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민법상 인격표지영리권 도입에 관한 소고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the Commercial Right of Personality Mark under the Civil Law)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23.08
30P 미리보기
민법상 인격표지영리권 도입에 관한 소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일감법학 / 55호 / 29 ~ 58페이지
    · 저자명 : 김나래

    초록

    최근에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 비디오 플랫폼의 이용이 활발해지면서 유명인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대중에게 인기를 얻을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짐에 따라 개인의 인격표지를 영리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영역이 넓어졌다. 법무부는 이러한 변화를 반영하여 올해 초에 사람의 성명, 초상, 음성 등 인격표지를 영리적으로 이용할 권리인 인격표지영리권을 신설하는 민법개정안에 대하여 입법예고를 하였다. 여기에서 인격표지영리권이란 미국에서 사용하는 퍼블리시티권(The Right of Publicity)이라는 단어를 우리말로 대체한 단어이다. 이번 민법개정안에서는 개정 부정경쟁방지법과 달리 성명, 초상 등의 인격표지가 ‘국내에 널리 인식되어 있는지’ 여부를 묻지 않고 인격표지를 이용할 수 있는 권리를 모든 개인들이 누릴 수 있는 독립된 권리로 규정하였고, 인격표지영리권의 양도 및 상속가능성에 관한 내용에 대해서도 함께 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진일보한 입법이라고 할 수 있다.
    퍼블리시티권에 관한 민법개정안에 대한 주요 쟁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퍼블리시티권은 그 특성상 인격권 내지 재산권이라는 하나의 성격을 가진 권리로 규정지을 수 없고, 인격권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재산권적인 성격이 분명한 권리로서, 일반 재산권과는 다른 내용으로 권리의 내용을 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퍼블리시티권의 보호범위와 관련하여 인격표지의 범위가 급속한 기술의 발전과 사회변화에 따라 더욱 다양화되고 광범위해질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합리적 추론을 통한 퍼블리시티권의 보호범위를 정하는 방식이 타당성을 가진다고 생각한다. 그리하여 표현의 자유가 제한되지 않는 범위에서 그 보호범위를 정하는 데에 있어서 신중할 필요가 있다. 셋째, 퍼블리시티권의 보호범위가 정해지면, 권리를 침해하는 영리행위의 유형 및 기준이 명확해야만 권리주체가 구제받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진다. 주로 퍼블리시티권의 침해 유형이 일정한 경우로 한정되어 있지만, 일정한 유형에 해당되지 않는다면, 권리를 침해하는 영리적 이용인지 여부의 판단은 인격표지에 사용된 매체가 표현의 자유의 보호범위 안에 포함되는 경우에 인격표지의 이용은 영리적 이용이 아니라고 보는 것을 하나의 기준으로 삼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넷째, 민법개정안에 ‘신념’, ‘중대한 사유’, ‘정당한 이익’, ‘합리적인 범위’ 등 의미가 명확하지 않은 모호한 문구가 규정되어 있다. 신념에 반하는 중대한 사유라는 모호한 기준을 통하여 계약의 구속성을 깨뜨리기보다는 인격표지의 이용허락에 대한 철회를 할 수 없도록 하거나, 더욱 명확한 문구로 철회사유를 제한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당한 이익, 합리적인 범위의 의미를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서 개정안 제3조의2 제4항을 ‘다른 사람의 인격표지를 공익의 목적으로 이용하는 자는 인격표지영리권자의 허락 없이도 공익을 실현하는 범위에서 그 인격표지를 영리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라고 하는 것을 제안하여 본다.

    영어초록

    With the recent active use of video platforms such as YouTube and Instagram, not only celebrities but also the general public have created an environment that can gain popularity, expanding the scope of commercial use of individual personality mark. Reflecting these changes, the Ministry of Justice announced a legislative amendment to the Civil Act earlier this year to establish the right to commercially use person’s name, portrait, and voice. Here, the term “The Commercial Right of Personality Mark” is a Korean word that replaces the word “The Right of Publicity” used in the United States. Unlike the revised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the right to use personality signs without asking whether names and portraits are “widely recognized in Korea” is an independent right that all individuals can enjoy, and it is a further legislation.
    The main issues of the civil law amendment on the right of publicit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ight of publicity cannot be defined as rights with one moral rights or property rights due to their nature, and the content of the rights must be determined differently from general property rights. Second, in relation to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right of publicity, the scope of personality mark can be more diversified and broadened as technology develops rapidly and social changes. In this situation, I think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right of publicity through rational reasoning is vali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e careful in determining the scope of protection to the extent that freedom of expression is not limited. Third, whe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right of publicity is determined, the possibility that the subject of rights can be rescued increases only when the types and standards of the profitable activities are clear. If the type of infringement of the right of publicity is mainly limited to a certain type, but if it does not fall under a certain type, I think it can be used as a criterion to determine whether the media used in the personality mark is within the protection of freedom of expression. Fourth, the Civil Act amendment stipulates ambiguous phrases with unclear meanings, such as “belief”, “significant reasons”, “justifiable interests”, and “reasonable scope”. Rather than breaking the contract through ambiguous standards of serious reasons contrary to belief, it is necessary to prevent withdrawal of the permission to use the personality mark, or to limit the reason for withdrawal with clearer phrases. In addition, in a situation where the meaning of legitimate interests and reasonable scope cannot be predicted, Article 3-2 (4) of the amendment is proposed as “a person who uses another person’s personality mark for public interest may use it for profit without the permission of the subject of the commercial right of personality mar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