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소헌 조종도의 시와 삶에 나타난 高士的 風趣와 그 지향 가치 (風趣 and Its Orientation Value in Poetry and Life of Dae So-heon Jo Jong-do)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24.12
36P 미리보기
대소헌 조종도의 시와 삶에 나타난 高士的 風趣와 그 지향 가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민족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106호 / 171 ~ 206페이지
    · 저자명 : 김종구

    초록

    ‘誠․敬․義’는 퇴계와 남명이 성리학을 집약시킨 그 요체이다. 대소헌 조종 도는 정두, 남명의 제자이다. 그의 장인은 남명의 누이의 아들이자, 생육신 趙旅 의 5대손이다. 대소헌의 가문, 사승관계, ‘대소헌’이라는 자호에서 그의 정신 및 실천적 면모를 확인할 수 있었다. 대소헌은 ‘敬, 義’, 퇴계와 남명이 강조한 성리학의 요체를 함양 실천하고 있었다.
    이는 求道, 즉 道心의 중요한 부분이다. 대소헌은 스승의 사상을 지향하며, 내면과 외면을 수신 및 함양하며 실천한 인물이다. 본 논의는 내면, 외면이 표출된 양상 즉, 일상과 한시에 관심을 가졌다. 이 논의는 그의 시에 나타난 高士的 삶을 간파하고 그 지향 가치를 확인할 수 있다. 대소헌은 다음의 일련의 과정처 럼 시적형상화와 삶의 가치를 분명히 하였다.
    첫째, 高士的 삶을 영위했다. 대소헌은 평범한 유자의 삶보다는 산수를 벗하 고 완상하며, 물아일체의 경지에 올랐다. 그는 자호의 대소헌처럼, 超世한 웃음 으로 高士的 삶과 나아가 풍류를 즐기며 학문을 하고자 했다.
    둘째, 求道와 隱求之士를 지향했다. 대소헌은 求道를 지향한 스승과 同人들 처럼 제대로 된 학문의 길을 가고 싶었다. 그가 지향하고자 한 것은 자연에 은일 하여 마음을 수양하며, 전일하게 학문 탐구하고자 했다.
    셋째, 호연지기와 기상을 함양, 표출하고 있었다. 대소헌은 맹자가 말한 대장 부 반열에 들어가 있었다. 천인, 특립, 무현금의 이상의 기상을 가져 행동으로 실천하고 있었다. 이는 최현, 권호문, 성여신의 언급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넷째, 그의 삶과 시는 義士的 기질과 忠節을 투영해 실천 및 형상화하고 있었 다. 삶의 형태와 죽음으로써 그 실천성을 온전히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즉, 唐 玄宗 安祿山 반란 시에 張巡과 許遠이 睢陽에서 이들과 싸우다가 장렬하게 전사 한 실천적 면모를 따르고 있었다. 이러한 의식 세계가 그의 시에 온전히 드러난 다고 할 수 있다.
    대소헌은 道心, 敬과 義를 온전하게 함양하고 실천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의 삶과 죽음을 잘 살펴보고, 외면적으로 표출된 문학적 형상화를 살핀다면, 이를 확인할 수 있는 바다. 더욱이 임진왜란 시기의 죽음을 불사한 실천적 면모 는 忠毅라는 시호를 받기에 충분한 것이었다. 게다가 주변 同人의 증언적 기록 이 이를 잘 대변하고 있다.

    영어초록

    誠, 敬, and 義 are the essence of Toegye and Nammyeong’s Neo-Confucianism. Dae So-heon Jo Jong-do is a disciple of Jeongdu and Nammyeong. His father-in-law is the son of Nammyeong’s sister and the fifth generation of 趙旅, the growth god. Dae So-heon’s family, teacher relationship, and self-name ‘Daesoheon’ confirmed his mental and practical aspects. Dae So-heon was practicing the essence of Neo-Confucianism emphasized by ‘敬, 義’ and Toegye and Nammyeong.
    This is an important part of 求道, that is, the mind. Dae So-heon is a person who aims at thoughts of his teacher. He receives, cultivates, and practices the inner and outer sides. This discussion is focused on the expression of inner and outer sides, that is, daily life and Chinese poetry. This discussion can see through the life of Takumi and his poem, confirming its oriented value. Da So-heon clarified the poetic form and the value of life in the following processes.
    First, he led a life of 高士. Rather than the life of an ordinary Yuja, Daesohun took off the arithmetic and completely reached the level of being one. Like Daesohun in Jaho, he wanted to study while enjoying Takumi life with a 超世 of laughter.
    Second, he aimed for 求道 and 隱求. Like the same people as the teacher who aimed for 求道, Dae So-heon wanted to go on a proper academic path. What he aimed to achieve was to cultivate the mind by gracing nature and exploring the study in full.
    Third, they were cultivating and expressing good spirits and spirit. Dae So-heon was in the ranks of the large intestine that Mencius said. It had the ideal spirit of heaven, speciality, and no strings attached. He was practicing it through actions. This can also be confirmed through the mention of Choi Hyun, Kwon Ho-moon, and Sung Yeo-shin.
    Fourth, his life and poetry were practiced and embodied by projecting the temperament of Japanese imperialism and 忠節. It fully proved its practicality through the form of life and death. In other words, during the 唐 玄宗 安祿山 Rebellion, 張巡 and 許遠 were following a practical aspect in which they were killed fiercely while fighting in 睢陽. This world of consciousness is fully revealed in his poetry.
    It was confirmed that Dae So-heon fully cultivated and practiced 敬 and 義. If you take a good look at his life and death and look at the literary imagery expressed externally, you can confirm this. Moreover, the practical aspect of risking death during the Imjin War was enough for him to receive the title of 忠毅. In addition, testimony records of the people around him represent this we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