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삶의 자산’으로서의 ‘한계’ - 정호승 시 분석을 통해 본 ‘한계’ - (“Limits” as “assets of life” - An analysis of Jeong Ho-seung’s poems -)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21.10
36P 미리보기
‘삶의 자산’으로서의 ‘한계’ - 정호승 시 분석을 통해 본 ‘한계’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문학연구 / 72호 / 547 ~ 582페이지
    · 저자명 : 허정

    초록

    본고의 목적은 한계를 인간 삶을 윤택하고 아름답게 살찌우는 자산으로 삼을 방법을 독자들에게 널리 알려진 정호승의 시를 통해 살피는 데에 있다. 한계에 대한 거부는 완성에 대한 집착과 이어져 있다. 그것은 개인주의의 자폐적인 삶을 강화하거나 불평등한 삶을 심화시키고, 유한성에서 비롯되는 인간 삶의 가능성을 차단한다. 그리고 엄격하고 완벽한 기준으로 사람을 판단하면서 그 기준을 따르지 못하는 이들에 대한 혐오나 증오의 감정을 양산시킨다. 여기에 맞서 타자에 공감하면서 타자와 함께 하는 삶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그리고 인간의 유한성마저 장악하려는 기술혁명의 시대에 휩쓸리지 않고 인간적인 가치를 살리면서 살아갈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이 한계를 성숙한 자세로 수용할 필요가 있다.
    본고는 장 뤽 낭시의 이론을 바탕으로 인간의 한계를 다룬 정호승의 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호승이 한계를 전폭적으로 수용하고 있는 시인이며, 유한한 삶의 가능성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는 시인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그의 시에서 한계는 ‘타자와의 관계’, ‘당당한 삶의 태도’, ‘존재의 아름다움’ 등을 만들어갈 출발점으로 자리한다는 점 역시 확인할 수 있었다. 정호승의 시는 이러한 한계에 대한 사유를 다양한 상황 속에서 구체적인 이미지와 정서적인 언어를 통해 풀어냄으로써, 논리와 개념적 인식을 넘어 한계수용의 필요성에 보다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는 길을 제시하고 있으며, 거기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텍스트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정호승의 시는 한계를 부정하는 우리 사회의 완고한 기준에 의해 고통받고 있는 독자들을 위로해주는 텍스트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how limitations can be used as assets that enrich human life by analyzing Jeong Ho-seung’s poems. Rejecting limits is linked to an obsession with perfection. It either reinforces the autistic life of individualism or deepens unequal living. Moreover, it blocks the possibility of human life that comes from finiteness. Additionally, it breeds feelings of hatred or hatred toward those who cannot follow strict standards. Against this, we need to find a way to live with others while empathizing with them and a way to live while preserving human values without being swept away by the technological revolution that seeks to seize even the finiteness of human beings. To do this, we must accept our limitations with a mature attitude.
    This study analyzed the limitations expressed in Jeong Ho-seung’s poems based on the theory of Jean-Luc Nancy.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d the poems focusing on “accepting limits” and “the direction that opens after accepting of limits.” This study found that Jeong Ho-seung is a poet who fully accepts limits, actively seeking the possibilities of a finite life. In his poems, limits are the starting point for creating “relationships with others,” “open attitudes to life,” and the “beauty of existence.” Jeong Ho-seung’s poems suggest a way to approach the necessity of accepting limits in a friendlier way. Jeong Ho-seung’s poems comfort readers who are suffering from the stubborn standard of our society to be limitl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