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학령기 자녀를 양육하는 전업주부의 삶에 관한 예술기반 내러티브 탐구: 코로나19 시기를 중심으로 (An Art-based Narrative Inquiry on the Life of a Full-time Housewife Raising School-age Children: Focusing on the COVID-19 Period)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22.11
21P 미리보기
학령기 자녀를 양육하는 전업주부의 삶에 관한 예술기반 내러티브 탐구: 코로나19 시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한국예술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예술치료학회지 / 22권 / 2호 / 65 ~ 85페이지
    · 저자명 : 최영숙, 홍윤선

    초록

    본 연구는 학령기 자녀를 양육하는 전업주부가 코로나19 발생 전후의 시기에 겪고 있는 경험과 삶의 의미를 예술기반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통해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예술기반 내러티브 탐구방법은 연구자와 연구참여자가 특정 경험을 중심으로 심층면담을 할 때 예술적 과정과 표현을 매체로 사용하는 탐구방법이다. 예술기반 내러티브는 경험의 기억을 재생산하고 비언어적 표현으로 언어표현을 돕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5명의 전업주부를 대상으로 2021년 3월부터 4월까지 각각 주 1회 120분∼180분씩 총 3회기에 걸쳐 미술을 기반으로 한 심층면담을 진행하며 현장텍스트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발견한 참여자의 삶의 의미는 ‘멈춤-집에서 발견하는 나의 모습’, ‘돌아봄-다시 나로 살기’, ‘다시시작-관계에 대한 생각’ 등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의미는 코로나19 시기를 통해 개인적 맥락에서 ‘엄마가 아닌 나의 존재를 다시 확인하기’로 탐구하였으며, 관계적 맥락으로는 ‘새롭게 발견되는 가족’으로 탐구하였다. 예술기반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통해 학령기 자녀를 양육하는 전업주부에게 개인적으로 경험된 삶을 재조명하며, 경험을 재해석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코로나19와 같은 특수한 시기를 경험하게 되는 학령기 자녀를 양육하는 전업주부의 삶을 연구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and meaning of life experienced by full-time housewives raising school-age children in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through an art-based narrative inquiry method. The art-based narrative inquiry method is an inquiry method that uses artistic process and expression as a medium when re searchers and research participants have in-depth interviews focusing on specific experiences. Art-based narrative has the advantage of reproducing the memory of experience and helping verbal expression through non-verbal expression. In this study, art-bas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full-time housewives raising school-age children,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March 2021 to April 2021, and field texts were collected for a total of three sessions, 120 to 180 minutes per week.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meaning of the participants' lives was derived as 'Stop-Myself Found at Home', 'Looking Back-Living as Me Again', and 'Thinking about Restart-Relationship'. This meaning was explored as 're-confirming my existence, not my mother, in a personal context through the COVID-19 period, and as a 'newly discovered family' in a relational context. The art-based narrative exploration method pro-vided an opportunity to re-examine the life experienced personally and reinterpret the experi-ence to full-time housewives raising school-age children. In the future,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study the life of full-time housewives raising school-age children who experience special periods such as COVID-19.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예술치료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