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현성과 유교적 삶의 진정성 (The Sincerity of Sohynseoung as a Man of Confucian Virtu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3.12
34P 미리보기
소현성과 유교적 삶의 진정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소설연구 / 36호 / 167 ~ 200페이지
    · 저자명 : 조혜란

    초록

    이 논문은 <소현성록>의 주인공인 소현성에 대한 인물론을 시도한 것이다. 국문장편소설의 효시로 알려진 <소현성록>은 연구사가 많이 축적되었고 인물론 역시 많은 편인데 소현성의 경우는 아직 개별 논문이 없다. 본고가 소현성의 인물론을 시도하려는 이유는 소현성의 서사가 보여주는 특징적인 부분들 때문이다.
    고소설의 사상적 배경으로 유불선 삼교를 언급하는 경우가 많고 주인공들은 예사 유교적 지식인들로 설정된다. 그러나 당위적이거나 피상적인 서술이 많아서 이때의 유불선 등의 요소가 과연 사상적 차원으로 논할 만한 것인지 아니면 작품의 배경적 차원에 가까운지 것인지에 대해서는 다시 고민해 볼 문제이다. 고소설의 남성주인공들의 경우 대개 충효겸전한 문장재사들인데, 그들이 어떤 고민이나 선택의 과정을 거쳐 유교적 이념에 부합하는 선택에 이르는지에 대한 구체적 서사를 지닌 인물은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 그런데 소현성은 유교적 가치들을 내면화하고 그 신념체계대로 살려고 노력하며 가치 판단의 준거에 따라 신중하고 진지하게 실행하는 인물로 형상화되고 있다. 그리고 그 과정을 보여주는 구체적 서사를 지니고 있다. 그는 남의 시선보다도 자신의 선택이 더욱 중요한 개인이며, 배운 대로 실천하려 하는 지행합일의 유교적 지식인상이자 군자상을 추구하는 고민의 과정을 지닌 인물이다. 하지만 소현성은 결코 이념화된 대로 교조적으로 움직이는 박제화된 인물형은 아니다. 이는 그의 죽음으로 드러나는데, 그는 어머니를 잃은 슬픔의 감정에 자신을 맡기는 쪽과 어머니의 유언을 지켜 마지막 효를 행할 수 있는 선택의 기로에서 전자를 향한다. 그가 평생을 유교적 가치에 따라 자신을 단속하며 살았던 인물임을 생각해 볼 때, 이 장면에서도 그는 슬픔을 극복하고 유언을 따랐어야 마땅해 보인다. 그러나 소현성은 자신의 감정을 놓아버리고 슬퍼하다가 몸이 상해 죽고 마는 것으로 자신의 삶을 마무리하는 주인공이 되었다. 그리고 이는 어머니의 죽음과 연관되어 있다. 그의 효성은 단지 유교 이념의 교조적인 수행이 아니라 부모 자식 간의 보편적 감정의 발현에 힘입은 바가 있다.
    이런 그의 인물 형상화는 단지 가문 유지 창달에 이상적인 가부장상이자 유교적 군자상 등으로 주로 가문 내에 국한되는 의미로 거론되어 왔다. 그런데 <소현성록>이 창작되었을 17세기에는 가문소설이라는 장르 개념이 없었다. 17세기 조선은 임병양란을 거치면서 재정비의 필요성을 절감했고 그에 따라 유교적 이념 및 가부장제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제도를 정비하였다. 소현성이 가문 유지 창달에 이상적인 가부장상을 보여주었음은 분명하나 이는 창작의 결과이자 훗날 연구사에서 부각된 지점일 것으로 보인다. 이 소설이 창작될 당시를 기준으로 본다면 단지 가문 창달에 이상적 가부장상이 아니라 17세기적 상황에서 당시 조선을 이끌어 갈 지배계층으로 이상적인 긍정적인 인물형을 제시한 것이라 하겠다.

    영어초록

    This essay tried to analyse the personality of Sohyunseong, a hero of Sohyunseongrok who has usually been mentioned in previous studies to represent the man of Confucian virtues (君子), but whose inner world has rarely been focussed on. Heroes of Korean classical novels are mostly Confucian intellects whose behaviors have been interpreted the results of their Confucian value systems. But a more closer look at the characters of these novels reveals that it is not easy to determine whether their saying and acting are exactly resulted from the internalized Confucian values. In a sense, this difficulty is related to the situation that there are few heroes who concretely show their inner worlds.
    Sohyunseong is notable in that his personal narrative is well developed, presenting the process of his accepting and internalizing the Confucian values as his own belief system. As a Confucian intellect, he tries to keep practicing his Confucian value system in his words and behaviors. He never fails to develop self-cultivation and self-reflection. Whenever and wherever he says and acts, he tries to follow his ideals and values, which shape his personality as sincere and cautious.
    Another remarkable thing about his personality is that he is never shown to stick to his value system too stubbornly and mechanically. This aspect of his is well presented in his practice of filial piety. As is well known, filial piety is one of the most fundamental values in a Confucian society. So this value of filial piety is likely to be forced as an ideology for the members of this society. Sohyunseong is free from this kind of concern because he practiced his filial piety on the basis of the universal emo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not blindly following Confucian ideology. This aspect is well presented in the scene of his death.
    In the previous studies, Sohyunseong has been mainly regarded as an idealistic patriarch and virtuous man with Confucian ideals, contributing to the maintenance and prosperity of his family. Those studies tend to ignore the narrative of his personality and his inner world. That is why this paper tried to explore his deeper inner world behind his image of a virtuous Confucian man. As a result, I found that Sohyunseong did not just represent for a man of Confucian ideals, but tried to internalize Confucian values as his own belief system and to live up to those ideals in his life. In the history of novels in the seventeenth century, this kind of portrayal is worth not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소설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