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권근(權近)이 추구한 유교국가의 국왕상(國王像) 고찰 (A Study on the Image of Kings of a Confucian Country Sought After by Gwon Geun)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5.06
26P 미리보기
권근(權近)이 추구한 유교국가의 국왕상(國王像)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포은학회
    · 수록지 정보 : 포은학연구 / 15권 / 135 ~ 160페이지
    · 저자명 : 안장리

    초록

    본고는 조선이 유교국가가 되는 과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교국가의 키워드를 국왕으로 보고 조선 초기 대표적인 유학자 권근이 정립하려고 하는 국왕상을 조명해 보았다. 권근은 유학관련 저술과 상소를 통해 유교국가의 이상적인 국왕의 면모를 제시하였다. 본고에서는 권근의 저술 중 『서천견록(書淺見錄)』과 『시천견록(詩淺見錄)』, 그리고 상소 중에는 우왕에게 올린 3편의 상소와 정종에게 올린 1편의 상소 그리고 태종에게 올린 3편의 상소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고에서는 권근이 이들 상소에서 ‘하늘, 부모, 백성, 자신, 신하’ 등 5요소에 대한 국왕의 태도 정립을 요구하고 있음에 착안하여 국왕상의 면모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권근이 『서천견록』, 『시천견록』 등 경서에 대한 견해에서 제시한 국왕상은 공경의 마음과 구덕(九德)을 갖추고 전조(前朝)의 신하들을 포용할 수 있는 모습이었다. 18세의 혈기방정한 나이에 권신의 꾀임으로 정사를 게을리 하고 놀이에 빠진 고려 우왕에게 요구한 국왕상은 밤에 자고 낮에 깨어 있으며 바른 자세로 덕성을 함양하는 수양의 자세였다. 그러나 우왕은 방탕한 생활을 영위하다 결국 24세의 나이에 사약을 받고 죽게 된다. 정종에 대해서도 재미에 탐닉하지 말고 국왕으로서의 체통을 지킬 것을 건의하였다. 정종은 2차례의 걸친 왕자의 난이라는 격동 속에 곧 왕좌에서 물러났다.
    태종에게는 국왕으로서의 자기 성찰과 학문정진, 부지런한 정사 외에 전조에 절의를 지킨 신하에 대한 포상과 왕과 백성을 위해 죽었음에도 제사할 후손이 없는 인물에 대한 여제(厲祭) 등을 베푸는 국왕상을 제시하였다. 이를 받아들인 태종은 정몽주와 같이 자신이 죽인 전조의 신하를 포상함으로써 국가와 왕조 위에 ‘절의’라는 이념을 최고의 가치로 여기는 유교국가의 기반을 구축하게 된다.
    권근은 우왕대부터 끊임없이 경연을 강조하는데 이는 성리학을 뿌리내리려는 조선 초기 상황에서 성리학으로 무장한 국왕을 만들려는 성리학자 권근의 기본적인 의도였다. 태종은 권근이 건의한 효의 강조 그리고 전조의 절의에 대한 포상 등을 통해 유교국가의 기틀인 충효를 장려하고 실천하는 국왕상을 정립하게 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Joseon becoming a Confucian country. Under the goal, the study set kings as one of the keywords of Confucian country and examined the image of kings that Gwon Geun, one of the utmost Confucian scholars in the early days of Joseon, tried to establish. Gwon proposed the aspects of ideal king in a Confucian country by writing Confucianism-related books and submitting memorials. The study looked into two of his books, Seocheongyeonrok and Shicheongyeonrok, and seven of his memorials, which include three submitted to King Woowang, one to King Jeongjong, and three to King Taejong. Recognizing that he demanded that kings should establish an attitude toward five elements of “Heaven, parents, people, themselves, and subjects” in his memorials, the investigator examined what kind of attitude requested by him.
    In his views of Confucian classics in his Seocheongyeonrok and Shicheongyeonrok, he proposed an image of kings that had a heart of respect and nine virtues and was capable of embracing the subjects of the previous dynasty. In his memorial submitted to King Woowang of Goryeo, he especially emphasized cultivation of “oneself” to the king that was idle with political affairs and immersed in play at the age of hot-blooded 18 due to the temptations of a powerful courtier. Although he stressed that the king should cultivate his virtues in the right posture, sleeping at night and being awaken during the day, the king kept leading a dissipated life and ended up being killed by poison ordered as a death penalty at the age of 24. Gwon also suggested to King Jeongjong that he should prevent himself from indulging in fun and maintain his dignity as a king. The king was faced with a turmoil of prince’s uprising twice and ended up coming down from the throne.
    He proposed to King Taejong that he should work on self-reflection, devotion to study, and diligence with political affairs as a king, give rewards to the subjects of the previous dynasty that adhered to their principles, and hold a memorial service for those who died for the king and people and had no descendents to hold such a service for them. Gwon wanted that the king would grant rewards to the subjects of the previous dynasty that he killed such as Jeong Mong-ju, establish a concept of “fidelity” above country and dynasty, and solidify a foundation for a Confucian country that placed the highest values on ideology.
    Gwon continued to emphasize lecturing and study with kings since the reign of King Woowang, which was his basic intention as a Neo-Confucian scholar to equip a king with Neo-Confucianism in the early days of Joseon when Neo-Confucianism was about to take root in the country. By proposing an image of kings to Kings Jeongjong and Taejong, he established an image of kings that encouraged and practiced loyalty and filial piety, which were parts of the foundation of a Confucian country, by stressing filial piety and giving rewards for loyalty to the previous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포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