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삶의 마지막 시기 돌봄 의사결정과 노인인권 (A Study of End-of-Life Care Decision-Making and Elderly’s Right)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20.12
36P 미리보기
삶의 마지막 시기 돌봄 의사결정과 노인인권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법과인권교육연구 / 13권 / 3호 / 305 ~ 340페이지
    · 저자명 : 안경진

    초록

    의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수명이 연장되었지만, 기대수명에 비해 건강수명이 뒷받침되지 못해 많은 노인들은 생애말기 노쇠 및 다양한 질환의 악화를 경험하면서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유지하지 못한다. 이로인해 노인은 상당기간 동안 누군가에게 돌봄을 의탁해야 하는 의존기 삶을 살게 된다. 하지만, 사회구조의 변화, 가족 관계의 변화 등으로 인해 노인은 자신의 삶의 마지막 시기 돌봄을 가족에게 전적으로 의지할 수 없다. 따라서, 많은 노인들은 새로운 돌봄 환경 속에서 신체적, 정신적 악화를 경험하면서 요양원, 요양병원, 그리고 중환자실과 같은 의료기관과 장기요양시설에서 말년을 보내게 된다. 그러나, 돌봄시설에서의 효율적이고 획일화된 돌봄방식은 노인의 존엄성을 해치며, 노인인권 침해 사례들을 야기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노인의 삶의 마지막 시기 돌봄을 둘러싼 의사결정의 이슈는 노인인권과 관련된 매우 중요하고도 실존적인 주제이다. 노인의 삶의 마지막 시기 돌봄과 돌봄에 관한 의사결정문제는 단지, 질병에 관한 의료적 의사결정 뿐 아니라 주거권, 이동권, 행복추구권, 프라이버시 등 다양한 기본권의 이슈들을 포함한다. 본 논문은 노인인권의 측면에서 노인이 인간으로서 최소한의 존엄을 유지하며 삶의 마지막 시기를 보내기 위해서는 어떠한 돌봄과 돌봄 의사결정이 필요하며, 노인의 자율성에 근거한 돌봄 의사결정과정의 형태는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해 탐색하였다. 본 연구 결과, 노인은 삶의 마지막 시기 신체적, 정서적, 관계적 그리고 경제적 상실을 경험함을 발견했다. 또한 노인의 삶의 마지막 시기 특성에 따라 절대의존기, 말기, 임종기의 단계를 거치면서 다양한 돌봄에 관한 의사결정을 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노인의 삶의 마지막 시기 돌봄의사결정 의미를 탐색하기 위해, 국내외 취약한 사람에 관한 의사결정지원법과 삶의 마지막 시기 의사결정법에 관한 살펴보면서, 노인의 취약한 의사결정능력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며, 노쇠 및 질병의 악화 등으로 인한 다양한 의사결정능력 상실에 대한 지원을 어떻게 확보할 수 있을지에 관해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세계 주요 국가들은 노인과 같이 의사결정능력이 취약한 사람들을 위하여 다양한 의사결정지원정책들을 마련하고 있었는데, 의사결정 패러다임은 의사결정대리가 아닌 의사결정지원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따라서 인권의 측면에서 향후 우리나라 노인의 삶의 마지막 시기 돌봄 의사결정의 정책적 방향도 현재의 대리의사결정 중심의 논의에서 의사결정지원에 관한 논의로 바뀌어야 한다. 이를 위해 노인 돌봄 의사결정 지원의 형태인 사전돌봄계획과정의 법제도화를 통해 의존기 노인의 단계별 특성과 돌봄 욕구가 반영된 최선의 의사결정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삶의 마지막 시기 노인의 돌봄 의사결정 관련 법제도 개발과 노인인권을 위한 주요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Although the lifespan has been extended due to the advancement of Biomedical science and technology, many elderly people cannot maintain their daily life independently as they experience senility and deterioration of disease because they are not healthy compared to expected lifespan. However, under the new caring environment in modern society, such as sudden changes in social structure and family relations, the elderly cannot fully rely on their family to take care of last period of their life. Many elderly people who experience physical and mental deterioration use facilities such as nursing homes, nursing hospitals, and intensive care units in the hospital, where they spend the last years of their lives. However, efficient and uniform care methods undermine the dignity of the elderly and lead to cases of infringement on the rights of the elderly. In this context, the issue of decision-making surrounding the care of the elderly in their end of life period is a very important and existential theme for the protection of the elderly’s human rights. Decision-making issues related to end-of-life care caring include not only medical decisions but also various basic human rights issues such as housing, mobility, pursuing happiness, and privacy. With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study investigates what kind of caring and caring decision are needed for the elderly to maintain their minimum human dignity and also investigates what kind of caring decision-making process is needed, which is based on the elderly’s autonomy.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elderly experienced physical, emotional, relational and economic loss in the last period of their live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last period of life of the elderly is in a situation in which various caring decisions must be made through the stages of absolute dependence, terminal, and end of life. Considering this situation, in order for the elderly to strengthen their decision-making capacity as the subject of various decision-making related to their end-of-life care, how should they understand their decision-making ability, and various decision-making skills due to aging and worsening of disease. Also the domestic and foreign’s decision-making supporting law was reviewed on how to secure vulnerable people who loss their ability of decision-making. As a result of this study, major countries around the world have prepared various policies to support decision-making for people with weak decision-making ability, such as the elderly. The decision-making paradigm is in the form of supporting decision-making rather than the proxy of decision-making. Therefore, in terms of human rights, the policy of decision-making about the end-of-life care for the elderly in Korea needs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t end-of-life periods and their needs for care by making legal system of the advance care planning process as a form of decision-making suppor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some ideas for the development of the legal system related to the end-of-life care decision-making for the elderly and elderly’s human righ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과인권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