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재판상 자백의 성립기준으로서 불리한 사실 (The Meaning of Unfavorable Facts as a Criterion for Establishing an Admission before the Court)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24.09
23P 미리보기
재판상 자백의 성립기준으로서 불리한 사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북대학교 부설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75권 / 159 ~ 181페이지
    · 저자명 : 유병현

    초록

    민사소송에서 재판상 자백의 성립기준과 관련하여, ‘자기에게 불이익한 사실’의 개념에 관해 패소가능성설과 증명책임설의 대립이 있다. 전자는 재판상 자백은 상대방의 주장사실이 판결의 기초로 채택되면 소송의 전부 또는 일부가 패소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라고 보는 견해이고, 후자는 상대방에게 증명책임이 있는 사실을 인정하는 진술이라고 본다. 대법원은 패소가능성설을 취하고 있다. 그런데 자백의 구속력의 근거는 민사소송의 기본원칙인 변론주의이다. 변론주의로 인해서 당사자가 주장한 사실에 대한 증명의 필요성을 당사자가 정하하게 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자백이 성립하기 위한 요건으로서 ‘불리한 사실’이란 ‘상대방에게 증명책임이 있는 사실을 인정하는 진술’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증명책임은 소송의 승패를 좌우하는 것이므로 미리 정해진 요건사실에 대한 증명책임 분배기준에 따라 당사자 주장의 유·불리를 판단해야만 소송절차의 안정을 꾀할 수 있다. 증명책임을 기준으로 자백의 성립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야 당사자는 증명책임 내지 주장책임을 고려하여 사실을 자유롭게 주장하거나 또는 철회할 수 있다. 민사소송의 이상인 적정한 재판을 위해서는 자백의 구속력을 변론주의가 허용되는 범위내로 제한하는 것이 당사자주의와 직권주의를 적절히 조화시키는 것이다. 또한 우리 민사소송법이 자백의 철회의 요건으로 ‘자백이 진실에 반하는 것’과 ‘착오로 말미암은 것’을 모두 증명하도록 하고 있는 것도 증명책임설을 전제로 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자기에게 증명책임이 있는 사실을 부인하였다가 철회하는 경우에는 부인한 사실 자체를 증명하면 그 자체로 착오에 의한 자백임이 추정될 것이기 때문이다. 자기에게 증명책임이 있는 사실을 부인한 경우에 자백이 성립할 수 없는 것은 우리 민사소송법이 당사자의 모순된 주장에 대해 법원의 석명의무를 인정하고 있는 것(민사소송법 제126조)을 보아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In civil lawsuits, there is a conflict regarding the concept of 'facts unfavorable to oneself' in relation to the criterion for establishing admission. The one views admission as a case where all or part of the lawsuit is likely to lose if the other party's alleged facts are adopted as the basis for judgment, and the other views it as a statement acknowledging the other party's alleged facts for which the other party has the burden of proof. The Supreme Court is taking the former view. However, the basis for the binding power of admission is the principle of party presentation(Verhandlungsmaxime), the basic principle of civil lawsuits. The principle of party presentation allows the one party to decide the necessity of proving the facts the other party has alleged. It is reasonable to view 'facts unfavorable to oneself' as a ‘statement that acknowledges the fact for which the other party has the burden of proof. Since the burden of proof determines the outcome of a lawsuit, in order to stabilize the litigation process, it is necessary to judge the pros and cons of the party's claims in accordance with the pre-determined criterion for distributing the burden of proof of facts. Only when a admission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responsibility of proof, the parties can freely allege or withdraw the facts in consideration of the burden of proof or the burden of allegation. It is appropriate that the binding effect of an admission is permitted to the minimum extent that it harmonizes the principle of the adversarial system and the ex officio. That is consistent with one of the ideal of civil proceedings, proper trial. In addition, Korean Civil Procedure Act should be seen as premised on the theory of burden of proof, because it requires proof of both ‘contrary to the truth’ and ‘resulting from a mistake’ as conditions for withdrawal of an admission. In the case where the person denies and then withdraws a fact for which the burden of proof is on him, if he proves the fact that he denied, it is resonable that the admission presumed to be made by mistake. The condition ‘resulting from a mistake’ is not needed. It can also be seen from the Civil Procedure Act which stipulates the duty of explanation(Article 126 of the Civil Procedure Act) that an admission is not to be established with the alleged facts for which one bears the burden of proof.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