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성주신의 지역적 변이와 ‘조상-성주상’의 분포 (Regional Variation of Seongju-god[城主神]and Distribution of ‘Ancestor-Seongju Table(祖上-城主床)’)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24.12
30P 미리보기
성주신의 지역적 변이와 ‘조상-성주상’의 분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역사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민속학 / 67호 / 189 ~ 218페이지
    · 저자명 : 심일종

    초록

    오늘날에도 가택신[가정신앙]으로 성주신을 모시는 집들을 간혹 보게 된다. 안택의 이름으로 집안의 여러 가신들을 위하면서 가정의 평안을 빌기 위함일 것이다. 가정신앙의 주체가 반드시 여성 즉 주부였다고 할 수는 없다. 그것이 생겨난 소이연을 보면 집안의 대주(大主)가 할 수도 있고 또 성주신 같은 경우는 그렇게 하는 경우가 지금도 있다. 가정신앙은 현재 민속에서 집[가택]과 관련이 깊은 신격으로 성주, 조왕, 조상, 터주신 등 가정을 수호하고 가족들의 수명과 안전을 책임져 주기도 한다고 믿어진다. 그러나 이 가택신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설만 있지, 민속학에서는 입증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기원과는 다르게 가택신이 조선시대 유교문화의 배경에서도 모셔질 수 있었음을 논할 수도 있다. 즉 오사(五祀)의 ‘호신(戶神)’, ‘조신(竈神)’, ‘중류신(中霤神)’, ‘문신(門神)’, ‘행신(行神)’ 등은 때마다 제사되었던 풍속과도 관계가 없다고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런 관점에서 이 논문은 유교문화의 제사관념과 가정신앙 가운데 집안을 대표하는 성주신의 존재가 연동되어 나타날 수 있음에 주목하고자 한다. 가택신의 존재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역사적인 문헌자료는 이용할 수도 있지만, 전근대시기 민간의 문화를 다룬 기록자료는 희박하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이 연구는 민족지적(ethnographic) 현장을 병행하여 함께 추론해가는 방식을 취하였다. 사례로는 전라도 지역을 중심으로 현재에도 조상과 성주상이 함께 공존하면서 지속되는 양상을 다루고 있다. 이 민속학적 발견은 가택신으로서 성주가 그 집안에서 인격신인 조상과 함께 모셔지는 모습이라는 점에서 지역적 변이를 보인다고 할 것이다. 특히 오늘날 명절 차례나 기제사, 그리고 집안의 생일 등에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전라도 지역의 조상-성주상 차림의 실상을 가지고 논의하면서 ‘성주독’, ‘성주단지’ 등이 사라져가는 가정에서도 성주신이 독특한 의례방식으로 존재하면서 전승될 수 있음을 보고하고자 한다. 성주신은 여성들의 전유물도 아니고 남성들의 전유물도 아니고 현대 조상과 함께 가정을 지켜나가고자 하는 전라도 사람들의 지혜에서 비롯되었다는 문화적 해석을 내리게 한다.

    영어초록

    Even today, we can occasionally see houses that worship Seongju-god[城主神] as a household god. It is probably to pray for the peace of the family while praying for the various household gods in the name of Antaek[安宅]. We cannot say that the subject of household god worship was necessarily a woman, or a housewife. Looking at the history of how it came into being, it can be done by the head of the household, and in the case of Seongju-god[城主神], it is still done that way. Household god worship is a deity closely related to the house in current folklore, and it is believed that it protects the family, such as Seongju(城主), Jowang(竈王), ancestors, and Tteoju-god[土地神), and is responsible for the life and safety of the family.
    From that perspective, this paper aims to focus on the possibility that the existence of the Seongju-god[城主神], representing the household, can be linked among the Confucian cultural concept of ancestral rites and household beliefs. Historical literature can be used as a means of confirming the existence of the household god, but records of the folk culture of the pre-modern period are scarce. Therefore, this study took the approach of inferring together by conducting ethnographic fieldwork in parallel. As an example, it deals with the aspect of ancestors and Seongju statues coexisting and continuing even today, centered on the Jeolla-do region. This folkloristic discovery can be said to show regional variation in that the Seongju as the household god is worshipped together with the ancestors, who are personal gods, in the household. It was especially seen today in ancestral rites, memorial rites, and family birthdays. Therefore, this study discusses the reality of the Ancestor-Seongju table(祖上-城主床) in the Jeolla-do reg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