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행정소송법상 법률상이익에 관한 재론 (A Study on the Legal Interests in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s Law)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3.06
31P 미리보기
행정소송법상 법률상이익에 관한 재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26권 / 1호 / 75 ~ 105페이지
    · 저자명 : 전병준

    초록

    행정소송법은 수개의 조문에 걸쳐 ‘법률상이익’이라는 개념을 사용하고있다. 그러나 이중에서 특히 논의의 중심이 되는 것은 동법 12조에 있어서의 ‘법률상이익’개념이라 할 것이다. 동조는 법률상이익을 취소소송의제기요건으로 하고 있지만, 이 규정에 있어서 ‘법률상이익’은 불확정개념으로서 교과서에서 주로 논의 되는 취소소송의 원고적격에 관한 의미만을 내포하고 있는지 아니면 다른 의미까지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는 불분명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행정소송법 12조의 법률상이익이란 이를둘러싼 취소소송의 제기를 위한 주관적 이익 이외에 객관적 이익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의문을 가지고 이것을 규명하고자 한다. 즉 이 논문은 행정소송법 12조의 법률상이익에 대한 학설대립 보다그것의 실질적 내용이 무엇인지를 연구하고자 한 것이다. 그래서 종래의통설ㆍ판례와는 다르게 권리의 침해를 전제로 하여 관련법령의 해석을통한 권리구제범위를 정하는 보호규범론적 시각에서 탈피하여 여러 군데에서 사용되고 있는 법률상이익이라는 용어 개념에 대해서 그것의 상호작용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했다. 취소소송에 있어 법률상이익 개념은행정의 다양화와 이해대립의 다각화에 맞추어 종래 통설․판례와 달리실체법적 이익 이외에도 소송법상의 측면에서의 구제 측면에 주시하였고,법적 이익과 반사적 이익의 상대화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보호규범론에매몰되지 않는 적극적 권리구제를 주장하고자 하였다. 또 취소소송과 무효등확인소송의 원고적격과 관련된 법률상이익의 관계이었다. 본고에서의이와 같은 시도는 각각의 법률상 이익의 개념간의 관계를 명료하게 함과동시에 이 개념들의 이해를 종합적으로 이해하여 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행정소송법 35조는 효확인등확인소송에 있어서도 법률상이익을 요구하고있지만 즉시학정의 법률상이익(보충성)을 요구하고 있는지 여부는 학설의대립이 있다. 학설의 다수는 취소소송의 법률상이익과 같은 것으로 보아 보충성을 요구하지 않는다고 한다. 그러나 무효확인소송은 취소소송과 이질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어, 확인소송인 이상 확인의 이익을 요함은 물론이다. 이것은 35조를 권고적격에 관한 규정으로 보느냐 아니면 권리보호의 필요에 관한 문제라고 보느냐 와는 다른 차원의 문제로 보아야 한다.
    이 문제는 무효확인소송의 본질의 문제이며, 실체법상으로는 무효 또는부존재하는 행정처분의 외관을 집행의 우려로부터 판결을 통하여 미리제거할 필요가 있느냐의 문제인 것이다. 지난 3월 20일부로 입법 예고된법무부 행정소송법 개정안 12조는 원고적격 등에 관한 규정에서「취소소송은 처분 등의 취소를 구할 ‘법적 이익’이 있는 자가 제기할 수 있다」고하였는데, 이것은 본 논문의 취지와 같은 맥락의 입법태도로 생각된다.
    앞으로는 바뀔 법령에 따른 새로운 학설의 전개가 기대된다.

    영어초록

    Several stipulations are in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s law, the concept of ‘legal interests’ is used. The center of discussion is concept of ‘legal interests’ in Article 12 of the Act. will be the problem.
    revocation litigation. Therefore, in this paper,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law, Article 12 the concept of ‘legal interests’ is Just subjective interests (rights) or whether included in the objective interests of the legal implications of the lawsuit? this paper is would like to investigate this issue. This paper will Research what it's practically rather than a conflict of doctrine for the interest of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law Article 12. Each attempt is the same legal understanding of this concept was to evaluate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 of legal interest and at the same time distinct. Article 35 of the Code of Administrative litigation law effective check for the lawsuit, legal interests and needs,but the immediate Confirmation of interest (Subsidiarity) legal requirements and whether or not, there is conflict of the theory. it Does not require a large number of theories subsidiarity seen the same thing with the legal interests of the revocation litigation. This is a problem about the nature of confirmation litigation of nullity. It is matter of whether the ruling from the exterior of the disposal of the substantive law invalid or non-existent administrative enforcement concerns need to be removed. March 20, the amendment to Article 12 of the Legislative of Administrative litigations law notice in the regulations concerning the plaintiff eligible the revocation ligation can be filed in person to obtain the cancellation of the disposition, the ‘legal interests’ was. Therefore, it is expected to change in the future in accordance with the laws of the development of new theo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