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시쇠퇴지역 거주 남성노인의 삶과 장소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ife and Placeness of Elderly Male Residents in Declined Urban Areas)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22.12
45P 미리보기
도시쇠퇴지역 거주 남성노인의 삶과 장소성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노인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노인복지연구 / 77권 / 4호 / 227 ~ 271페이지
    · 저자명 : 옥진, 강경미, 최송식

    초록

    본 연구는 도시쇠퇴지역에서 오랫동안 살아온 지역주민으로서 남성노인들이 가져온삶과 장소에 대한 인식과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장소는 인간 생활의 물리적ㆍ사회적 조건이자 개인적ㆍ사회적 의미를 가지는 중요한 요소로, 노년기 장소에 대한 경험과의미, 특히 도시쇠퇴지역에서 장기간 살아오며 활동하고 있는 남성노인의 장소 인식에대한 연구는 드물었다. 이를 위해 도시재생사업의 대표 지역 중 하나인 감천문화마을을방문하여 3개월간의 예비조사 후, 20년 이상 거주한 남성노인 5명을 2∼3회 개별 심층인터뷰를 하였다. 인터뷰는 노인들의 일상생활과 거주지, 장소에 대한 질문을 중심으로생애사적 내러티브 면접으로 진행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지속적 비교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자들은 집을 마을에 포함하여 하나의 장소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마을에 뿌리내리는 과정에서 회한이 된 정체성, 마을에서 살아낸 힘인 양면적 태도, 마을에 대한 성찰을 변화의 동력으로 삼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도시쇠퇴지역의노인과 주민을 위한 지역복지 정책으로, 도시재생사업의 목표와 중점시책에 고령친화적요소 포함, 거주민 관점의 재생으로 전환, 방문객과 상생할 수 있도록 거주민을 위한 활동공간과 유휴공간 활성화, 빈집을 활용한 커뮤니티케어 공간 마련, 저학력으로 인한 생활 불편 해소 및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평생 교육사업 실시 등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perception and meaning of life and place of elderly males who have lived in an urban decline area for a long time. To this end, we visited Gamcheon Culture Village, one of the representative areas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and conducted a preliminary survey for 3 months.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2 –3 times with 5 study participants, male elderly who have lived for more than 20 years. The interview was conducted as a life-historical narrative interview, focusing on questions about the daily life, residence, and place of older adul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a constant comparative method. Participants included the house in the village and perceived it as a place, and they used the identity that became regretful and lamentable in the process of taking root in the village, the ambivalent attitude that was the strength that survived the village, and the reflection on the village as the driving force for chang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community welfare policies for the elderly and residents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cluded elderly-friendly elements, transitioned to residents’ perspective, revitalized active and idle spaces for visitors, prepared community care spaces using empty houses, and implemented lifelong education projec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노인복지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