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항공안전법」상 항공기 등록제도 개선방안 연구 (Study on the aircraft registration under「Aviation Safety Act」)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22.06
42P 미리보기
「항공안전법」상 항공기 등록제도 개선방안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성균관법학 / 34권 / 2호 / 81 ~ 122페이지
    · 저자명 : 김은정

    초록

    우리나라의 항공 산업은 지난 50년 동안 세계 6위 수준으로 급성장하였으며, 이와 함께 국내 항공운송사업자들은 지속적인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항공 산업은 우리나라의 경제성장과 그 궤를 같이하면서 기존의 9개 항공사에 2019년 3월 3개의 법인이 운송사업면허를 취득하고 운송사업을 시작하면서 그 규모를 점차 확장해 나가고 있다.
    각 국가가 제한적으로 취항할 수 있는 국제항공 노선에서 어떠한 항공사가 이에 취항할 수 있는지에 관한 항공운송협정에 따르면 “지정 항공사는 반드시 그 국가의 국민이 그 항공사를 실질적으로 소유하고 사실상 지배해야 한다는 소위 ‘실질적 소유 및 사실상 지배(doctrine of substantial ownership and effective control)’를 요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를 포함한 각국의 경우에는 이를 국내법에 반영하여 운영하고 있다.
    국내 항공에 관한 법제는 본래 구 항공법에서 다루어져 왔으나, 2016년 항공과 운항 등 안전관리와 항공운송사업에 관한 내용이 분법 됨에 따라 항공기등록과 관리 등은「항공안전법」에서, 항공운송사업에 관한 사항은 「항공사업법」에서 관련 내용을 각각 규정하고 있다. 이에 항공기를 소유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항공안전법」에 따라 동 항공기를 등록하여야 하며, 항공운송사업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등록된 항공기를 바탕으로 「항공사업법」에 따라 항공운송사업 면허를 부여받아야 한다. 현 「항공안전법」에서 정하고 있는 항공기 등록제도의 경우에는 외국인의 주식 또는 지분의 보유 시 1/2을 초과하는 경우 등 항공운송사업에 있어서의 국적 항공사의 국제항공노선에 대한 국가 간 운송협정에 대한 실질적 소유와 사실상적 지배요건을 충족하기 위한 요건을 정하고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항공기의 등록 시 외국인의 지분율 등 실질적 소유에 관한 제한 요건은 본래 국가 간의 영공의 범위 확정과 맞물려 국적기의 개념 확립을 통하여 국가 간의 항공협정을 위한 것으로부터 시작되었으며, 현재에도 그러한 취지에서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항공기의 등록에 관한 제한 요건은 사실상 지배 등의 개념에 관한 세부 요건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또 실질적 소유에 있어서도 외국인 지분율 등의 50% 제한이라는 엄격한 기준만을 정하고 있어 국내 기업의 경영상 제한 또는 외국인 투자의 제한을 초래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취지를 고려한 완화된 기준 마련을 위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본다. 기업의 경우 투자금의 확보는 신규 사업 등 경영상 중요한 재원 마련 수단인데, 자본시장의 글로벌화로 외국인 투자 비중의 증가되는 상황에서 국외로부터의 자본의 확보는 국내의 한정적 재원마련 상황에서 매우 중요한 기업의 성장 동력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항공기 등록제도에 관한 국내 제도와 주요 국가의 항공기 등록제도를 비교․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현행「항공안전법」 상 항공기 등록제도의 본래의 취지에 부합하는 개선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처럼 합리적인 실질적 소유에 관한 기준 완화와 명확화에 관한 개선방안은 항공기 등록 시 업무 추진에 있어서 발생하는 시간적․행정적 비용의 감축과 항공운송사업자의 유연한 투자 확보와 경영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현행 제도와 실무상 제기될 수 있는 문제점 해결에 있어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영어초록

    Over the past fifty years the aviation industry of South Korea has grown rapidly to reach the world’s No.6 position, and the country’s air transport business has developed equally rapidly. In March 2019, three more businesses joined the country’s air transport industry, in which nine airlines were already operating, in step with the country’s rising economic growth. International aviation service agreements stipulate that an airliner designated by a country shall follow ‘doctrine of substantial ownership and effective control’ by its people. Most countries, including Korea, reflect this doctrine in their domestic laws. However, non-profit private aircraft are not subject to this agreement.
    Matters pertaining to aircraft and air transport business are stipulated in the country’s Aviation Safety Act and its Aviation Business Act. (The two Acts used to be incorporated into one under the Aviation Act.) A party that intends to own an aircraft should register it under the Aviation Safety Act. A business that intends to engage in air transport business should obtain the mandatory license under the Aviation Business Act. The Aviation Safety Act stipulates that a corporation at least half of whose shares or equity stakes are owned by a foreign national, foreign government or foreign corporation, or whose business is substantially controlled by such a party, shall not be allowed to be registered in the country. It can be said that this clause is intended to meet the doctrine concerning a flag carrier airline operating on international air routes as mentioned earlier.
    For a business, the securing of investment is an important means of obtaining financial resources for its overall operation, including starting a new business. The securing of capital from a source outside the country is a very important engine that can pull a business forward, especially when the domestic economy is in a tough situation. As such, the restriction on the registration of an airliner where foreigners account for a certain portion of equity shares is a major inhibitive factor for businesses.
    As noted in the foregoing, the restriction on foreigners’ equity shares and Doctrine of Substantial Ownership in the registration of aircraft in a given country started with aviation service agreements designed to establish the concept of flag carriers. The said restriction is in place for just such a purpos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ew whether it corresponds to the original purpose to apply the restriction related to foreigners’ equity shares even to aircraft owned by a non-airliner for non-profit purposes. The restriction on the registration of aircraft in such a situation may be viewed as a measure aimed at restricting the ownership of aircraft essential for the normal operation of a domestic business, and such a restriction may result in limiting foreign investment, which is not stipulated even in the Commercial 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at the current system of aircraft registration be operated in a way that corresponds to the original purpose of the Aviation Safety Act based on an examination of the status of domestic businesses’ ownership of aircraft, the status of foreigners’ equity shares in domestic listed companies, and the results of a comparison and analysis of major countries’ systems of aircraft registration. A review of a means of placing a reasonable restriction on foreigners’ equity shares would go a long way towards settling the issues raised about businesses’ ownership of aircraft, enhance the efficacy of the system for having businesses’ ownership of aircraft registered, and enhance foreigners’ equity shares in domestic business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성균관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