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대별 남성 근로자의 일과 삶의 균형(Work and Life Balance) 유형과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A Typology on the Work and Life Balance of Male Workers)

6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9.08
60P 미리보기
세대별 남성 근로자의 일과 삶의 균형(Work and Life Balance) 유형과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와 사회 / 27권 / 2호 / 385 ~ 444페이지
    · 저자명 : 최유정, 이희정

    초록

    본 연구는 세대별 남성 근로자의 일․삶 균형 유형을 추출해 유형별 특징을 비교하고, 각 유형별 영향 요인들을 파악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토대로 19-64세 남성 상용임금근로자 1,772명의 시간 사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세대를 막론하고 남성 근로자들의 일 관련 활동 시간은 현저히 길고 성장관련 시간은 짧다. 청년세대는 일 관련 시간이, 기성세대는 여가 관련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다. 일과 삶의 균형을 유형화해 비중 순으로 정리해보면 청년세대는 “일중심형”, “여가중심형”, “가족중심형”, “성장중심형”으로, 기성세대에서는 “일‒여가병행형”, “일중심형” “가족중심형”, “여가중심형” “성장중심형”으로 분류된다. 청년세대에서는 일․삶 균형 유형이 상대적으로 고르게 나타나지만, “일중심형”이 가장 다수를 이루며, 일 관련 시간이 전반적으로 길고, 일 이외 영역 중 하나를 선택해 시간배분을 집중하는 경향을 보인다. 기성세대는 특정 영역에 치우친 정도가 상대적으로 덜하나 대다수가 일에 방점을 두고 있다. 세대별로 각 유형의 특징과 영향 요인을 종합하면, 청년세대의 “일중심형”은 교육년수가 짧은 편이고, 농림기능기계 종사자, 기혼, 미취학 아동이 없는 경우, 서울수도권 거주자 비율이 높다. “일중심형”과 비교할 때, 청년세대의 “여가중심형”은 관리전문직, 미취학 자녀가 없고, 서울수도권 거주자, 자가 거주자일 때, “가족중심형”은 관리전문직, 기혼, 미취학 자녀가 있고, 비서울수도권 거주자일 때 영위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성장중심형”에는 직업 요소가 주효해서 관리전문직, 사무직일 때 “일중심형”보다 이 패턴에 속할 확률이 높다. 기성세대의 “일중심형”은 기혼이 가장 많고, 맞벌이, 농림기능기계 종사자, 서울수도권 거주 비중이 큰 편이다. “일중심형”과 비교하면, 고소득, 사무직, 미취학 아동이 있거나, 비서울수도권 거주자일 때 “일‒여가병행형”이 될 가능성이 커진다. 기성세대 남성 근로자는 미취학 아동이 있거나, 맞벌이일 때, 성역할 태도가 진보적이고. 비서울수도권 거주일 경우 “가족중심형”이 될 개연성이 크다. 또한 연령이 높거나, 판매서비스직, 비서울수도권 거주이면 “일중심형”보다 “여가중심형”이, 교육 수준이 높거나 관리전문직이면 “성장중심형”에 속할 가능성이 크다. 결혼, 미취학 아동으로 인한 가족 내 역할 부담, 주택, 직업 등의 여건이 삶의 균형을 제약하지 않게 하는 사회문화적, 정책적, 개인적 노력이 요구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types of male paid workers' work-life balance by generation, compare their characteristics, and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types. By examining the time use of 1,772 full-time male paid workers aged 19-64 years from the 2014 Korean Time Surve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Regardless of generation, male workers still spend the longest time on work but the shortest time on growth-related activities. The younger generation has a relatively longer time for work, and the older generation has a relatively longer leisure time. According to cluster analyses, younger male workers are categorized into “work-oriented type,” “leisure-oriented type,” “family- oriented type,” and “growth-oriented type” in order of frequency. In a similar way, older male workers are grouped into “work-leisure parallel type,” “work-oriented type,” “family-oriented type,” “leisure-oriented type,” and “growth-oriented type.” Although the types of work-life balance are relatively distributed evenly in the younger generation, “work-oriented type” is the most common. They have relatively longer working hours, leading to the selection of a non-work domain to focus time on. The older generation is relatively less inclined to give weight to a specific domain, but the majority appear to live work-oriented lives. Tur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determinants for each type by generation, younger male workers of “work-oriented type” are more likely to be married, early school leavers, agricultural-manual workers, men without preschoolers, or Seoul metropolitan residents. Compared with those in “work-oriented type”, younger male workers a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leisure-oriented type” if they are managerial-professional workers, men without preschoolers, Seoul metropolitan residents, or home owners, and to “family oriented type” if they are managerial-professional workers, married, preschoolers’ parents, or non-Seoul metropolitan residents. An occupation is an useful predictor for “growth-oriented type” that office workers or managerial-professional workers highly become. Older male workers in “work-oriented type” have the highest marriage rate, and have high proportion of dual-income couples, agricultural-manual workers, or Seoul metropolitan residents. Older male workers who are high income earners, office workers, preschoolers’ parents, or non-Seoul metropolitan residents are more likely to be “work-leisure parallel type.” They use more time for family activities if they are preschoolers’ parents, dual-earner couples, nontraditional attitude of gender role, or non-Seoul metropolitan residents. Older male workers with managerial-professional jobs or high educational levels are more likely to be “growth-oriented type”, while those who are older, sales-service workers, or non-Seoul metropolitan residents highly become “leisure-oriented.” It is necessary to take sociocultural, policy, and individual efforts to reduce the burden of role in family due to marriage and preschoolers, and to prevent economic conditions, such as housing and occupation from disrupting the balance of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와 사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