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실학자 홍중삼의 무과(武科)인식과 무과개혁안 연구 (A Study on Awareness and the Reform of Military Examination by Hong Jung Sam, a Silhak scholar in the late Joseon Dyna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22.04
28P 미리보기
조선후기 실학자 홍중삼의 무과(武科)인식과 무과개혁안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중앙사론 / 55호 / 55 ~ 82페이지
    · 저자명 : 한종수

    초록

    본 논문은 16-17세기 조선의 현실에서 실학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武科 운영 및 폐단을 살펴보고 특히 학계에 잘 알려진 바가 없는 실학자 홍중삼이 제시한 무과를 통한 인재등용방안을 처음으로 소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주지하다시피 동 시기는 양란으로 피폐해진 향촌사회의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유학자들의 국가재조론이 대두하고 있던 시기이며, 국가의 「오가통사목」반포 등을 통해 국가의 향촌지배체제가 한층 강화되는 시기였다. 또한 인재 선발을 위한 과거제도 중 무과는 조선후기에 들어서는 千科․ 萬科라 불렸듯이 많은 인원을 뽑았으나, 많은 인원이 관료로 등용되지 못하는 등 사회적으로 다양한 문제를 야기하는 상황이었다. 필자가 이 논문을 통해 소개하는 실학자 홍중삼은 호서지역인 아산에서현종 14년(1673)에 사마시 합격이후 숙종 32년(1706) 學術로 중앙정계에진출하기 전까지 약 30년 동안 향촌사회에서 거주하면서 향촌사회에서 백성들이 겪고 있는 고통을 직접 경험하였고, 인재등용의 방안으로 천거제외에도 科擧試에서 행하는 「明經取士」 ․ 「製述取士」 ․ 「弓馬取人」과 같은 경우에도 각각의 구체적인 「節目」을 제시함으로써 인사제도 개혁을 완성하고자 하고자 하였던 인물이다. 본고에서는 필자는 홍중삼이 17세기 당시 무과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고더 나아가 그가 제시하고 있는 「무과변통절목」 내용을 무예에 능한 인재보다는 『병서』나 『경서』에 능한 인재 등용의 내용을 제시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작업은 일련의 실학자들 즉, 반계 유형원, 성호 이익, 순암 안정복, 다산 정약용 등이 제시한 무과개혁안의 내용과는 달리 또 다른 실학자 홍중삼을 통해 무과에 대한 개혁논의가 존재했다는 내용을 제시하는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홍중삼이 저술한 『향약통변』에서 제시하고 있는 인재등용 방안으로 제시하고 있는 「薦擧科」 ․ 「明經科」 ․ 「製述科」 ․ 「武科」 등 4 條 중 17세기를 중심으로 제기된 「무과」에 대한 인식과 그로 인해 발생한폐단을 다른 실학자들과 비교하여 살펴보고 그 해소방안으로 제기하고 있는 「武科變通節目」의 내용을 처음으로 학계에 소개하는 데 필자는 의미를두었다. 이상과 같이 홍중삼은 『鄕約通變』의 저술을 통해 향촌사회의 흐트러진기강을 바로잡는 방안으로 국가를 다스리는데 있어 인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특히 무과제도와 같은 인사제도의 폐단을 개혁안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operation and harms of martial arts recognized by Silhak scholars in the realities of Joseon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and to introduce for the first time a method for recruiting talents through martial arts suggested by Silhak scholar Hong, Jung Sam, who is not well known in academia. The 17th century was a time when Confucian scholars came up with the theory of national reconstruc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reality of a rural society ravaged by conflicts. Hong, Jung Sam lived in Asan, a Hoseo region, for about 30 years after passing Sama Examination (司馬試) in the 14th year of King Hyeonjong (1673) and before entering the central political world as a scholar in the 32nd year of King Sukjong (1706). In addition to the Recommendation system (薦擧制), as a method of recruiting talents, the personnel system reform by suggesting specific “Regulation” (節目) for each such as Myeonggyeong Chwisa (明經取士), Jesul chwisa (製述取 士), and Gungma Chwiin (弓馬取人), which are conducted in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System (科擧試). wanted to complete. In this paper, Hong Jung Sam examines the perception of radish at the time of the 17th century, and furthermore, suggests that the contents of Mugwatongjeolmok」 that he proposes to hire talented people in Byeongseo or Gyeongseo rather than those skilled in martial arts. can be checked. This work is considered to have meaning that, unlike the contents of the no-gwa reform plan presented by a series of Silhak scholars such as Bangye Ryu, Hyung Won, Seong-ho Yi, Ik, Sunam Ahn, Jeong Bok, and Dasan Jeong, Yak Yong, there was a discussion about the no-gwa reform within the rural communities. As described above, Hong Jung Sam, through the writing of Hyangyak Tongbyeon 『鄕約通變』,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human resources in governing the country as a way to correct the disordered discipline of rural society, and especially to overcome the evils of the personnel system such as the no task system. It is appreciated in that it contains.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앙사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