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개정 국적법상 귀화허가의 주요 쟁점 (Some Substantial and Procedural Issues of Naturalization in the Nationality Act of 2018)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9.08
22P 미리보기
개정 국적법상 귀화허가의 주요 쟁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토지공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토지공법연구 / 87권 / 409 ~ 430페이지
    · 저자명 : 이현수

    초록

    2017년 국적법개정을 통하여 귀화허가의 실체적 요건과 절차적 요건에 많은 변화가 초래되었다. 법 개정 전에는 일반귀화의 요건으로 거주기간, 연령, 품행단정, 생계유지능력, 기본소양을 요구하였으나 법개정을 통해 영주의 체류자격이 요건으로 추가되었다. 영주자격 요건은 출입국관리법령에서 규율하고 있으며 귀화허가 요건은 국적법령에서 규율하고 있는데, 영주자격요건과 귀화허가 요건은 많은 부분 중첩되고 있다. 즉, 일반귀화 요건인 품행단정, 생계유지능력, 기본소양은 영주자격을 부여받기 위한 요건이기도 하다. 이처럼 영주자격이 귀화허가요건이 되면서, 영주자격요건들과 귀화요건들 간의 관계를 어떻게 보아야 할지에 대하여 보다 심도 있는 논의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귀화요건으로서의 품행단정에 대해서는 영주요건으로서의 품행단정에 비하여 더 엄격한 기준이 법령상 설정되어 있으며 생계유지능력도 마찬가지이다. 생계유지능력에 있어서도 품행단정에서와 마찬가지로 생계유지능력의 판단요소들을 법령이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귀화와 영주자격에 있어서 생계유지능력의 판단기준을 각각 상이하게 정할 것인지 동일한 기준을 적용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며, 생계유지능력 판단기준을 총액확정형으로 정할 것인지 연동형으로 정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도 필요하다. 기본소양 요건과 관련하여서는 사회문화적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기본소양과 정치적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기본소양이 어떠한 점에서 달라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귀화의 절차와 관련하여서는 국민선서와 증서수여의 의식적(儀式的) 요소가 도입되었다는 점이 주목된다. 과거에는 관보고시가 귀화허가의 효력발생요건이었으나, 법개정을 통하여 국민선서 및 증서수여를 한 때 귀화허가의 효력이 발생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그러나 엄밀한 의미에서 국민선서는 귀화허가의 절차적 요건으로 보아야 하며 증서수여가 행정의 표시행위로서의 의미를 가지므로 귀화허가의 효력발생요건이 되는 것은 증서수여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귀화자의 법적 지위가 영주의 체류자격을 가진 자에 비하여 확고하다는 점에서 귀화의 요건이 더 엄격하게 설정되어야 한다고 볼 수도 있다. 반면, 귀화자가 영주권자에 비하여 실제적으로 얻을 혜택이 현저히 크지 않은 상황에서라면 영주자격에 비하여 귀화의 실체적․절차적 요건을 강화하는 것은 외국인들의 귀화 의지의 형성을 가로막는 장벽으로 기능하게 될 우려가 있다는 점도 귀화법제를 규율함에 있어서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amendment of the Nationality Act in 2017 has led to major changes in the substantive as well as procedural requirements of naturalization. Permanent residence status requirement is added to the traditional requirements for natualization, such as at least five years residence, good moral character, economic viability and civics knowledge including linguistic aptitude.
    Meanwhile, permanent residence and naturalization have several requirements in common. Good moral character, economic viability and civics knowledge are required for permanent residence status as well as naturalization. In order to assess the impact of the amendment of the Act, it should be discussed on the desirable relationship of the qualifications for permanent resident status and those for naturalization.
    Nationality Regulation 2018 requires absence of certain criminal records of the applicant alien as to the good moral character, it needs to be discussed whether or not the same standard should be required to be met by the applicant of permanent residence status.
    As to the economic viability, fixed amount of assets is required by the Nationality Act, instead of giving guidelines on various factors of consideration. It will be more helpful to give clear guideline on factors for the transparency and predictability of public authority’s decision making.
    As to the civics knowledge requirement, it is necessary to discuss whether the basic literacy standard as a socio-cultural community member and that as a member of a political community should be different or not, and if so, where can the dividing point should be found. Ceremonial elements such as oath of allegiance and certificate award is introduced by the new amendment. Strictly speaking, oath of allegiance is merely procedural ornament, certificate award is the indication of state’s willingness to accept the applicant as a fellow citizen.
    In a situation where practical benefits of the naturalization is not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of the permant residence status, the amendment of law reinforcing substantive and procedural requirements of naturalization is likely to set further barrier against a willingness of naturalization by foreign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토지공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