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성경 히브리어 동사형태 연구: 시간, 상, 양태를 중심으로 (Aspect, Tense and Modality in Biblical Hebrew)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1.03
33P 미리보기
성경 히브리어 동사형태 연구: 시간, 상, 양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개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개혁논총 / 17권 / 41 ~ 73페이지
    · 저자명 : 우상혁

    초록

    성경 히브리어 동사체계에 대한 연구는 오래 전부터 있었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하였다. 앞으로 이 분야는 계속 연구되어야 한다. 성경 히브리어 동사체계에 대한기존의 논의를 이해하고 앞으로 발전된 연구를 위하여 이 분야에서 사용되는 기본적 문법 범주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동사체계 논의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문법범주는 바로 상, 시제, 양태이다. 본 논문에서는 19세기 이후 활발하게 논의된 연구결과과 그 과정을 이 세 개념을 중심으로 소개한다. 지금까지 지배적 역할을 하였던 것은 19세기 이후 시작된 에발트와 드라이브의 상 이론이었다. 하지만 오늘날은상 이론 자체도 많이 발전하였을 뿐 아니라, 일반 언어학의 도움으로 시제와 양태역시 성경 히브리어 동사체계 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논문은 성경본문의 구체적 예와 역사적 발전 과정을 통하여 상과 시제, 양태가 동사형태에 내장된 정보를 읽는 문법적 도구임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This paper tries to explain the grammatical categories such as aspect, tense and modality explored in the field of biblical hebrew, specially concerning verbal system. In the middle age a jewish circle considered that the verbal system of biblical hebrew was a tense system. Since Ewald and Driver in the 19th century, a theory of aspect which was the dominant one among scholars regards the verbal system as perfect vs. imperfect. According to Ewald and Driver, the perfect describes an event as complete and the imperfect as incomplete, irrespective of temporal frame. But now the aspect theory of the 19th century h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new aspect theory which also has a binary concept, perfective vs. imperfective, the perfective looks at the situation from outside, without necessarily distinguishing any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ituation, whereas the imperfective looks at the situation from inside. And a tense theory has also evolved in comparison to the tense theory of the jewish in the middle age. The tense system involves the relationships among three temporal points: that of the speech (S), the event (E), and the reference of point (R). In a tense system, R may or may not coincide with S. R may be past to the speaker (R<S), it may be simultaneous (R=S), or it may be future (R>S). In this manner, a tense does not situate a process in time, but rather orders it relative to a point of reference as Binnick observes. Modality is generally defined as involving the speaker's attitude or opinion toward an utterance. There are two kind of Modality: epistemic and deontic. Currently, aspect, tense and modality operates in relationship with one another. Deontic modality involves the speaker's will, whereas epistemic modality the speaker's judgment. The definitions of three categories introduced in this paper might contribute to understanding of an actual debates among scholars and our research can help the exegete, the predicator and translator of the Old Testa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개혁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