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성범죄 재소자를 위한 영화치료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좋은 삶 모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cinema therapy program on the prisoners of sexual offense: Focusing on Good Life Model)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8.04
28P 미리보기
성범죄 재소자를 위한 영화치료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좋은 삶 모델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정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정복지연구 / 53호 / 1 ~ 28페이지
    · 저자명 : 김수지, 정윤경

    초록

    본 연구는 좋은 삶 모델을 기반으로 영화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성범죄 재소자들의 재범 및 범죄유발요인인 성적관심 및 일탈, 성에 대한 왜곡된 인지, 사회-정서적 기능, 자기관리영역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A교도소 성범죄 재소자 12명을 실험집단으로 좋은 삶 모델에 기초한 영화치료프로그램을 실시했으며, 기본 프로그램을 이수한 성범죄 재소자 12명을 통제집단에 배정하였다. 프로그램 운영은 2017년 7월부터 10주간 매주 1회 150분씩 총 10회 실시하였다. 인구학적 변인으로 연령과 범죄유발요인들의 사전 점수는 아동성추행, 충동성 항목을 제외하고 동질하게 나타났다. 즉, 프로그램 개입단계에서 영화치료 프로그램 집단이 기본 수강프로그램 집단에 비해 아동성추행과 충동성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각 집단의 사전점수를 통제한 후, 공분산분석(ANCOVA)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아동성추행, 충동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입효과를 얻지 못하였으나, 자아존중감, 강간통념, 상태-특성 분노표현, 고독감, 성을 매개로한 대처, 대인반응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얻었다. 사후 심리치료 운영결과조사에서 영화치료 집단은 58%가 매우 만족, 67%가 출소 후 도움이 된다고 평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좋은 삶 모형을 기반으로 개발된 영화치료 프로그램이 성범죄 재소자들에게 보다 안전하고 보상적인 경험을 제공하여 부정적인 정서들을 표현하고 인식하면서 자신의 긍정적인 모습에 초점을 맞추고 나아가 올바른 성인지 관점을 회복해 나가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movie therapy program based on Good Life Model on the prisoners of sexual offense. The examined aspects were their bad sexual interests and deviations which were the causes of crime trigger and second conviction, their socio-emotional function, their distorted cognition about sex and their self-management ability.
    For this purpose, 12 cases of sexual crime inmates in A prison in Korea were used as a experimental group for a movie therapy program based on a good life model and 12 cases of sexual offense completing the basic program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From July 2017, the program was conducted for 10 weeks with a total of 150 minutes once a week.
    The Pre-Score of ages and crime trigger factors as demographic variables were equal in both groups except for the items of impulsivity and child molestation. In other words, at the program intervention stage, we verified that the members of cinema therapy program group showed high scores of impulsivity and child molestation in contrast to those of basic program group.
    In order to verif the effect of program, the covariance analysis (ANCOVA) for collected data was applied after controlling the prior score of each group. As a result, we could not obtain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vention effect in the aspect of impulsivity and child molestation, but was able to obtain significant effect in the aspect of self-esteem, rape myths, state-trait anger expression, loneliness, managing ability mediated by sex and interpersonal reactivity. In the survey of post - psychotherapy operation result, 58% of the patients in the cinema therapy group were very satisfied and 67% of them thought the program as helpful after their release.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cinema therapy program, developed by and based on Good Life Model, can help the prisoners of sexual offense to live in safer and more compensating environment, to express and recognize their negative emotions, to focus on their positive appearance and furthermore to recover the right viewpoint about sex.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