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滄洲 鄭詳의 삶과 시세계 (Life and Poetry of Changju Jeongsa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21.12
34P 미리보기
滄洲 鄭詳의 삶과 시세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고전연구 / 85호 / 9 ~ 42페이지
    · 저자명 : 권혁명

    초록

    본고는 滄洲 鄭詳의 삶과 시세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정상은 우리에게 생소한 인물이지만 학자로서의 면모와 문재, 임진왜란 때의 활약상으로 주목을 받았다. 때문에 정상의 삶과 시세계를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2장에서는 鄭詳의 생애를 살펴보았다. 정상의 생애에서 주목되는 것은 다음 두 가지이다. 첫째, 학자로서의 면모와 문재이다. 정상은 篤志勤學하는 자세로 학문을 연마하여 1574년 별시문과에 장원급제하여 환로생활을 하게 된다. 하지만 동서분당으로 당쟁이 격화되자 외직 위주의 관직생활을 하게 되고 중앙관직으로 형조정랑을 끝으로 自意에 의한 귀거래를 단행하였다. 정상은 귀거래한 후 고향에서 초동칠현들과 眞率會를 결성하여 경전을 토론하고 후학들을 양성하며 학자로서 만족스런 삶을 살았다. 둘째, 임진왜란 때의 활약상이다. 鄭詳은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군량미를 조달하거나 李舜臣 군영에서 鄭運, 宋希立 등과 方略을 모의하여 한산도 대첩을 승리로 이끄는데 일조하였다. 또한 호남이 전략적으로 요충지임을 李舜臣에게 피력하였고, 진주 의병장 崔慶會를 만나 영호남의 협력을 강조하는 등 적극적으로 의병활동을 도왔다.
    3장에서는 鄭詳의 시세계를 살펴보았다. 정상의 시세계는 크게 세 가지 주제로 집약된다. 첫째, 강호에서 한적하고 자유로운 삶을 읊은 시들이다. 이 주제는 정상이 현실정치에 염증을 느끼고 고향 羅州로 귀거래 한 후에 드러내는 의식으로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한다. 둘째, 현실 비판의식을 담아낸 시들이다. 이 주제는 정상이 강호에서 관리들의 부정을 목도하고 전직 관료로서 드러내는 의식이다. 셋째, 임진왜란과 관련하여 전란으로 인한 괴로움, 전란의 종식을 기원하거나 전란이 끝난 후의 기쁨을 표출한 시들이다. 이 주제는 鄭詳이 임진왜란을 직접 겪었고 전란을 종식시키기 위해 동분서주했던 당사자로서 드러내는 의식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life and Poetry of Changju Jeongsang is an unfamiliar person to us, but he was noticed at the time in two aspects. One is his outstanding aspect as a scholar, and the other is his performance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life and Poetry of Changju Jeongsang.
    Chapter 2 examines the life of Jeongsang. What is important in the life of Jeongsang is that he made his appearance in outstanding sentences, but was politically rejected while defending those who were angry during Kichukoksa, and that he contributed to the military camp of Admiral Yi Sun-si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Chapter 3 examines the Poetry of Jeongsang based on Chapter 2's life. Three main themes were captured in the Poetry of Jeongsang. First, they are poems that reveal a sense of criticism in reality. Jeongsang was showing a sense of criticism when he saw the unclean reality in the space where he returned to his business. Second, they are poems that recited a peaceful and quiet life in Gangho. After returning to business, Jeongsang abandoned his political regrets and lived a peaceful and secluded life in the stronghold. Third, these poems recognize power as a space of freshness and enjoy mental freedom. This theme mainly appeared when combined with the motif of temples or gods, which are spaces away from the secular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