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므나의 비유’(눅 19:11-28)에 반영된 초기 그리스도교와 바리새적 유대교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ukan Community and the Pharisaic Community Reflected in the Parable of the Ten Minas (Luke 19:11-28))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6.09
40P 미리보기
‘므나의 비유’(눅 19:11-28)에 반영된 초기 그리스도교와 바리새적 유대교의 관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신약학회
    · 수록지 정보 : 신약논단 / 23권 / 3호 / 647 ~ 686페이지
    · 저자명 : 이승문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소위 ‘므나의 비유’(눅 19:11-28)에 반영된 초기그리스도교와 바리새적 유대교의 관계, 즉 누가공동체와 바리새파 공동체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고찰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비유에 대한 기존의연구사를 살펴보고, 비유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중심으로 각각 두 공동체와 연관된 그룹 모델들을 상정하고 그 역학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즉, ‘세 번째 나아 온 종과 남은 종들’(19:20-27)을 ‘누가 공동체’의 이상적모델로 그리고 ‘처음에 나아 온 두 종들’(19:16-19)을 ‘바리새파 공동체 내의 소시민 그룹’을 위한 모델로 설정하였으며, ‘귀인’(19:12-15)을 ‘바리새파공동체의 지도자 그룹인 서기관들’을 위한 모델로 제시하였다. 이 모델의 설정으로 공동체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다루었다. 이 비유에서 먼저, 세 번째 종이 잔악한 경제적 수탈자인 귀인에게 항거하는 적대관계를 통해서 누가 공동체와 바리새파 공동체의 지도자 그룹과의 관계가적대 관계였음을 규정하였다. 이 비유를 통해 누가는 소시민 그룹에 속하는 바리새인들이 바리새파 공동체의 지도자들인 서기관들로부터 이탈하여 누가 공동체로 들어 올 수있도록 장려한다. 특히, 누가는 이 비유를 통해, 귀인의 이미지를 바리새파 공동체의 지도자 그룹인 서기관들에게 투영함으로 그들이 예수를 죽이는 주동자였음을 지적하고 과부의 가산을 등쳐먹는 잔악하고 파렴치한 자들로 규정한다. 이를 통해 누가는 누가 공동체 구성원들이 자신의 공동체로부터 바리새파 공동체에로의 이탈을 사전에 방지하고 더 나아가 어떠한상황에서라도 인내하며 죽음까지도 당당하게 극복하도록 격려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mainly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ukan community and the Pharisaic community reflected in Luke 19: 11-28. After a brief survey of previous studies on this parable, I propose to delineate a model group for each community focusing on characters in the parable, and then show the dynamics of interaction between the two groups. I identify the third slave and the rest of slaves (19:20-27) as the ideal model for the Lukan community, the first and second slaves (19:16-19) as the model for a lower-class group in the Pharisaic community and the nobleman (19:12-15) as the model for a leading group of scribes in the Pharisaic community. Based on such identifications, I suggest that the two communities interacted in the following manner. First, a hostile relationship between the Lukan community and the leading group of the Pharisaic community is envisaged by the nobleman’s economic exploitation and the third slave’s resistance to it in the parable. Then, the other two slaves are seen in alliance with the third slave, which indicates a possible alliance between the Lukan community and the lower-class group in the Pharisaic community. In the end Luke encourages the lower-class group in the Pharisaic community to separate from the scribes and join the Lukan community. Luke ascribes the main responsibility for killing an innocent man to the leading group of the Pharisaic community who are pictured in the parable as the brutal exploiter of widow’s possessions. By discouraging the members of the his own community from joining the Pharisaic community, Luke exhorts them to endure all hardships and overcome even dea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약논단”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