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흥 출신 음악가 최옥삼이 작곡한 「사도성의 이야기」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tory of Sadoseong」composed by Jangheung musician Choi Ok-sam)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22.12
40P 미리보기
장흥 출신 음악가 최옥삼이 작곡한 「사도성의 이야기」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남도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남도민속연구 / 45호 / 271 ~ 310페이지
    · 저자명 : 최진

    초록

    본 연구는 최옥삼(崔玉三, 1905~1956, 전남 장흥)이 작곡한 「사도성의 이야기」 5막 6장의 악보 구성 내용을 살펴보고 장단과 템포(빠르기)를 중심으로 음악적인 특징을 살펴본 연구이다.
    먼저 최옥삼의 삶을 통하여「사도성의 이야기」에 나타난 관아음악, 무계음악, 민속악에 이르기까지 음악적 구성을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는 배경을 찾을 수 있었다. 최옥삼은 장흥 신청(神廳)과 교방청에서 연주자와 교육자로서 활동하면서 무계음악, 판소리, 가야금산조, 관아음악, 연향악, 삼현육각까지 다양한 음악적 역량을 갖추었다. 특히 현악기 연주자가 다루기 어려운 대금, 단소와 같은 관악기 연주까지 두루 섭렵하였다. 이러한 전통음악에 대한 이해도는 「사도성의 이야기」의 작품을 구성하는 데 전반적으로 영향을 준 장점이고 특징이었다.
    「사도성의 이야기」의 음악 구성은 전체적으로 대본 스토리에 적합하게 다양한 장르를 적용하였다. 「사도성의 이야기」에서 스토리에 맞게 작곡된 것은 판소리를 풀어나가는 전통적 음악 어법을 잘 알고 있는 작곡가의 예술적인 감각과 의도가 보이는 부분이다. 최옥삼은 판소리에서 가장 중요한 아리아를 부를 때 진양의 느린 장단을 활용하여 감정표현을 극대화하는 장단 활용법을 알고 있었다. 즉, 슬프거나 사랑의 애틋한 감정들은 느린 장단을 활용하였고, 왜적이 침입하는 긴박한 상황은 빠른 계열의 장단을 활용하여 극을 전개하고 있다. 이러한 작곡기법은 판소리에서 활용되었던 극에 맞게 음악을 구성하거나 산조에 나오는 장단들을 「사도성의 이야기」에 전체적으로 반영한 것이다.
    「사도성의 이야기」의 장단 활용은 민속악(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휘모리), 민간 삼현육각 계열(도드리), 느진타령(늦은타령), 념불(염불), 굿거리, 당악, 무계장단(안땅), 대향놀이(대왕놀이), 삼궁잽이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사용되었다. 「사도성의 이야기」는 무계음악 8번, 관아음악 11번, 민속음악 19번까지 다양한 장르의 장단을 활용하였다.
    「사도성의 이야기」에 나타나는 템포(빠르기)는 만남, 사랑, 이별과 같은 감정을 강하게 표출하는 장면에서는 진양조(♩.= 80~85)를 사용하였고, 왜적 침입과 전투의 장면에서는 잔모리(자진모리)와 당악과 같은 12/8박, 4/4박자의 빠른 장단(♩.=110~120)을 사용하였다.
    최옥삼이 작곡기법에 사용한 리듬 형태는 진양조 3․3․3․3․3․3의 3박자 중심의 리듬을 사용하였다. 12/8박자의 장단에서는 2․2․2․3․3 / 3․3․2․2․2 / 3․3․3․3 / 3․2․3․2․2 / 2․2․2․2․2․2 / 2․2․3․3․2 그리고 4/4박자의 장단에서는 2박자 중심 리듬 구조로 이루어졌다.
    결과적으로 최옥삼이라는 월북 음악인의 예술적인 역량에 대한 진정한 논의를 통하여 「사도성의 이야기」를 구성하는 기능성과 정서 표현 측면에서 최옥삼이 예술감독으로서 역할을 담당하고, 작곡 능력을 발휘한 배경을 찾았다. 그리고 1950년대 작곡된「사도성의 이야기」는 전통적 음악 어법뿐만 아니라 서양적인 악보 기법을 자유롭게 섞어서 사용하였으며, 표제 중심의 악곡을 연출하여 전통음악의 새로운 가능성을 표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향후 「사도성의 이야기」에 활용된 전통적 음악 어법의 다양한 전개 방법을 통하여, 전통 예술 발전의 지평을 열어가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영어초록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composition of Act 5 Chapter 6 of 「The Story of Sadoseong」 composed by Choi Ok-sam (崔玉三, 1905~1956, Jangheung, Jeollanam-do), who is well known as composer with the musical abilities for Gayageumsanjo and Daegum. 「The Story of Sadoseong」 is a folk music composition,where the choreography and script were composed by well known dancer named Choi Seung-Hee.
    First, through Choi Ok-sam’s life, I was able to find a background for various musical compositions, ranging from government music, martial arts music, and folk music that appeared in 「The Story of Sadoseong」. Choi Ok-sam worked as a performer and educator at Jangheung Application and Gyobang Office, and had various musical abilities, including martial music, Pansori, Gayageumsanjo, government-run music, Yeonhyangak, and samhyeon yukgak. In particular, he was able to play wind instruments such as daegeum and danso, which were difficult for string players to handle. This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music was an advantage and characteristic that generally influenced the composition of the work of 「The Story of Sadoseong」.
    The musical composition of 「The Story of Sadoseong」 applied various genres to suit the script story as a whole.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story in 「The Story of Sadoseong」 shows the artistic sense and intention of the composer who is well aware of the traditional musical grammar of solving Pansori. Choi Ok-sam knew how to use the rhythm to maximize emotional expression by using Jinyang’s slow rhythm when singing the most important aria in Pansori. In other words, sad or affectionate emotions of love used slow beats, and the urgent situation in which the Japanese invaders invaded used fast beats to develop the play. This composition technique is to compose music according to the play used in Pansori or to reflect the rhythm and rhythm from Sanjo in 「The Story of Sadoseong」.
    The rhythm and use of 「The Story of Sadoseong」 were widely used from folk music(Jinyangjo, Jungmori, Jungjungmori, Jajinmori, Hwimori), folk Samhyeon hexagonal series(Dodri), Neintaryeong(late Taryeong), Numbul(Yeombul), Gutgeori, Dangak, Mugyejangdan(Andang), Daehyangnori, and Samgungjap. 「The Story of Sadoseong」 used various genres of rhythm, including Mugye Music No. 8, Government Office Music No. 11, and Folk Music No. 19.
    As for the tempo(fastness) in 「The Story of Sadoseong」, Jinyangjo (♩.= 80~85) was used in scenes where emotions such as meeting, love, and parting were strongly expressed, and Janmori(Jajinmori) and Dangak was used in scenes of invasion and battle by Japanese invaders, 12/8 time, 4/4 time, fast beat (♩.=110~120) was used.
    The rhythm form used by Choi Ok-sam in the composition technique was a structure of Jinyangjo 3ㆍ3ㆍ3ㆍ3ㆍ3ㆍ3 and 3, and the rhythm centered on the three beats was used. In 8/12 beats 2ㆍ2ㆍ2ㆍ3ㆍ3, / 3ㆍ3ㆍ2ㆍ2ㆍ2, / 3ㆍ3ㆍ3ㆍ3 / 2ㆍ2ㆍ2ㆍ2ㆍ2ㆍ2. And in the 4/4 beat, it was composed of a rhythm structure centered on two beats of 2ㆍ2ㆍ2ㆍ2.
    As a result, through true discussion about artistic Choi Ok-sam’s ability as an escapee from North Korea, his composing ability and his ability as director for appropriate composition and emotion expression of 「The Story of Sadoseong」 were discovered.
    「The Story of Sadoseong」, composed in the 1950s, is very meaningful in that it freely mixed not only traditional music grammar, but also Western music techniques, and expressed new possibilities of traditional music by producing title-oriented music.
    In the future, there is hope that this will help open the horiz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ar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rough examples of various methods of development of traditional musical grammar used in 「The Story of Sadoseo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도민속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