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입보살행섭삼십육의(入菩薩行攝三十六義)』의 보리심 연구 -『입보리행론』의 인도와 티벳의 주석서를 중심으로- (The study of the Bodhicitta in Bodhisattvacaryāvātaraṣaṭtriṁśatpiņḍārtha : focus on indian and tibetan commentaries of the Bodhisattva-caryāvatāra)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2.12
38P 미리보기
『입보살행섭삼십육의(入菩薩行攝三十六義)』의 보리심 연구 -『입보리행론』의 인도와 티벳의 주석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학회
    · 수록지 정보 : 禪學(선학) / 33호 / 217 ~ 254페이지
    · 저자명 : 양승규

    초록

    『입보리행론(入菩提行論, Bodhisattva-caryāvatāra)』은 샨티데바(Śantideva, 687-763)가 남긴 인도 대승불교의 걸작품이다. 대승보살행의 입문서로서 이 논서는 인도 뿐만 아니라 티벳에서도 널리 읽혔다. 후기 대승불교의 논서로서 드물게 한역된 논서이기도 하다. 그렇기 때문에 인도와 티벳 등지에서는 『입보리행론』에 대한 다수의 주석서가 찬술되었다. 인도에서 찬술된 주석서는 대부분 『입보리행론』의 어의와 의미를 재해석한 것이 대부분이지만, 『입보살행섭삼십육의(入菩薩行攝三十六義, Bodhisattva-caryāvatāra-ṣaṭtrimśat-piṇḍārtha)』는 약간 다른 목적으로 정리된 것으로 보인다.
    『삼십육의』는 『입보리행론』의 의미를 설명하는 방식의 주석서가 아니다. 『입보리행론』에서 설명하고 있는 내용을 까말라락씨따(Kamalarakṣita)와 디빰까라스리즈냐나(Dīpaṁkaraśrījňāna)가 간추려 요약한 것이다. 『삼십육의』는 『입보리행론』에서 중요한 게송을 모아 『입보리행론』 전체를 항상 떠올려 생각할 수 있도록 편찬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그렇기 때문에 『삼십육의』는 『입보리행론』의 장의 순서와 마찬가지로 『삼십육의』에서도 앞부분인1-18송에서 1장의 게송을 정리하고 있다.
    『입보리행론』에서는 보살행에 들어가는 것을 설명하기 때문에 보리심이 중심이 된다. 보리심은 대승불교에 들어가는 문이다. 이 문으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보리심의 토대가 필요하다. 이 토대를 『삼십육의』에서는 여가(餘暇)와 원만(圓滿)으로 설명한다. 이 토대에서 보리심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먼저 보리심을 이익을 명상해야 한다. 보리심의 공덕을 떠올릴 수 있으면 보리심을 일으킬 수 있다. 『삼십육의』에서는 보리심을 원심과 행심의 보리심으로 구분한다. 원심은 ‘일체중생을 위해 부처님의 깨달음을 증득하겠습니다’라고 발원하는 보리심이고, 행심은 원심을 일으킨 후에 보살의궤를 수지하여 보살의 행으로 나아가는 보리심이다. 원심과 행심의 보리심에도 여러 가지 공덕이 있기 때문에 보리심을 일으켜 보살의 행으로 나아가는 핵심적인 보리심을 항상 일으켜야 한다.

    영어초록

    Śāntideva has lived during the early eight century. His life is very little known, but his chief work the Bodhicaryāvātara, “Entering the Path of Enlightenment” was one of the greatest religious works in human heritage. He was a member of the Mādhyamika which was originated from Nāgārjuna. He also wrote the Śikṣāsamuccaya, “A Compendium of Discipline”. He was trying to explain the thought of enlightment(bodhicitta) and bodhisattva deeds in the subject of this study, the Bodhicaryāvātara.
    There are several commentaries about this Bodhicaryāvātara in India. Śāntideva’s earliest commentator was Prajňākaramati, who wrote the Bodhicaryāvātarapaňjikā. This survives in Sanakrit and Tibetan. Bodhisattvacaryāvātarasaṃskāra was composed by Kalyāņadeva in eleventh century. Vairocanarakṣita’s Bodhicaryāvātarapaňjikā and Vibhūticandra’s Bodhicaryāvātarapaňjikā Viśeṣadyotanī are available in Tibetan Tripitaka, we can also find very short and condensed forms of this commentary, Bodhisattvacaryāvātaraṣaṭtriṁśatpiņḍārtha(hereafter Triṁśatpiņḍārtha), “The Thirtysix condensed meaning of the Entering the Path of Enlightenment” and Bodhisattvacaryāvātarapiņḍārtha, “The condensed meaning of the Entering the Path of Enlightenment”. These two are compiled by Kamalarakṣita and Dīpaṁkaraśrījňāna. Triṁśatpiņḍārtha is the subject ot this study.
    Śāntideva’s primary subjects are bodhicitta and bodhisattva’s deeds. The sanskrit word bodhicitta is the mind of enlightenment. The mind of enlightenment is the only entrance into the Mahāyāna. To become a Mahāyāna practitioner, one must pratice the mind of enlightenment. The training in the sprit of enlightenment has two parts: the training based on the seven cause-and-effect personal instructions and the training based on the teaching of exchanging self and other. The latter was systematized by Śāntideva in his Bodhicaryāvātara.
    Bodhicitta consists of bodhi, which is enlightenment, and citta, which is mind. The mind of enlightenment is the desire for perfect enlightenment in order to able to work for the benefit of others. The mind of enlightenment is of two types, convention and ultimate, and the conventional is again divided into the aspirational and the practical. The aspirational mind of enlightenment is the wish to attain buddhahood in order to help all sentien beings. The practical mind of enlightenment is practicing the six perfections, having taken the bodhisattva vow. The ultimate mind of enlightenment is a wisdom cognizing emptiness direct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學(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