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법상 지위를 통해 본 민법상 조합의 권리능력 인정 가능성 (A Study on a possibility of “the capacity of enjoyment of rights” of the a civil code partnership as seen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statute under the tax law)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6.02
36P 미리보기
세법상 지위를 통해 본 민법상 조합의 권리능력 인정 가능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법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사법 / 23권 / 1호 / 219 ~ 254페이지
    · 저자명 : 이근영

    초록

    민법상의 조합은 공동의 사업목적을 위한 조합원간의 계약관계이다. 이러한 민법상 조합에 대하여 권리능력을 인정하지 않는 것이 통설과 판례이다. 그런데 실제로 민법상 조합의 형태로 다수의 법률행위가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합원만이 적법한 권리자로 취급되어 조합의 단체성과 독자성이 활용되지 못하는 점은 법적용의 효율성 측면에서도 문제가 있다고 본다. 또한 우리의 조합규정은 독일의 민법규정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는 점에는 이론이 없는 듯한데, 독일연방대법원의 판례에 의해 현재 독일에서는 조합의 권리능력을 인정하고 있으며, 이런 영향으로 현재 우리 민법상 조합에 대하여는 제한된 권리능력을 인정하자는 학설들이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조합의 권리능력의 인정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하여 우리 세법상 조합을 어떻게 취급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면서, 조합의 세법상 지위에서 조합의 실체를 인정하는 부분은 없는지, 실체를 인정하는 부분이 있으면 여기에서 더 나가 조합의 권리능력, 의무능력을 인정하고 있는 부분은 없는지를 검토하였다. 현행 세법 규정은 조합에 대한 규정은 너무나 간단하여 과세관계를 규율하기에는 불충분하였고, 그 결과 지금까지는 판례와 행정해석에 의하여 입법의 미비점을 보충하여 왔다. 그런데 이러한 해석들조차도 불일치하고 그 사례도 많지 않은 한계는 있지만, 원칙적으로 조합의 실체를 부정하는 도관론에 입각하고 있다. 다만 예외적으로 양도소득세와 부가가치세 등에서 조합의 실체 및 납세주체성을 인정하는 실체론에 입각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조합의 납세의무를 인정하는 판례도 있다는 점은 조합의 권리능력 인정 가능성이라는 입장에서는 주목할 필요가 있다.
    우리 민법도 개정을 통하여 조합에 제한적 권리능력을 인정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그런데 이러한 입법적인 해결이 힘들다면, 독일의 연방대법원과 같이 우리 대법원도 판례를 통하여 법규를 초월하는 법형성에 의한 해석이라는 방법으로 조합에 권리능력을 부여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조합이 가지는 단체성을 더욱 더 강조하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세법의 규정이 없는 부분에서 행정해석이나 판례를 통하여 예외적으로 양도소득세부분이나 조합과 조합원의 거래부분에서 일정한 경우조합을 실체로 보고 더 나가서 의무능력을 인정하고 있는 것은, 보기에 따라서는 제한된 범위에서 조합의 실체인정 및 제한된 권리능력을 인정하는 법형성으로 볼 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영어초록

    The present paper will focus on a Civil Act partnership of the statute under the tax law and a partnership of the capacity of enjoyment of rights. A civil code partnership is a contrac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association members for joint venture purposes. There are many of the partnerships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civil code partnership in the legal nature in our law. It includes the association which exists as a form of corporation and association of non-corporate form. However, since the partnership of a Civil Act is operated after being established like the corporation, changes by the joining, withdrawal of association members, and it is a social substance which gets to extinct as the dissolution goes through the process, complicated taxation problems occur in each stage. But the policy of current law is so simple that it is insufficient to regulate the relationship of tax like this. Until now, it used to supplement the imperfection of legislation according to precedent and administrative interpretation but even those interpretations have discordance and do not have many instances. But regarding the association of a civil law among them, there are many cases that a clear tax rule is insufficient and it is fulfilling with precedent or administrative interpretation where it exists a precedent in which it recognizes the substance of the association apart from the association members or, furthermore, it recognizes the tax obligation of association members. It could be in collusion with the fact that it concede the capacity of association in the interpretation method according to formation of law which goes beyond the regulations through precedent by German federal constitution. From this kind of interpretation, in a regard that it could be seen as it recognized, at least in a limit, the capacity to the association which is a transitional discussion stage, it groped the possibility to recognize the capacity of association through the tax law position of association in our law to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사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