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상윳따 니까야 인연상응(Nidāna-Saṃyutta)의 연기 유형 (On the Formulation of Dependent Origination(Paṭiccasamuppāda) at Nidānasaṃyutta in the Saṃyuttanikāya)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09.02
33P 미리보기
상윳따 니까야 인연상응(Nidāna-Saṃyutta)의 연기 유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도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철학 / 26호 / 177 ~ 209페이지
    · 저자명 : 김홍미

    초록

    이 글은 깨달음 직후 붓다의 내적 사유로 연기설이 배대된 원인을 비교적 이른 전승에 속하는 상윳따 니까야 인연상응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이 텍스트에서 연기라는 주제로 묶여진 경전은 모두 93개이다. 다시 이것을 갈애, 식과 명색, 무명, 행들이라는 4가지의 기준으로 분류한 것은 다양한 연기설이 공통으로 지향하는 해탈도의 특징을 찾기 위해서이다. 이 분류에 따르면 연기설의 모든 유형은 재생의 관념을 내포하고 있으며 반야에 의한 통찰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즉 바른 삼매에 의한 해탈도가 아니라는 것이다. 연기설에서 반야에 의한 통찰은 고통을 소멸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지며, 구체적으로 고통이 일어나는 원인들을 재생으로 이끄는 직접적인 원인까지 소급하여 분석한 다음, 그 정점에 놓인 원인의 철저한 이욕과 소멸로부터 거기에서 파생된 결과를 하나씩 소멸하는 과정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노사라는 고통에 직면한 자의 문제 제기(여리작의나 숙고) 및 그 인과관계를 반야에 의해 통찰하는 과정으로 설명되기도 하며, 노사~행들까지의 구성요소 하나하나를 4제와 동일한 방식으로 분명하게 아는 차제에서 그 근간을 이루기도 한다. 한마디로 연기설은 반야에 의한 통찰의 다양한 실례를 보여준다는 것이다. 더욱이 반야에 의한 무명의 제거가 불교 해탈도의 중심을 이루는 내용임을 감안할 때, 그 사실여부를 떠나 율장편찬자들이 12연기설을 깨달음 직후에 배대한 이유를 유추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thus attempts to outline an alternative reading of that the theory of dependent origination(paṭiccasamuppāda) is virtually equated with inner exploration of the Buddha's complete enlightenment. It is generally considered that dependent origination, especially in the form of the twelvefold chain of dependent origina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Buddha's enlightenment. Owing to locus of the form of the twelvefold chain of dependent origination has presented before "First Sermon" after Supreme and Perfect Enlightenment in Pali-Vinaya. Therefore it has been read as Buddha's own inner witness by many Buddhists in later times.
    But from a Frauwallner point of view, it is obvious that this tenet not having been thaught by Buddha, at least not in an early period of his long preaching. Thus why the form of the twelvefold chain of dependent origination is purposefully incorporated into Basket of Discipline, as the Buddha's enlightenment by the Theravādins?
    In order to explain their intension behind, this article is concerned with the Book of Causation(Nidānasaṃyutta;因緣相應) which collects into ninety-three short suttas directed to dependent origination in the Saṃyutta-Nikāya Ⅱ. I find various chains of cause, prerequisites, and consequences and their chains are intimately linked with the origin and cessation of whole mass of suffering in this text. First of all, I shall direct my attention here to the series known as the 4-chains of the origination of suffering dependent on conditions, beginning with craving(taṅhā), perception(viññāṇa) and name-form(namarūpa), will-impulses(saṅkhārā), ignorance(avijjā). They are root causes of suffering and lead to the production of furture renewed existence, future rebirth, aging-and-death.
    But in this text, the path of discriminating insight(paññā) is described to eliminates root causes of aging-and-death as rebirth of suffering and developed through various stages, for example, discrimination of a causes and prerequisites of series-Buddha's careful attention(yoniso manasikāra) or the noble disciple's thorough investigation-looking upon with right discriminating insight(sammapññāya). Above all, this method has been regarded that best of the path toward salvation, as released from rebirth and suffering. Moreover, the form of the twelvefold chain of dependent origination is coupled with discriminating insight directly. For that reason, probably it has introduced the Buddha's enlightenment by the Theravādins, as Buddha's own inner wit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도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