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韓國語 二次 敍述 構文의 意味 辨別과 相 構造 (A Study on Syntax and Semantics of Korean Secondary Predicate Constructions, Depictives and Resultative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1.03
26P 미리보기
韓國語 二次 敍述 構文의 意味 辨別과 相 構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 39권 / 1호 / 7 ~ 32페이지
    · 저자명 : 이찬규, 이성수

    초록

    이 논문은 韓國語 二次 敍述語 構文의 두 有形인 描寫構文과 結果構文의 자료를 기초로 하여 두 構文이 相的 構造에 있어 차이를 보이는 경험적인 증거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本稿에서는 한국어 描寫構文과 結果構文이 形態論的으로 구분됨을 주장한다. 描寫構文에 출현하는 형태소 {-아{서)}는 두 개의 요소로 구성되며, 여기서 {-아}는 狀態의 持續을 의미하고, {-서}는 前後의 時間關係를 의미한다. 반면 結果構文에 출현하는 형태소 {-게}는 단일 요소로서 특정 상태에 도달을 의미하는데, 여기에는 시간관계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런 時間關係는 T(ense)로의 투사 여부에 따라 描寫構文과 結果構文으로 구분되는데, 描寫構文은 T의 투사이며, 結果構文은 T의 투사이다 결과구문은 투사가 아니다. 따라서 상이한 두 형태소 {-아(서)}와 {-게}의 의미는 描寫構文과 結果構文의 相的特性, 즉 未結atelic)과 完結telic에 반영되고, 이것은 각각 「-동안」과 「-만에」테스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ddresses the syntax and semantics of Korean secondary predicate constructions, depictives and resultatives. In doing so we argue that they are separated morphologically, that is, they are marked by different particles, {-a(se)} and {-ke} respectively. They differ in their lexical compositions: {-a(se)} is a contracted form of two syntactic items {-a-} and {-se}, and the former means the duration of a state, a predicate marker and the latter exhibits the time-relation between two events, that is a temporal event sequencer. Whereas {-ke} is merely a predicate marker, a complementiser without a temporal relation. Then depictives are T-projections and relsultatives are non T-projections. So we propose that two different morphemes {-a(se)} and {-ke} reflect the different aspectual structures between Korean dipictives and resultatives, that is atelic vs. telic. We can identify those properties with the test 「-tongan」 vs. 「-mane」 respectively.
    Korean, however, is not the only language available with morphological differences in two types of constructions. It is relevant in languages like Japanese and Finnish. But such a claim is not readily applicable in languages like English, due to a superficial syntactic similarity between depictives and resultatives. So we propose a language typology abided by morphological distinction:(i) a language typology abided by morphological distinction a. morphologically attested:① attested in verb/adjective secondary predicates: Korean, Finnish ② attested in noun secondary predicates: Japanese b. morphologically not-attested ① but distinct in the position: Chinese ② non-distinct in the position: English, Germ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語文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