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업지역 보호규정의 운용상 쟁점 (The Law and Regulation of The Franchise Encroachment Under the Korea Fair Franchising Act)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4.12
25P 미리보기
영업지역 보호규정의 운용상 쟁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경제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제법연구 / 13권 / 3호 / 95 ~ 119페이지
    · 저자명 : 이혁

    초록

    영업지역침해(encroachment)는 가맹본부가 기존 가맹점사업자의 영업지역에 직영점 혹은 새로운 가맹점을 개설하여 가맹점사업자와 경쟁관계에 들어가는 관행을 의미하는데, 가맹산업이 성숙기(maturity)에 접어들고 시장이 포화상태(market saturation)에 이르면 본격적으로 문제된다. 프랜차이즈 계약의 특성상 영업지역 침해로 가맹점사업자는 브랜드 간(inter-brand) 경쟁뿐 아니라 브랜드 내(intra-brand) 경쟁에 시달리게 되어 시장에서 퇴출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를 규제하려는 미연방법차원의 입법화 시도가 있었으나 최종적으로는 모두 실패하였고, 다만 일부 주법에서 이를 규정하고 있을 뿐이다. 우리 가맹사업법은 법 제12조의4(부당한 영업지역 침해금지)를 신설하여 모든 유형의 가맹사업에 있어 가맹계약 체결 시 가맹본부로 하여금 영업지역 설정 및 침해금지를 의무화하였다. 이는 사전적 행태규제로서 비교법적으로 유래가 없고 당사자의 사적자치를 제약할 뿐 아니라 자칫 시장을 분할하여 독점을 초래할 수 있는 경쟁법상 문제를 안고 있다고 할 것이다. 신설된 영업지역 보호규정의 운영상 발생할 수 있는 쟁점은 우선 영업지역의 의미에 관한 것이다. 본래 영업지역침해는 전통적으로 지리적 개념을 전제로 출발하였으나, 최근 상품의 유통망이 다변화되면서, 슈퍼마켓, kiosk, 편의점은 물론 인터넷, sns 및 소셜커머스 등과 같은 가상(virtual) 공간에서의 온라인 유통채널이 발전하면서 비전통적인(non-traditional) 방식의 영업지역침해로가 주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분쟁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맹계약체결 시 지리적 상권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비롯하여 모든 대안적 유통방식(alternative distribution)에 대해서도 명시적인 조항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구)가맹사업법상 영업지역 침해금지는 불공정거래행위의 한 유형이었으나, 개정 가맹사업법에서는 제12조의4의 독립적 조문으로 규정되었는데, 법 개정 전 위법성 판단기준이 개정법에도 적용될 수 있을지 문제된다. 법 개정 후 1년의 유예기간에도 불구하고 영업지역 침해에 관한 시행령이나 가이드라인이 마련되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법의 해석․적용과정에서 법적 안정성을 해칠 우려가 제기되는 것이다. Iowa 주법은 기존 가맹점사업자의 점포와 불합리하게 근접한 지역(unreasonable proximity)에서 새로운 점포를 개설하여 기존의 가맹점 매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경우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는 요건과 절차를 상세히 규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 법운용에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영업지역 보호의 강화에 대응하여, 가맹계약 갱신 시 협의를 통해 영업지역을 조정할 수 있도록 규정하였으나, 가맹점사업자에게 10년의 갱신청구권이 보장되고 만일 협의가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 별다른 절차가 마련되어 있지 아니하였다는 점에서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된다. 한편 영업지역 침해는 가맹점사업자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막기 위해 가맹점사업자에게 영업지역을 준수하도록 강제하는 것은 구속조건부 거래로서 불공정거래행위에 해당된다. 이러한 가맹점사업자가 상호 간의 영업지역 침해는 원칙적으로 허용되는 것으로 민사상 채무불이행 혹은 불법행위책임의 영역에서 제3자 채권침해 문제로 다루어진다. 가맹사업의 특성상 관계특유투자(relationship-specific investment)가 크므로 가맹본부의 투기적 남용행위로부터 가맹점사업자를 보호해야할 필요성은 인정되지만, 개정 가맹사업법이 프랜차이즈산업 전체의 발전을 고려하고 상생협력이라는 가맹사업의 본질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과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바탕으로 입법화된 것인지, 법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현 시점에서 진지한 고민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The Korea Fair Franchising Act, (hereinafter, “KFFA”) came into force on August 14, 2014. and especially for the exclusive territories, the revised KFFA Article 12(1)3 clarifies that franchisor’s restraint on a franchisee’s territorial boundary is an unfair transaction and shall be prohibited. Encroachment is the phenomenon that the franchisor has authorized a new franchise or established a company-owned unit within an existing franchisee’s territory. As a result of franchising market maturity, the issue of encroachment has come to the forefront. Although encroachment is defined traditionally in terms of geographic competition, alternative channels through supermarket, kiosk, multibrand and so on has became the issue of encroachment. The advent of the Internet has raise the possibility of virtual encroachment. Although the franchisor should abide by territorial exclusivity, the compelling for a franchisee to comply the stated territories is regarded as an unfair transaction and are subject to penalty or necessary corrective measures. Legislation of KFFA should be revised in the respect of a mutual relationship between franchisor and franchisee, for the promotion of consumer welfare, and for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제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