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남익 시인의 초기시에 나타난 실존의식 연구 - 삶의 본래성 탐색을 중심으로 - (A Study on Existential Consciousness Shown in Poet Jo Nam-ik's Early Poetry - Focusing on Exploration of Existential Authenticity -)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5.12
28P 미리보기
조남익 시인의 초기시에 나타난 실존의식 연구 - 삶의 본래성 탐색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예비평연구 / 48호 / 89 ~ 116페이지
    · 저자명 : 김석환

    초록

    본 논문은 조남익 시인의 초기시에 나타난 실존의식을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일상적 삶에서 어떻게 실존의 본래성을 탐색해 나가는가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해 보았다. 우선 등단한 시를 고찰함으로써 논의의 출발점으로 마련하고 장차 전개될 시인의 시세계의 원형을 살펴보았다. 시「수고리」에서 존재자들이 침묵과 몸으로 서로 교섭하며 존재의미를 갖게 할 뿐만 아니라 성의 공간으로 승화된 수고리라는 공간을 그리고 있다. 그 공간은 도래할 본래적 존재가능성이 유지되는 세계의 상징이다. 시「산바람 소리」에서 조남익 시인은 일상 중에서 양심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자신의 실존을 확인하고 새로운 세계에 다가가고자 한다. 그리고 시「북촌리 타령」에서는 가족이라는 가족을 배려하며 살면서 죽음의 소리를 들음으로써 가족을 배려하며 사는 일상적 삶에서 본래성을 성취하려는 실존의식을 드러낸다. 등단 시 3편에서 나타나는 실존의식의 특징은 초기의 시편들에서 다양하게 변주되며 일관적으로 드러난다. 조남익 시인의 시에서 ‘소리’가 빈번히 등장하는데 이는 모두 내면에서 울리는 ‘양심의 소리’를 상징한다. 시인은 ‘소리’에 귀를 기울이면서 불안을 느끼는데 그것은 시인으로 하여금 본래적 자기의 존재 앞에 불러 세우는 작용을 한다. 또한 조남익 시인의 시에서 ‘절망’과 그 변이체가 빈번히 등장하는데 이 역시 전체적 본래성을 인수하게 하는 기초로서 작용한다. 조남익 시인은 존재의 유한성에 직면하여 절망하며 죽음이나 세계 너머에 존재하는 절대적 존재를 의식한다. 따라서 ‘절망’ 역시 실존의 본래성을 찾기 위한 토대로서 작용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into existential consciousness that is shown in a poet Jo Nam-ik's early poetry. A research was tried to focus especially on whether the existential authenticity proceeds with being explored in daily life. It considered the debuted poems first, thereby having arranged it as the starting point of discussion and having examined the poet's model of poetic world that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In a poem「Sugori(水古里)」, the beings are allowed to have the meaning of existence with mutually negotiating with silence and body. In addition, the space called Sugori, which was sublimated into the space of gender, is being depicted. The place is a symbol of the world that is maintained the authentic existential possibility that will arrive. In a poem titled「Sound of Mountain Wind」, the poet Jo Nam-ik aims to confirm own existence and to approach new world with listening to the sound of conscience in the middle of daily life. And in a poem「Song of Bukchon-ri」, the existential consciousness is revealed that tries to achieve authenticity in everyday life of being made with considering a family through listening to the sound of death while living with considering a family. A characteristic of existential consciousness, which is shown in 3 pieces of the debuted poetry, is consistently exposed with being diversely varied in the early poetic pieces. In a poet Jo Nam-ik's poetry, ‘sound’ appears frequently. This completely symbolizes 'sound of conscience' that touches the inner side. A poet feels anxiety while listening to 'sound.' That functions as allowing a poet to be called to stop in front of the authentic self existence. Also, in a poet Jo Nam-ik's poetry, 'despair' and its mutant appear very often. This also acts as the base that makes the entire authenticity acquired. Poet Jo Nam-ik gives up hope with confronting the finitude of existence and is conscious of the absolute existence that is in death or beyond world. Accordingly, even ‘despair’ functions as the foundation for seeking the existential authentic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예비평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