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통적인 전쟁 사진의 시각적 구성 요소에 대한 융합적 연구 - 퓰리처상 뉴스상 수상작 중심으로 (A Convergence Study on the Visual Components of Traditional War Photographs - Focusing on the Pulitzer Prize News Award Winners)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24.01
21P 미리보기
전통적인 전쟁 사진의 시각적 구성 요소에 대한 융합적 연구 - 퓰리처상 뉴스상 수상작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 42권 / 1호 / 99 ~ 119페이지
    · 저자명 : 류이시앙, 이상은

    초록

    디지털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전쟁 사진 촬영과 전파 기술은 실시간으로 전쟁의 상황과 영향을 대중들에게 보여주기도 하지만 이에 따른 거짓 정보와 사진도 많이 쏟아져 나와 대중들이 사실을 인지하는데 어려움을 주었다. 이와 달리 전통적인 미디어 매체를 통해 촬영된 사진은 일반적으로 고정적인 미디어 매체를 통해 여러 번의 심사와 검토를 거친 뒤 보도 전파되는 것으로 그 신뢰성이 매우 높다. 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전통적인 미디어 매체를 통해 전파되었던 전통적인 전쟁 사진의 시각적 구성 요소에 대해융합적으로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포토저널리즘의 대표성을 지닌 퓰리처상 뉴스상 20세기 수상작 중 전쟁 관련 사진을 추출한 후 Rodriguedhk와Dimitrova의 시각적 프레임 모델에 기반하여 다양한측면에서 전쟁 사진의 시각적 구성 요소의 특징을 알아보고 이에 내포되어있는 사진가들의 의식 형태를알아보자 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각적 구성 요소를10가지로 나누어 통계 분석을 이행한 뒤 그 결과를바탕으로 전쟁 사진을 4개 주제로 나누어 세부적인융합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전통적인 전쟁 사진의 시각적 구성요소의 특징을 종합하여 전쟁 사진은 주로 전쟁의 참상과 현실을 표현하는데 집중되어 있었고 또한 당시기술적인 한계로 최전방 전쟁터보다는 주로 후방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지역, 난민 캠프 등과 같은 장소에집중되어 있었음을 알 수가 있었다. 둘째, 전쟁 사진에 내포되어있는 사진가의 의식 형태는 주로 전쟁에대한 그들의 반감과 평화를 염원하는 마음을 보여줬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As digital technology has advanced, the capture and dissemination of war photographs have been able to show the real-time situations and impacts of wars to the public. However, this has also led to the influx of false information and manipulated images, making it challenging for the public to discern the truth. In contrast, photographs captured through traditional media undergo multiple evaluations and reviews before being broadcast, ensuring a high level of credibility.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ntegratively explore the visual components of traditional war photographs disseminated through these conventional media channels. To achieve this goal, war-related photos from Pulitzer Prize-winning works in the 20th century, known for their representativeness in photojournalism, were extracted. Based on Rodriguedhk and Dimitrova's visual framing model, the study aim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 components of war photographs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explore the implicit consciousness of the photographers.
    The research divided the visual components into ten categories,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and based on the results, further delved into detailed integrative studies on war photographs under four main themes. The findings revealed, firstly, that traditional war photographs primarily focused on depicting the harsh realities of war, often concentrating on relatively stable areas like rear positions rather than the frontlines due to technological limitations of that era. Secondly, the study identified that the implicit consciousness of photographers embedded in war photographs mostly reflected their resentment towards war and a yearning for pe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