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왕이 된 새샙이> 설화의 서사적 특성과 의미 (The meaning and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fable; )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07.06
33P 미리보기
&lt;왕이 된 새샙이&gt; 설화의 서사적 특성과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겨레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겨레어문학 / 38호 / 133 ~ 165페이지
    · 저자명 : 김종군

    초록

    이글의 목적은 <왕이 된 새샙이>유형의 서사구조를 비교 분석하여 그 선본을 산정해 보고, 서사의 특성을 밝히는데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 이 설화와 긴밀하게 관련된 주변 이야기들과 비교를 통해 서사 계통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이글에서는 ‘새를 잡아먹고 살던 곤궁한 총각이 미인 아내를 얻었다가 왕에게 빼앗기고, 왕비가 마련한 걸인 잔치에서 새털 옷을 입고 참석하여 왕을 죽이고 자신이 왕이 된 이야기’를 <왕이 된 새샙이>설화로 유형 명칭을 삼는다.
    이 설화의 특화된 화소는 ‘아내의 초상화’와 ‘석 삼년 공부’, ‘새털옷을 입고 아내 찾기’이다. 이 특징적 화소를 통해 이 설화의 본질적인 의미를 살펴보면, 선견지명과 지인지감을 겸비한 여주인공이 남주인공의 활쏘기 실력과 자신에게 접근하는 용기를 통해 장래를 전망하고 남편을 삼았지만, 남주인공은 함께 살게 된 현실에 안주하는 소박한 포부를 드러낸다. 이에 도박과도 같은 모험으로 자신의 미모를 화상으로 그려 왕에게 알리고 징발하게 하고 이별의 순간에 자신을 구출하라는 소박한 당부가 아니라 왕재를 갖추어서 왕궁으로 잠입하라는 치밀한 계책을 전한다. 그리고 여색에 빠져 방탕하게 지내는 왕은 군주로서의 자격이 없으므로 마땅히 징치되어야 하고 실력을 쌓은 열정적인 남주인공이 왕위에 앉는 것이 마땅하다는 당위성을 부여하는 결말구조를 드러내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 설화의 서사적 특성이 ‘관탈민녀형’ 구조를 띠고 있어 <우렁각시>설화와 서사적 교착이 일어나고, 또 ‘남성출세돕기형’ 구조를 띠고 있어 <내복에 산다>나 <복진 며느리>설화와 교착이 일어나지만, 전체 서사 맥락에서 이 설화만의 특징적 화소인 ‘아내의 초상화’, ‘석 삼년 공부’, ‘새털두루마기’ 등과는 어울림이 유기적이지 못해 이 이야기는 독자적인 영역의 설화로 볼 수 있다.
    이 설화는 관탈민녀형 서사의 비극적 결말구조를 극복하고, 남편출세돕기형 서사에 민중적 소망을 확충하여 결합한 구조에, 활 잘 쏘아 아내 얻는 서사의 투쟁 요소를 극적 흥미 요소로 가미하여 형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narrative structure of <Saesaebi who became King(왕이 된 새샙이)> pattern, arrange those kind of collection, and then figure out the story characteristics. And going further to find out the story system through comparison with other closely related stories around this narrative.
    ‘A poor bachelor who caught and ate birds married a beauty and got her snatched by a King. This poor bachelor participated in the party prepared by a Queen, he wore cloth made with feathers for this party and he killed the King and he put himself into the throne.’ This is <Saesaebi who became King(왕이 된 새샙이)> story pattern.
    The narrative character of this story reveals the structure as ‘normal lady from government’, so this is complicated with story <WoorungGagsi(우렁각시)>, and <Saesaebi who became King(왕이 된 새샙이)> shows ‘support husband to be prosperous’, complicating with <Living upon my own fortune(내 복에 산다)> and <blessing daughter in law(복진 며느리)> though, in the context of this whole story, there are special narrative factors like ‘portrait of wife’, ‘9 year study’ and ‘feather coat’, which are not harmonious one another, so this story is to be regarded as independent category.
    This story came over ending in catastrophe of ‘normal lady from government’, narrative of ‘support husband to be prosperous’ mixed up with the strucuter of people’s wishes, and added with a combat factor of ‘getting wife by perfect arching’ as dramatic interesting facto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겨레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