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평생교육의 목적으로서의 삶의 질의 개념에 대한 시론적 접근 (A preliminary theoretical approach to the quality of life as fundamental aim of lifelong education)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09.05
24P 미리보기
평생교육의 목적으로서의 삶의 질의 개념에 대한 시론적 접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평생학습사회 / 5권 / 1호 / 123 ~ 146페이지
    · 저자명 : 김창엽, 성낙돈

    초록

    평생교육 담론에서 삶의 질의 유지와 향상은 평생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으로 제시되어 왔다. 그러나 삶의 질의 개념에 대한 사회적, 학문적 합의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관점에 따라 다르게 인식되고 있다. 이것은 사회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평생교육을 구현하는 데 갈등과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삶의 질의 개념에 대해 정의하는 것은 평생교육의 연구와 실천에서 의미 있는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연구의 결과는 국가가 삶의 질의 기반을 경제로 간주하고 이에 삶의 조건의 격차 해소를 정책의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개인은 삶의 영역의 내용과 결과에 대한 주관적인 인지적 평가를 통해 삶의 질을 인식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유네스코가 삶의 질이 개인적 선과 사회적 선을 지향해야 하며, 평생교육의 목적은 이 고귀한 이상을 추구하는 것이라고 여기는 것과는 상당한 격차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삶의 질에 대한 기존의 관점들이 평생교육적 시각에서 재검토, 재해석 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삶의 질의 개념은 삶의 기본적 여건, 삶의 지향성, 개인의 참여와 선택 등이 유기적으로 중첩되는 것이라고 조심스럽게 제시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평생교육의 구현을 위해 삶의 질과 연계되는 인문교양교육, 전문직업교육, 시민사회교육이 균형과 조화를 이루어 실시될 수 있도록 연구와 실천을 제안한다.

    영어초록

    In the discourse on lifelong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is almost uniformly suggested to contribute finally to the sustenance and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Nevertheless, the concept of the quality of life has not reached any firm definition, either socially or academically. In fact, it seems to be viewed and understood in even conflictual ways. Where there is no consensus on the fundamental goals of lifelong education, the practice of lifelong education, in such situation, may go astray. Such situation can hardly accelerate the embodiment of the ideal of lifelong education. The quality of life thus needs to be elaborated and defined fully enough to guide and support the diverse forms of practice in lifelong education.
    This study attempts to generate an overarching theory that critically reviews each major view of the quality of life. First, in the concept of quality of life suggested by the UNESCO, both the individual good and the social good are the primary concepts to be sought for. The aim of lifelong education in such sense is to realize the both noble goods. Second, in the idea of quality of life promoted by most governmental bodies, no other condition than the economy is regarded as the basis of the quality of life. The lifelong education in this assumption is assumed to strengthen overall economic conditions of both individual and collective life. Third, the quality of life defin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dividuals, the main ingredient is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everyday living as an experience perceived by the each individual. In this perception, the lifelong education is expected to help increase the felt happiness with the process as well as the outcome of the daily living.
    Encompassing these reviews, this study suggest that the quality of life be defined as the concept that consists of three main components, i.e. the basic condition or standard of living, the direction or ideal of life, and the individual or personal participation and freedom of choice. The quality of life in the suggested concept then asks for corresponding theory and practice of lifelong education. That is, the main avenues of lifelong education need to be exploited fully and properly. What is more, the sufficient harmony ought to be pursued among general liberal education, vocational and professional education, social civic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평생학습사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