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尙書』 放伐 대목의 理想 논리와 現實의 편린 (The Ideal Logic and Some Reality of Bangbeol Described in 『Sangseo』)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4.08
37P 미리보기
『尙書』 放伐 대목의 理想 논리와 現實의 편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한문학연구 / 39권 / 39호 / 195 ~ 231페이지
    · 저자명 : 유영옥

    초록

    『상서』에 수록된 전쟁은 모두 義戰인데, 의전은 征伐과 放伐로 구분된다. 『상서』 속 정벌은 天子의 질서에 不順不服한 惡人을 제거하는 전쟁이고, 방벌은 湯武가 폭군 桀紂를 제거한 역성혁명을 가리킨다.
    『상서』에서 義戰 지휘자는 모두 출전하기 직전 군사들에게 맹세하여, 의전의 당위성을 역설하고 전투에 진력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특히 방벌 때는 폭군의 極惡한 죄상을 거듭 언급하고, 또 民心을 얻은 至德者가 天命을 받은 天吏가 되어 폭군을 제거하고 生民을 구한다는 말을 반복하여, 방벌이 정당한 혁명임을 무한히 강조하였다.
    『상서』는 天命이 不常하여 매번 至德者에게로 옮겨가, 殷이 夏를 대신하고 周가 殷을 대신하여 새로 천명을 받았음을 누차 언급하였다. 그래서 민심과 천명을 잃은 걸주는 더 이상 天子가 아니라 ‘獨夫[一夫]’로 전락했기에, 그들을 공격하는 일은 쿠데타가 되지 않는다. 이로 보면 이상적인 방벌이란 첫째 걸주 같은 極惡과 둘째 탕무 같은 至德의 조건이 맞물려 弔民伐罪의 목적을 이룰 때만 비로소 정당하다.
    한편, 『상서』의 방벌 대목은 군사들에게 심혈을 기울여 명령을 수행하라는 마지막 당부의 맹세를 하면서, 만약 전투에 성심껏 임하지 않으면 너 자신과 처자식까지 죽이겠다[孥戮汝]고 매섭게 경고했으며, 또 피가 흘러 방패가 떠다닌다[血流漂杵]는 끔찍한 전투 상황도 전하고 있다.
    주자와 채침은 ‘혈류표저’를 殷人이 相攻하여 발생한 大略의 事實로 이해했지만, 맹자는 이 말을 믿지 않아 “『상서』를 다 믿는 것은 『상서』가 없는 것만 못하다”고 하였다. 왜냐면 맹자는 東征에 西夷가 원망하고 짐승이 그 뿔을 땅에 대듯 生民이 湯武에 순종하므로 방벌은 전투할 것도 없이 승리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조선의 경학가들도 맹자처럼 이 말을 믿지 않는 학자들이 자못 많았다.
    그러나 방벌도 결국 전쟁이므로 필연적으로 유혈을 수반하다. 이 점을 감안하면, 孥戮汝도 과하지 않고 血流漂杵도 사실이 아니라고 예단할 수는 없다. 『상서』의 방벌은 至當하여 천하무적이지만 한편으로는 유혈의 片鱗도 존재한다. 그 까닭은 『상서』가 經典이자 史書이므로, 이론과 실제의 차이 내지 이상과 현실의 차이를 은미하게 머금고 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Wars described in 『Sangseo』 are all ‘eujeon(義戰)’ which means a war for justice. Eujeon is classified into ‘jeongbeol(征伐)’ and ‘bangbeol(放伐)’. Here, jeongbeol means a war that the son of the heaven takes to get rid of vicious men who refuse to obey to him. While, bangbeol means a kind of dynastic revolution whose purpose is to remove the tyrant.
    According to 『Sangseo』, the commander of euijeon vowed to his soldiers before going to war. In case of bangbeol, especially, he continued to emphasize that the war was a legitimate revolution by repeatedly mentioning atrocious crimes of the tyrant and addressing that the man of highest virtue should remove the tyrant and save the people as a heavenly servant who received a mandate from the heaven[obtained support from the public].
    『Sangseo』 describes that the heavenly mandate moved from kings Jie and Zhou both of whom had lost the support of the people because of their atrocities to another kings Tang and Wu. In consequence, both the tyrants were already ‘dokbu[Ilbu]’ meaning men who became powerless due to the loss of popularity. Therefore, attacking them didn’t be viewed as a coup.
    The commander of bangbeol requested his soldiers to devote themselves to the war, and bowed “noryukyeo(孥戮汝): I shall kill not only you, but also your wife and children”, if they don’t try their best. In addition to this threatening warning, 『Sangseo』 described a tragic situation of battles like “hyeolryupyojeo(血流漂杵): blood is flowing enough to make shields float over.”Both Zhu-zi and Cai-shen considered as real words found in 『Sangseo』 like “blood is flowing enough to make shields float over”. But Meng-zi didn’t believe in those words. He said “Believing in all descriptions of 『Sangseo』 is not as much as the no existence of the literature itself”. This is because Meng-zi thought that if a man of highest virtue conquests the tyrant of highest vice, all people of that tyrant would surrender themselves and become the almighty power supporting the man of highest virtue, so there could be nothing but triumph without any battle. Many scholars of the Joseon period agreed with Meng-zi.
    However, bangbeol is essentially a war, so it inevitably involves blooding. When this is considered, noryukyeo mentioned by Cai-shen is not exaggerated. And it seems it’s not sure that hyeolryu pyojeo is not a historical fact. 『Sangseo』 is a scripture and simultaneously a historic literature. Thus, underlying the publication’s descriptions of almighty power created based on the ultimate legitimacy of bangbeol on one hand and bloody situations on the other band is difference between theory and practice, or between ideal and re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