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선사상에서 해오(解悟)의 함의 (Implications of Intellectual Enlightenment in Sŏn/Zen Though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23.03
30P 미리보기
선사상에서 해오(解悟)의 함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연구 / 74권 / 27 ~ 56페이지
    · 저자명 : 마해륜

    초록

    성철에 의해 촉발된 돈점논쟁에서 해오의 위상을 정립하기 위한 다양한 담론이이루어졌지만, 해오와 증오의 본질적 차이에 대한 의문은 제기되지 않았다. 선불교의 전통적인 관점에서는 해오와 증오를 이분법적으로 구분하지 않고 이해와 분별(해오) 안에서 깨달음을 실현하려는 지향성을 갖는다.
    해오/증오를 분별의 여부나 시간적 선후관계로 접근하는 대신, 깨달음의 체험에서 동시에 일어나는 마음 변화의 두 측면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증오는 구경에 도달하는 순간으로 이해될 수 있지만, 반대로 ‘이미 완전하게 갖추어진 지각능력’의 확인이라는 점에서 전제이자 출발점이다. 증오가 즉각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면 그것이이미 우리 안에 완결된 상태로 갖추어졌기에 가능한 것이다. 이 경우 증오는 갖춤의완전성이라는 측면에서 시작이기도 하고, 해애(解碍)의 종식이라는 측면에서는 구경이라고 할 수 있어서 양가적이다. 증오는 해오의 세계 안에서 일어나는 체험이며둘은 완전하게 별개는 아니다. 증오는 먼 미래의 최종목표가 아니라 해오의 해체적과정이며, 해오를 범주화하지 않게 하는 메타포다.
    해오는 이해에 의한 깨달음이 아니라 마음이 재구성되는 과정을 지시한다. 의미체계 안에서 인식 전환의 체험이 해오의 함의다. 그러나 해오는 단지 특정한 의미에대한 언어적 깨달음”이 아니라 “어떠한 언어적 이해도 절대적이지 않다”는 메타적이해를 포함하는 깨달음이다. 한편 증오는 마음 변화의 해체적 측면을 지시한다. 이미 구성된 마음을 실재라고 여기지 않고 해체하는 순간이 증오이며 이 계기는 영원한 미래로 연기되지 않고 모든 현재의 순간에서 실현된다. 해오와 증오는 마음의 전환 과정에서 동시에 일어나는 두 가지 측면의 변화로 이해할 수 있다.

    영어초록

    In the Sudden/Gradual Dispute triggered by Seongcheol (性徹), various discussions were held to establish the position of intellectual enlightenment (解悟), but the question of the essential difference between intellectual enlightenment and ultimate enlightenment (證悟) was not raised. However, in the Sŏn/Zen tradition, enlightenment is not different from understanding—each is realized within the other.
    Intellectual enlightenment and ultimate enlightenment can be viewed as two aspects of mental change that occur simultaneously in the experience of enlightenment, instead of having a sequential relationship. Ultimate enlightenment is understood as the moment of reaching perfection, but on the contrary, it is the premise and starting point of enlightenment in that it is a “perceptual ability that has already been completely achieved.” If ultimate enlightenment can happen instantly, that is possible because it is already fully accomplished within us. In this case, ultimate enlightenment has ambivalent implications in terms of beginning and ending. Ultimate enlightenment is an experience that takes place within the world of intellectual enlightenment, and the two are not entirely separate. Ultimate enlightenment is not an end goal in the distant future, but a metaphor that keeps intellectual enlightenment from being categorized at all times.
    Intellectual enlightenment refers to the process of reconstructing the mind, not enlightenment through understanding. However, intellectual enlightenment is not just a linguistic understanding of a specific meaning, but an enlightenment thatincludes a meta-understanding that “no linguistic understanding is absolute.” Ultimate enlightenment, in contrast, refers to the deconstructive aspect of mind change.
    Ultimate enlightenment is the moment when the mind that has already been formed is dismantled without considering it real. It is not postponed into the eternal future, but is realized in every present mo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