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대형 소조사천왕상의 구조와 제작기법 연구 (A Study on structure and Manufacture technique of the clay-made large statues of four Guardian Kings (塑造四天王像) in the late Joseon Dynasty)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6.10
31P 미리보기
조선후기 대형 소조사천왕상의 구조와 제작기법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불교미술사학 / 22권 / 131 ~ 161페이지
    · 저자명 : 정은우

    초록

    조선후기에는 사찰로 진입하는 입구에 천왕문(天王門)이라는 전각을 마련하고 그 내부에 대형의 상을 제작하여 봉안하는 전통이 마련된다. 조선후기의 사천왕상은 17건이며 소조상은 대략 10건 정도 알려져 있다. 대표적인 소조사천왕상은 1628년의 순천 송광사 사천왕상(보물 제1467호), 1649년 완주 송광사 사천왕상(보물 제1255호)이며, 최근 상의 내부에서 명문이 발견된 1665년 김천 직지사와 1683년의 공주 마곡사 소조사천왕상 등이 포함된다. 소조사천왕상은 3-4m 이상의 대형으로 제작되는 특성상 전각과 함께 결합되는 구조적인 공통점을 보이는데 이는 크기에서 오는 무게라든지 전각의 안정성, 통일성과 관련된다. 연결은 신체자체를 벽면에 지탱하거나 천의나 지물, 갑옷의 일부를 탄력성있는 철심을 이용하여 전각과 연결하여 고정한다.
    소조사천왕상 제작은 좌상인 경우 사천왕상이 앉은 의자를 4개의 나무로 결구하여 중심을 잡고 목심 위에 새끼줄을 감아 흙을 덧붙여 조성한 다음 자연건조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목심의 구조, 복장유물 납입 위치와 구성, 새끼줄 사용유무, 흙과 보강재 종류 등 각 상 마다 차별화된 기법으로 제작된다. 목심 구조의 경우 나무를 접목하여 상의 각 부분인 머리부위, 목, 가슴, 중앙부, 어깨, 팔, 손목관절, 다리 및 발목 부위를 철심을 사용하여 연결하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 목심의 내부 구조와 형태는 사천왕의 외형적 특징과 연결된다. 목심을 통나무로 연결한 직지사나 마곡사 사천왕상의 경우 직립 자세에 정면향의 구조를 보이는 반면 나무를 접목하여 철심으로 결합한 경우는 부드럽고 유연한 자세에 얼굴의 방향도 정면과 측면 등 다양한 모습을 보이는 등 차이를 보인다. 순천과 완주 송광사 사천왕상이 대표적인 작품들이다.
    조선후기에 별도의 천왕문을 세우고 사천왕을 봉안하는 배경은 중국의 원, 명대부터 시작된 문이나 천왕전의 제작과 관련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대형사천왕상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이라는 전란을 거치면서 부휴선사의 문도인 벽암각성과 인연있는 사찰에서 제작된 것으로 파악된다. 벽암은 왕실과 관련을 맺은 선사로서 조선왕실에서의 국난극복에 대한 의지가 천왕문 제작에 반영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17세기에 제작된 대형 소조사천왕상은 거의 쇠퇴하여 1726년 안성 칠장사 소조사천왕상을 끝으로 더 이상 제작되지 않는다. 이에 조선후기의 대형 소조사천왕상의 제작과 기법적인 전통은 근대로 이어지지 못하고 단절되었으며 현재의 소조사천왕상의 원형 복원과 재현 역시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17세기 대형사천왕상에 대한 구체적이고 세밀한 보수와 이에 대한 인문학적 조사가 병행되어야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영어초록

    In the late Joseon Dynasty, Guardian Kings Gate (天王門; Cheonwangmungate) was established at the entrance to the entry to the temple palace (殿閣) and enshrined large statues inside, And it became tradition.
    Around 10 clay-made large statues among 17 statues of four Guardian Kings, manufactured in late Joseon Dynasty, still remain. Typical clay-made large statues of Guardian Kings are four Guardian statues manufactured in 1628 (National treasure No. 1467) at Songgwangsa-temple in Sooncheon city (順天 松廣寺 塑造四天王像), statues manufactured in 1649 (National treasure No. 1255) at Songgwangsa-temple in Wanju city, and the statue manufactured in 1665 at Jikjisa temple in Gimcheon city and the statue manufactured in 1683 at Magoksa temple, whose prescriptions were uncovered inside statues recently. As clay-made large statues of four Guardian Kings were manufactured in large size of 3~4 m high, the statues were connected to the temple palace (殿閣) structurally. The structure of statues was designed in the consideration of heavy weight from large size, stability of the temple palace, and unity. The connection between statue and palace held such that statue was supported on the wall or cloth, paper goods or part of armor of the statue, and was fixed to the palace by using resilient iron core.
    The manufacture of left side statue of four Guardian Kings is estimated that seated chairs of Guardian Kings were fixed with 4 (four) piece of wood, wrapped with straw rope on a core part of each wood, added to paint soil, and dried them in the air. Each statue of four Guardian Kings was manufactured with differentiated techniques such as different structure of wood core part, different insertion location and composition of Sacred Objects, applying straw rope or not, and different type of soil and reinforcement. For a structure wood core part, by grafting trees, iron core was used to connect each part of the statue such as head, neck, chest, center, shoulder, arm, leg, and ankle. The internal structure and shape of wood core part defines outward characteristic of four Guardian Kings. While statues of Guardian Kings in Jikjisa temple and Magoksa temple applying wood core part connected to log show a front face structure with upright position, statues of Songgwangsa temples in Sooncheon city and Wanju city applying grafted tree connected iron core show several aspects as front and side face features with soft and flexible position.
    In late Joseon Dynasty, the establishment of Guardian Kings Gate (天王門; Cheonwangmun gate) and enshrinement of four Guardian Kings are estimated to the relation with door and palace for Guardian Kings (天王殿. cheonwangjeon) in the Wien and Ming dynasties of China. In addition, large size statues of four Guardian Kings seemed to be manufactured at the temple related to a great Buddhist priest Byukam Gaksung (碧巖 覺性 大師), a disciple of great priest Buhue (浮休 禪師), after Japanese and Chinese invasion during mid Joseon Dynasty. Byukam is believed to be a priest (禪師) related to royal family, and manufactured Guardian Kings Gate (天王門) to overcome national disaster in Joseon Dynasty. In 17th century, clay-made large statues of four Guardian Kings was manufectured fewer and fewer, as the last clay-made large statue was manufactured in 1726 at Chilzangsa temple, Ansung city.
    As manufacture and traditional technique of clay-made large statues of four Guardian Kings in late Joseon Dynasty was not led to the modern period, in these days, damaged large statures of four Guardian Kings experienced difficulties to be recovered and restored. As a result, detailed and delicate maintenance in parallel with academic research activities for clay-made large statues of four Guardian Kings in 17th century are needed urgent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