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 자립준비청년의 삶에 대한 생애사 연구 (A Life History Study on the Life of a Youth Transitioning from the Child Welfare System)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24.10
27P 미리보기
한 자립준비청년의 삶에 대한 생애사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서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독서치료연구 / 16권 / 3호 / 131 ~ 157페이지
    · 저자명 : 김연옥

    초록

    본 연구는 한 자립준비청년의 생애를 통해 열악한 환경과 사회적 편견 속에서 자립준비청년이 어떤 삶을 선택하고 어떻게 삶을 구성해 가는지 생애사적 접근을 통해 주관적 경험을 깊이 다루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립준비청년 1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하고,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방법으로는 Mandelbaum(1973)의 생애사 연구 분석틀인 삶의 영역(dimensions), 전환점(turning), 적응(adaptation)의 주제를 체계적으로 분석,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연구 참여자의 삶의 영역에서는 ‘엄마의 팔베개’, ‘엄마의 영원한 외출’, ‘아버지의 폭력’, ‘이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다면’, ‘생명의 동아줄’ 다섯 가지 영역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삶의 전환점에서는 ‘단지 “미안했다”는 그 말 한마디를 바랐는데’, ‘이제 나의 길을 고민하다’, ‘상실의 고통’, ‘꿋꿋하게 버티기’ 네 가지 영역으로 나타났다. 셋째, 적응에서는 ‘나에 대한 나의 기대’, ‘나의 반쪽이를 찾아서’, ‘어쩔 수 없는 사회적 편견’, ‘새로운 열망’, ‘가족사별이 남긴 의미’, 다섯 가지 영역으로 나타났다. 연구 참여자는 사회적 편견 속에서 진정한 ‘나’로서 살아가는 것이 힘들지만 가족들과의 사별을 통해 삶의 유한성과 삶의 절박함을 깨달으며 현재를 살아가는 것의 가치를 중요하게 받아들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자립준비청년들의 지속적인 심리적 지원을 위한 상담 서비스와 사회적 인식변화 그리고 사회적 지지 체계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subjective experiences of youths transitioning from the child welfare system, focusing on how they choose and construct their lives in challenging environments and social prejudices using a life history approach. To achieve thi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 single youth transitioning from the child welfare system, and data were collected. This study employed Mandelbaum’s (1973) life history research framework to systematically analyze and describe the themes of life dimensions, turning points, and adaptation. The results of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n the life dimensions of the participant, five areas were identified: “Mother’s arm Pillow,” “Mother’s Eternal Departure,” “Father’ Violence,” “If Only I Could Escape This Pain” and “The Lifeline of Hope.” Second, in the turning points of life, four areas were identified: “I Just Wanted to Hear [I’m Sorry],” “Contemplating My Own Path,” “Pain of Loss” and “Standing Firm.” Third, in terms of adaptation, five areas were identified: “My Expectations for Myself,” “Searching for My Other Half,” “Unavoidable Social Prejudices,” “New Aspirations” and “The Meaning of Family Separation.” The participants realized that it was difficult to live as their true selves amid social prejudice. Through the loss of family members, they came to terms with the finitude of life, desperation, and the importance of living in the pres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s the need for continuous psychological support services, changes in social perceptions, and establishment of a strong social support system for young adults preparing for independ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독서치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