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강원도 삼본사 수련소의 설립과 운영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Gangwon-do Three Head Temple Training Center)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21.05
34P 미리보기
강원도 삼본사 수련소의 설립과 운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98호 / 143 ~ 176페이지
    · 저자명 : 이원석

    초록

    본고는 총독부의 심전개발운동(心田開發運動) 아래 강원도가 추진한 사업, 특히 삼본사(三本寺) 수련소의 설립과 운영을 고찰한 것이다.
    우가키 가즈시게 총독이 추진한 심전개발운동은 종교부흥과 신앙배양으로 황국신민을 양성하려는 사회교화와 사상통제의 정책이었다. 이는 1935년 6월 사찰정화의 통첩으로 본격화되었고, 1936년 1월 ‘國體觀念의 明徵’을 비롯한 삼대원칙이 하달되었다. 그 중심은 불교였고, 중앙교무원(中央敎務院)도 적극적으로 참가하였다.
    1935년 7월초 강원도지사 손영목(孫永睦)은 삼본사 주지에게 사찰정화와 승려수양을 훈시하였고, 내무부장은 승려수행과 승규진작을 실천사항으로 지시하였다. 강원도는 1936년 1월 말부터 삼본사주지 타합회(打合會)를 열어 각종 사업을 계획, 추진하였다. 그 가운데 승려안거법회(僧侶安居法會)는 수련소의 모태였다. 이는 불교지도자를 양성하여 심전개발운동을 민간으로 확산하려는 것이었다.
    1936년 4월 중순 주지 타합회는 승려안거법회를 삼본사 수련소로 바꾸었다. 수련소는, 상원사에서 1년의 안거(安居) 동안 삼본사 주지의 추천을 거쳐 도지사가 허가한 중견수좌를 교육하였다. 6월 1일 제1기생 입소식이 열렸고, 1941년 봄 4기생의 수료를 끝으로 해체되었다. 만 5년 동안 수료자는 50명 미만이었고, 해체 뒤에 조선불교 조계종 상원사 수련소로 이어졌다.
    수련소의 운영은 강원도 내무부가 주도한 삼본사 등의 주지 타합회에서 의결되었다. 소장은 내무부장이고, 실제 교육은 중강 탄허의 보조를 받은 한암이 담당하였다. 교육 일과는 식전 · 오전 · 저녁의 참선, 특히 오후의 경전 강설이 주목된다. 한암의 승가오칙(僧家五則)은 여기서 확립되었다. 수료시험은 『금강경』의 암송이었고, 특전은 대덕(大德)의 수여이다.
    삼본사 수련소는 성공적이지 않았지만 근대적 승려교육기관으로 탄허 등을 배출하거나 한암이 승가오칙으로 전통불교를 재정립한 점에서 의미가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ideological project including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Three Head Temple Training Center, promoted by Gangwon-do province as a part of the Mental Enlightenment Movement.
    The Mental Enlightenment Movement pushed by the Governor, Ugaki Kazushige, was part of the policy for social enlightenment and thought control to train subjects of the Japanese Empire through religious revival and faith cultivation. This was regularized in June of 1935 with the notification for the purification of temples, and finally in January of 1936, three main principles including the Japanese ruling system focusing on Japanese Emperor were delivered. At the center was Buddhism and The Central Administrative Headquarters of Buddhist Foundations, which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In early July, 1935 Son Young monk, the governor of Gangwon-do, instructed the head monk of the Three Head Temple to purify the temple and train monks. The Chief of Home Affairs of Gangwon-do gave instructions to enhance monk asceticism and rules regarding discipline as well as other practice details. In late January of 1936, the province of Gangwon-do held a preliminary meeting with the head monk of the Three Head Temple, to plan and promote various projects. In particular, Buddhist varsa ceremonies (안거, retreats) were the beginning of the Three Head Temple Training Center. It intended to spread the Mental Enlightenment Movement into the private sector by cultivating Buddhist leaders.
    In mid-April 1936, the preliminary meeting of the Three Head Temple changed Buddhist varsa ceremonies into the training center. The training center operated a course which trained mid-level monks who were approved by the provincial governor after getting a recommendation from the head monk of the Three Head Temple. On June 1st, the entrance ceremony for the first semester was held at Sangwon Temple, and disbanded after the fourth semester in the spring of 1941. In total, less than 50 monks completed the program. The center continued to function as a at Sangwon Temple under the Joseon Buddhist Jogye Order after the breakup.
    The operations of the training center was decided at the preliminary conference of Three Head Temple led by the department of Home Affairs of Gangwon-do. The manager was the Chief of Home Affairs of Gangwon-do, and the actual training was carried out by Han-am who was assisted by Junggang Tan-heo. It is notable that meditation was practiced before-meals, in the morning, and in the evening as well as a lecture on Buddhist scriptures in the afternoon. Furthermore, Han-am’s five rules of Buddhism (僧家五則) was established at this time. Finally, the completion test for monks consisted of the recitation of the Diamond Sutra. If passed the monk was granted the title of ‘Great Monk.’ Although the training center was not successful, it is meaningful in that, as a modern educational institute, it cultivated leading figures in modern Buddhism like Tan-heo. It also led to Han-am’s re-establishment of traditional Buddhism with his five ru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