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계교회협의회(WCC) 제10차 부산 총회의 삼위일체 신학에 근거한 교회의 정체성과 과제 (The Identity and Task of the Church Based on Trinitarian Theology of the 10th General Assembly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in Busa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20.03
28P 미리보기
세계교회협의회(WCC) 제10차 부산 총회의 삼위일체 신학에 근거한 교회의 정체성과 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사상 / 188호 / 97 ~ 124페이지
    · 저자명 : 백충현

    초록

    세계교회협의회(WCC) 제10차 총회가 “생명의 하나님, 우리를 정의와평화로 이끄소서”(God of Life, Lead Us to Justice and Peace)라는 주제로2013년 10월 30일부터 11월 8일까지 부산에서 개최되었다. 제10차 총회에서는 “생명, 정의, 평화”를 강조함으로써, 온 세계가 직면하고 있는 심각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나름대로의 신학적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전의 세계교회협의회(WCC)의 총회들과 비교하면, 제10차 총회는 신학적인 해결과 방향의 근거를 삼위일체 신학에서 더욱 분명하게 가져오고있으며, 특히 교회의 정체성과 과제를 삼위일체 신학의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그러므로 제10차 총회와 관련된 문서들 속에서 삼위일체 신학이교회의 정체성 및 과제와 관련하여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분석하는것은 매우 필요하고 큰 의미가 있는 작업이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은 먼저 세계교회협의회(WCC) 안에서 삼위일체신학이 어떻게 형성과 발전되어 왔는지를 개괄적으로 살핀다. 이를 통하여 세계교회협의회(WCC)의 신학이 그리스도 중심주의로부터 삼위일체적성령-중심의 신학을 거쳐서 삼위일체 중심주의로 나아가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에 주목한다. 이와 같은 흐름 속에서 형성되고 발전되어 온 삼위일체 신학의 틀 속에서 제10차 부산 총회의 문서들에 접근할 때에 더 온전하게 이해할 수 있음을 제안한다. 그런 후에 본 논문은 제10차 부산 총회에서 제출되거나 채택된 문서들 중에서 본 논문의 주제와 관련이 있는8개의 문서들을 검토한다.
    이러한 분석과 연구를 통하여 본 논문은 세계교회협의회 제10차 부산 총회는 교회의 정체성과 과제를 삼위일체 신학에 근거시키면서 생명과 정의와 평화를 제시하고 있는 특징이 있음을 주장한다. 교회는 이 세상(cosmos )을 사랑하시는 하나님의 사랑에 기초한다. 이러한 사랑은 성부 성자 성령 안에서 이루어지는 상호 간의 사랑에 근거한다. 성부는 성자를 주시고 성령을 보내시며, 성자는 성령을 보내어주시기를 성부께 기도하시고, 성령은 구원사의 모든 과정을 인도하여 성부께 영광이 되도록하신다. 교회는 사랑의 코이노니아를 상호 간에 이루고 계시는 삼위일체하나님께서 우주 만물을 사랑하심으로써 생성되기에 교회는 근본적으로성삼위 하나님 안에 있는 친교이며, 또한 삼위일체 하나님의 친교의 반영이다. 그러기에 교회는 삼위일체 하나님께서 온 세계를 향해 가지고계시는 목적과 비전에 참여하고 동참한다. 성부께서 성자와 성령을 보내셔서 파송 및 선교의 본을 보여주셨듯이 사랑의 코이노니아에 근거한 교회도 파송 및 선교의 사명을 살아갈 수 있다. 그러기에 교회는 본질적으로 선교의 공동체이다. 모든 생명을 창조하신 삼위일체 하나님을 믿고고백하는 교회는 화해와 평화를 이루는 정의로운 공동체이며, 전 세계의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구조들 속에서도 생명과 정의와 평화를 추구하고실천하는 대행자이다. 이러한 점에서 교회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코이노니아(koinonia )이며 미시오(missio )이다.

    영어초록

    The 10th general assembly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was held in Busan in 2013 with the main theme of “God of Life, Lead Us to Justice and Peace.” This general assembly suggested a theological direction for dealing with Several issues of the world, by emphasizing life, justice, and peace. In comparison with previous general assemblies, the 10th general assembly drew its theological solution and direction more clearly from trinitarian theology, more so especially with regards to the identity and task of the church. Therefore, it is very necessary and important to have a deep look into how trinitarian theology is related to the identity and task of church in the documents of the Busan general assembly. In order to do so, this paper tries to survey how trinitarian theology has been shaped and developed within the WCC. This paper notes that the WCC’s theology has shown its own trajectory, beginning with a Christo-centricism, passing through trinitarian Pneuma-centricism, and going forwards into a Trinity-centricism. Thus, this paper seeks to examine 8 documents of Busan general assembly, which are related to the main theme, especially in terms of trinitarian theology. After such analysis and research, this paper argues that Busan general assembly based the identity and task of the Church on trinitarian theology, emphasizing life, justice, and peace. The Church is grounded in the love of the triune God for the cosmos, which is the koinonia of God the Father, God the Son, and God the Holy Spirit. As the Church comes into being through the love of the triune God, it is also supposed to participate in and reflect the koinonia of the triune God, and thus, further the missio of the triune God. Therefore, the Church, as a community of believers confessing the triune God, Creators of the whole cosmos, is a community of seeking life, justice, and peace. In a word, the Church is the koinonia and missio of the triune God in the whole cosmo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