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러시아어 어결합을 통해 본 ‘ЖИЗНЬ(삶)’과 ‘СМЕРТЬ(죽음)’의 개념 (Concepts of 'ŽIZN'(Life)' and ‘SMERT'(Death)’ in Russian)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1.06
23P 미리보기
러시아어 어결합을 통해 본 ‘ЖИЗНЬ(삶)’과 ‘СМЕРТЬ(죽음)’의 개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동부유럽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유럽발칸학 / 13권 / 1호 / 3 ~ 25페이지
    · 저자명 : 허성태

    초록

    단어는 '객관적인 실재상(實在像)'이 아니라 '세계를 개념화하는 해당언어집단 특유의 문화적 체험의 반영'이다. 따라서 동일한 대상을 지칭하는 단어라 할지라도 의미에 있어서 언어에 따라 종종 차이를 보인다. 명사 ‘삶(жизнь)’과 ‘죽음(смерть)’은 문화 개념어들 중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실존주의적 입장에서 볼 때 이 명사들과 이 명사들이 담고 있는 개념은 전체로서의 전 인류에게도 그리고 세계의 구성원으로서의 개개의 인간에게도 의미가 매우 깊다. ‘삶’과 ‘죽음’에 관한 러시아어 속담, 격언, 이디엄 등을 분석한 결과 러시아인들이 ‘삶’과 ‘죽음’에 대해 갖고 있는 게슈탈트(гештальт)의 윤곽을 다음과 같이 그려볼 수 있었다. 1. ЖИЗНЬ : A. ‘길(путь)’이다. ‘삶(жизнь)’은 이승에서 한 개인에 의해 완성되어 가는 ‘길(путь)’이다. 그러나 이 길의 완성의 순간은 저승에서의 새로운 삶의 시작이다. 새로운 삶으로의 전환은 (이승과 저승을 잇는) 다리(мост)를 통해 이루어진다. 인간은 생전에 자신의 영혼을 돌보면서 죽음에 대비한다. 그러나 죽은 자의 육체는 살아 있는 자들의 몫이다. 전체적으로 관용표현은 ‘삶(жизнь)’의 물질적 가치에 대해 무관심하고 영적(정신적)가치를 중요시하는 러시아인들의 민족정서를 반영하고 있다. Б. 러시아인들에게 있어서 ‘삶(жизнь)’은 가볍거나 무거우며, 매우 단조로우나(어둡거나 밝은) 가끔 줄무늬가 있는(полосотая) ‘물건(вещь)’이다. В. ‘창조자(созидательница)’다. 이 게슈탈트는 ‘좋은 삶은 지혜를 낳고, 나쁜 삶은 지혜를 잃는다(хорошая жизнь ум рождает, плохая и последнийтеряет)’류의 표현에서 표출된다. 넓은 의미에서 이 게슈탈트를 인간의 심리적 - 물리적 상태를 변화시키는 원인자로서 해석할 수 있다. 즉 ‘좋은 삶(хорошая жизнь)’은 인간에게서 좋은 상태(хорошее состояние)를 유발한다. 2. СМЕРТЬ : ‘죽음(смерть)’은 자신의 얼굴(курносая)과 공격적인 성격을 지닌, ‘마당에서 쫓아내 버릴 수 있는 능력을 지닌(турнить со двора)’, ‘파렴치한(наглая)’, ‘이승에서의 삶(живот)’을 싫어하는, ‘화려하게 차려입는 것’에 무관심한 여성이다. ‘죽음(смерть)’은 악녀(злодейка)이지만 동시에 힘겨운 삶을 벗어나게 해주는 해방자이기도 하다. ‘죽음(смерть)’은 육신과 영혼을 떼어놓는 이간자(разлучница)이지만 육신(тело)에겐 ‘집(домовище - 관 гроб)’을 지어주고, 영혼(душа)에겐 ‘자유(простор)’를 준다. 바로 영혼에게 자유를 준다는 이 사실이 러시아인들의 언어 의식으로 하여금 ‘죽음(смерть)’을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삶(жизнь)’에 대한 염세적인 태도가 반영된 관용표현과, ‘죽음(смерть)’을 객관적인 실재(данность)로서 받아들이면서도 때때로 힐난하듯 일정정도 냉소적으로 대하는 러시아인들의 의식이 투영된 관용표현이 더 우세하다. 3. 러시아인들의 ‘삶’과 ‘죽음’에 대한 언어의식엔 기독교 정신이 반영되어 있다. 러시아인들에게 있어서 ‘죽음’은 단지 육체적인 ‘삶’의 끝일뿐이며, 궁극적으로는 ‘영원한 영적인 삶으로의 전환(переход к вечной, к духовной жизни)’ 즉, ‘부활(воскресение)’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죽음은 없다. 다만 ‘질적으로 다른 새로운 삶’이 존재할 따름이다. 러시아인에 있어서 ‘죽음’은 바로 이 ‘부활’에 근거하여 그 밖의 다른 모든 생명체의 사멸에 대비된다.

    영어초록

    According to Lakoff, when we think, we use an elaborate system of concepts, but we are not usually aware of just what those concepts are like and how they fit together into a system, ... Meaning is equated with conceptualization (in the broadest sense); semantic structures are thus conceptualizations shaped in accordance with linguistic convention. The conceptual structure is represented by the conceptual metaphor. So we can catch humans' mind better through metaphor.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the way how the concept of 'ŽIZN'(Life)' and ‘SMERT'(Death)’ is expressed through a certain language form in Russian. The author particularly concentrates on the description of 'ŽIZN'(Life)' and ‘SMERT'(Death)’ in Russian.
    To grasp how Russians cognize 'ŽIZN'(Life)' and ‘SMERT'(Death)’, we applied the method of conceptual metaphor in cognitive linguistics. The meaning of every word is a generalization of concept. And since generalizations and concepts are undeniably acts of thought, we many regard meaning as a phenomenon of thinking.
    Many words and word-combinations the author has used for the concept of 'ŽIZN'(Life)' and ‘SMERT'(Death)’. A number of metaphorical phrases, epithets, idioms and similes, that describe 'ŽIZN'(Life)' and ‘SMERT'(Death)’ in Russian, have been also examined. If we conceptualize the meaning through the conceptual metaphor of life and death phenomenon, we can understand the life and death concretely. And it is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ŽIZN'(Life)' and ‘SMERT'(Death)’ in Russian.
    We can conceptualize the meaning of life and death through analysing the syntagm of Russian and as follows : (1) LIFE is a pain / a woman / a road/ a living thing / a restriction; (2) DEATH is a cold / a man / an animal / a bird / liber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유럽발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