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EU법상의 설립의 자유와 한⋅EU FTA상의 설립규정 (Comparative Study on the Right of Establishment in the Common Market of the EU and the provision of establishment in Korea-EU FTA)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1.04
38P 미리보기
EU법상의 설립의 자유와 한⋅EU FTA상의 설립규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럽학회
    · 수록지 정보 : 유럽연구 / 29권 / 1호 / 1 ~ 38페이지
    · 저자명 : 김두수

    초록

    이 글에서는 EU법제와 EU사법기관의 주요 판례를 통해 EU의 설립의 자유를 살펴봄으로서 한⋅EU FTA상의 설립규정을 비교하였다. EU법상 설립의 자유에 관한 주요 원칙은TFEU상 규정되어 있으며, ECJ의 많은 사례들을 통해 해석되고 확립되어 왔다. TFEU 제49조에서 제54조까지는 EU 회원국 내에서 영속적이고 지속적으로 사업을 유지하기 원하는 자연인과 회사의 권리를 제한하는 조치의 철폐를 규정하고 있다. 다만 TFEU 제51조와 제52조에 따라 공무집행의 경우이거나 또는 공공정책, 공공안보 그리고 공중보건을 위한 조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예외로 인정된다. Centros 사례는 EU가 국적에 의한 차별을 금지하고 ‘설립의 자유’를 공동시장의 기본질서로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Reyners 사례는 회원국의 실제적인 공무집행의 경우에 설립의 자유가 제한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데 이는 한⋅EU FTA Chapter 7에 규정된 공익적 차원의 예외 규정과 같다. 다만 이는 ‘자의적’ 또는 ‘차별적수단’이거나 ‘위장된 제한 조치’가 돼서는 아니 된다. 한편 Klopp 사례는 지방법원 관할하의 한 장소에서만 변호사 사무소를 설치하고 활동하는 것이 국내법원과 고객의 편의를도모하고 변호사의 성실한 업무수행을 위해 필요하나, 이로서 개업의 자유의 제한을 정당화 할 수는 없음을 보여주었고, Gebhard 사례는 변호사협회와 같은 전문가협회의 회원가입은 개업의 자유를 위한 일반적 조건은 될 수는 있으나, 이러한 회원 가입이 ‘개업의자유’를 위한 ‘필수 요건’은 될 수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Daily Mail 사례는 ECJ 가 많은 사례와 같이 공동시장의 기능의 활성화에 큰 관심을 갖고 국적에 의한 차별을 금지하여 ‘설립의 자유’를 인정하고 있으나, 다만 회사 ‘경영과 통제의 중심지’를 이전하기원하는 Daily Mail은 국적이 보유되어 세금납부의무가 존재하는 상태에서의 회사 이전이아닌, 현지 회사의 ‘폐업’과 네덜란드에서의 ‘재개업’을 통하여 국적을 포기함으로써 세금납부도 회피할 수 있게 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회사의 실체가 변하지 않고 존재하는 것으로 이를 회사의 설립으로 인정하는 것은 제3자의 이해를 해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EU측이 우리나라에서 설립을 통해 서비스 등을 제공하더라도 국내 관련기관에 ‘신고’ 또는 ‘허가’를 통해 활동이 보장되도록 규정한 부분에 관하여는 유의해야 할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ed to review on the right of establishment in the Common Market of the EU through the european legal system and the cases of the ECJ and to prepare for beginning of Korea-EU FTA. The important principles governing the right of establishment are laid down in the TFEU and have been developed through case law by the ECJ. Articles 49~54 TFEU on freedom of establishment require the abolition of restrictions on the right of individuals and companies to maintain a permanent or settled place of business in a Member State of the EU.
    But there are several exceptions, according to Articles 51~52 TFEU, on grounds of public policy, public security, public health and exercise of official authority. Centros case shows that the ECJ takes freedom of establishment seriously. It is one of the cornerstones of the common market. For this reason, the concerns of the Danish authorities were overridden. However, the ECJ was careful to point out that other measures were possible to protect creditors and prevent fraud. In Reyners, the general activities of lawyer of the EU are not connected with the exercise of official authority. In Klopp, according to Article 49 TFEU, the legislation of a Member State cannot may require a lawyer to have only one establishment throughout the Union territory. In Gebhard, membership of a professional body may be a condition of taking up and pursuit of particular activities, but it cannot itself be constitutive of establishment. Likewise, Member States must take account of the equivalence of diplomas and, if necessary,proceed to a comparison of the knowledge and qualifications required by their national rules and those of the person concerned. In Daily Mail, Articles 49 and 54 TFEU, properly construed, confer no right on a company incorporated under the legislation of a Member State and having its registered office there to transfer its central management and control to another Member State. It is need to break up a business and open newly in Holland.
    Several cases above mentioned are important to Korea have Korea-EU FTA ahead and to individuals and companies hoping to advance of the common market of the EU. If the parties open their markets, any discrimination on grounds of nationality as a restriction of freedom of establishment shall be prohibited. Finally,in the text, the right of establishment in the common market of the EU was compared to the provision of establishment in Korea-EU FT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