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시재생 지역 내 공동체 의식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갈등대처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Conflict Handl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y Sense and Quality of Life in Urban Regeneration Areas)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23.11
23P 미리보기
도시재생 지역 내 공동체 의식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갈등대처의 조절효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안전문화연구 / 25호 / 33 ~ 55페이지
    · 저자명 : 박창규, 공정식, 박옥평, 왕성, 김대영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 수원시 연무동에서 발생하는 불법주차로 인한 갈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 지역주민들이 가장 선호하는 주차해결모델을 탐색하고 지역특성을 고려한 주차해소제도들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이 지역은 구도심 중 도시재생 지역으로 저층주거밀집지역이라는 특성이 있고 노인거주 비율이 높으며, 10년 이상 장기간 거주자가 많은 특성을 갖고 있다. 이에 지역주민들의 공동체의식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갈등대처가 조절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시재생 관련 학술자료수집, 공공기관 통계자료분석,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사하였고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7 통계기법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집단차이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첫째, 이 지역주민들은 주차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시민참여형’과 ‘기존시설활용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중에서 ‘노후주택매입 주차장개발’, ‘내집 주차장 갖기’, ‘학교운동장 등 공공시설 활용’, ‘자투리땅 활용’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둘째, 지역주민들은 공동체의식이 다소 높은 편에 해당하고 갈등해결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편이기는 하지만 삶의 질은 다소 낮은 수준에 해당한다. 셋째, 지역주민들의 긍정적인 공동체 의식과 부정적인 삶의 질의 관계에서 갈등대처유형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 지역은 노인들의 비율이 상당히 높다는 점이 장점이 될 수도 있으나 젊은 층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은 지역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라는 점을 감안하여야 한다. 이에 젊은 층을 유입하기 위한 정책적 고려가 필요하고, 특히 민간주도의 지역협의체를 활성화하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또한, 지역주민의 공동체의식이 높을수록 삶의 질도 긍정적으로 영향을 받지만, 여기에 긍정적인 갈등대처가 그 효과를 더욱 배가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갈등관리 교육을 제공하는 방안을 정책적으로 검토하여야 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eferred parking solution model for residents of Yeonmu-dong, Suwon-si, Gyeonggi-do, in order to address conflicts arising from parking problems and to develop parking relief systems tailored to local characteristics. Yeonmu-dong is situated in an urban regeneration area within the old city center, characterized by low-rise residential density, a high percentage of elderly residents, and a significant number of long-term residents who have lived there for more than a decade. Our primary objective was to investigate whether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have a moderating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s' sense of community and their quality of life.
    To achieve our research objectives, we gathered academic literature related to urban regeneration, analyzed statistical data from public institutions, and conducted a survey of local residents. We then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group difference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survey data using SPSS 27 statistical techniques.
    The analysis revealed several key findings. Firstly, residents expressed a preference for parking solutions falling under the categories of 'citizen participation type' and 'existing facility utilization type' to alleviate parking space shortages. Some of the suggested alternatives included 'developing parking lots by purchasing old houses,' 'having parking facilities at home,' 'utilizing public facilities such as school playgrounds,' and 'making use of vacant land.' Secondly, although local residents exhibited a relatively high sense of community and employed positive conflict resolution methods, their overall quality of life was somewhat low. Lastly, the relationship between a positive sense of community and a negative quality of life was found to be influenced by the type of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employed.
    In conclusion, while the presence of a significant elderly population in the region can be advantageous, it is important to address the declining number of young residents, which can hinder regional development. Therefore, policies aimed at attracting younger individuals should be considered, along with initiatives to promote privately-led community councils. Furthermore, it was observed that a higher sense of community among local residents positively affects their quality of life. To enhance this effect, policy efforts should include providing conflict management education for local resid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안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