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래법적 관점에서 헌법상 “표현의 자유”의 쟁점 (Legislative Plan regard to ‘Freedom of Expression’ under the Constitution from Futuristic Perspective)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20.12
33P 미리보기
미래법적 관점에서 헌법상 “표현의 자유”의 쟁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국헌법학회
    · 수록지 정보 : 미국헌법연구 / 31권 / 3호 / 271 ~ 303페이지
    · 저자명 : 지성우

    초록

    한국 헌법상 ‘표현의 자유’라 함은 헌법 제21조의 ‘언론・출판의 자유’와 ‘집회・결사의 자유’를 총칭하는 개념으로서, 대체로 언론・출판의 자유는 ‘언론기관을 통한 표현의 자유’로, 집회・결사의 자유는 ‘다수의 집합적 의사에 의한 표현의 자유’이다.
    민주주의는 사회 내 여러 다양한 사상과 의견이 자유로운 교환 과정을 통하여 모든 국민들에게 전달되고 자유로운 비판과 토론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때에 비로소 실현된다. 또한 언론・출판의 자유는 인간이 그 생활 속에서 지각하고 사고한 결과를 자유롭게 외부에 표출하고 타인과 소통하여 스스로 공동 사회의 일원으로 포섭되는 동시에 자신의 인격을 발현하는 가장 유효하고도 직접적인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표현의 자유는 상호간의 의사소통을 통해 민주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여론을 형성하는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인간이 갖는 기본권 가운데 가장 원초적이면서도 핵심적인 기본권이다.
    한국에서는 진리의 발견을 위해 사상의 자유를 최대한 확보하려고 부단히 노력해왔다. 한국에서의 사상과 표현의 자유 역시 매우 단기간에 선진 각국의 역사와 유사한 과정을 겪으면서 발전해왔다. ‘개인 표현의 자유’는 국민 개개인이 방해받지 않고 자기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는 주관적 권리에 속하는 반면, 신문・방송과 같은 매체가 향유하는 ‘언론(표현)의 자유’는 개인의 주관적 권리 이상의 성격을 가진다.
    표현의 자유는 사람의 내심의 정신 작용을 외부로 향해 공표하는 정신 활동의 자유를 말한다. 내심의 정신 작용을 외부로 표현하는 모든 표현 행위는 표현의 자유 대상이 된다. 헌법 제21조에서는 일반적인 법률에 의한 기본권 제한과 아울러 몇 개의 중요 기본권에 대해서는 헌법에서 특별히 직접 기본권 제한의 가능성을 규정하고 있다.
    시대의 변화와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매체가 등장하고 있지만 표현의 자유는 여전히 정신적 자유와 정치적 자유의 핵심이자 다른 모든 기본권의 중핵을 구성하는 ‘근본적인 기본권’로서 ‘우월적 지위’(preferred position)를 누리는 헌법의 중추적 기본권이 될 것이다. 미래 정보화사회에서 표현의 자유는 사생활의 자유, 통신의 자유, 알권리 등과 상호유기적으로 작용하는 통합적인 ‘의사소통기본권’으로 발전해나감으로써 개방적인 헌법을 지향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Freedom of expression’ under the current Korean Constitution is a generic term for ‘freedom of speech and the press’ and ‘freedom of assembly and association’ from article 21 of the Constitution. In general, freedom of speech and the press indicates ‘freedom of expression via media’; freedom of assembly and association implies ‘freedom of expression by collective decision-making’.
    Democracy can only be realized when various thoughts and opinions of society are delivered to all people freely; and when active critical analysis and debate is guaranteed. Moreover, freedom of speech and the press performs as the most effective and direct means that facilitate individuals to openly express what they have contemplated and enable them to embrace themselves as a member of society. Forming public opinion by virtue of mutual communication, freedom of expression is the most primitive and essential right of all the human rights.
    In Korea, unceasing effort has been given to secure freedom of thought fo rdiscovery of the truth. On its way of development, freedom of thought and expression in korean society has undergone a process analogous to that of advanced countries in a short period of time. While ‘individual freedom of expression’ is a subjective right for people to represent their ideas un impededly, ‘freedom o fthe press’ relished by the massmedia is more than that.
    Freedom of expression is the freedom of mental activity which is to manifestones’ thinking. All the behaviors that reveal individuals’ mental operation are under the protection of freedom of expression. In association with the clause for general restriction on human rights, article 21 of the Korean Constitution constitutes alimitation on exercising the freedom of expression.
    Not withstanding the emergence of diverse media pursuant to technology development, freedom of expression will still enjoy ‘preferred position’ as ‘the fundamental human right’ constructing the nucleus of all the other rights.
    Consequently, freedom of expression should pave the way for flexible interpretation of the Constitution by evolvingin to collective ‘communication right’, which will work organically with the right to privacy, freedom of communication and the right to kno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국헌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