적인 믿음의 대상으로 ‘그 약속의 자손’인 예수를 제시한다. 로마서 1-4장에 대한 이러한 관찰을 중심으로 본 논문은 소위 새 관점 학자들이 제시한 다양한 해석학적 도전들과의 비판적이고도 생산적인 대화를 시도한다. 이 시도는 옛 관점과 새 관점이라는 단순하고 경직된 이분법적 갈등의 도식 아래서 동일한 결론들만을 반복해서 재생산하는 ‘해석학적 수용소’(hermeneutical ghetto) 현상을 넘어서, 보다 더 긍정적이고 생산적인 방향으로 바울을 해석하도록 격려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Greek particle γάρ in Romans 1:18, which is left untranslated in the Korean Bible translations, has so much hermeneutical importance that it should not be left untranslated in blank, simply considered as a transitional particle. The Greek conjunction γάρ connects Romans 1:18-3:20 to 1:16-17, where the key idea of Paul’s Gospel is found, through introducing the idea of God’s righteousness as an expression of God’s wrath. Moreover, through the idea of God’s righteousness as an expression of God’s faithfulness, it offers a reason why Paul’s Gospel reveals God’s righteousness as the power of salvation and why he is not ashamed of the crucified messiah Jesus’ Gospel. The hermeneutical significance of γάρ in Romans 1:18 is because it explains how Paul interprets Habakkuk 2:4 quoted in Romans 1:17. In Habakkuk’s context, God’s faithfulness toward his people is found in his offering of future salvation for them. However, Habakkuk claims that before God’s righteousness is expressed as his faithfulness to his people, it should be first expressed as God’s righteous judgment of their sins. In this context, Habakkuk’s righteous man appears as Israel’s remnant who endures the coming judgment of God through his firm belief in God’s promise of future salvation. Likewise, in the light of Habakkuk’s prophecy of God’s salvation in the midst of coming judgment, Paul in Romans 1:16-4:25 offers the revelation of God’s righteousness through the Gospel from the perspectives of God’s judgment and salvation. Then, Paul encourages the believers to show faith as a right way of experiencing God’s eschatological salvation as an expression of his faithfulness. Similarly to Habakkuk, for Paul this faith is best shown in that of Abraham. Abraham trusted and believed in God’s promise of the descendant, while facing ‘dead bodies’ of Sarah and himself. Of course, Paul presents the promised seed of Jesus as the object of the faith of Abraham as well as the believers. After having analyzed Paul’s hermeneutical development of Habakkuk 2:4 in Romans 1-4, we will then try to engage in short, but positive and productive dialogue with various aspects of the New Perspective on Paul. Through this dialogue, we try to overcome the phenomenon of hermeneutical ghetto in which scholars keep producing and reproducing same conclusions on and on based upon a strict dichotomy between the Old and the New Perspectives. We will encourage scholars to go beyond this strict dichotomy to interpret Paul in a more positive and productive mann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약논단”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