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삶의 비평'으로서 역사 (The History as “Criticism of Lif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0.12
26P 미리보기
'삶의 비평'으로서 역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방학지 / 152호 / 385 ~ 410페이지
    · 저자명 : 김기봉

    초록

    역사란 E. H. 카가 “현재와 과거의 끊임없는 대화”라고 정의한 것처럼 현재와 과거의 의사소통으로 구성되는 서사다. 현재와 과거의 의사소통관계는 일차적으로 “현재와 과거의 대화”의 주도권이 어디에 있느냐로 결정된다. 현재와 과거의 대화 방식에 따라 각 시대의 역사담론이 성립했다. 따라서 역사서술의 역사는 기본적으로 역사담론의 변화로 전개된다고 말할 수 있다. 역사담론은 일반적으로 전근대, 근대, 탈근대로 시대구분 된다.
    첫째, 전근대 역사담론은 “역사는 삶의 스승(historia magistra viate)”이라는 말로 표현된다. 전근대에서 역사는 인간 삶의 의미를 규정하는 ‘초월적 기의(Signifie)’의 역할을 했다. 전통시대 역사가는 인간 존재의 의미를 규정하는 ‘초월적 기의’를 구성할 만한 과거의 범례를 찾아내 기록하는 것을 역사서술의 목적으로 삼음으로써, 과거는 현재를 비평하는 준거가 되었다.
    둘째, 근대의 역사담론은 과거를 현재적 삶의 전범이 아니라 극복하려는 계몽의 기획에 입각해서 성립했다. 근대 진보사관은 과거의 기록으로서 역사를 넘어서 미래의 기획으로서 역사 개념을 만들어냈다. 이 같은 근대 역사개념은 개별적인 역사들(histories)을 포괄하는 거대담론인 대문자역사(History)를 함축한다. 대문자역사의 출현을 통해 과거는 더 이상 현재를 비평하는 준거가 아니라 현재가 극복해야할 대상이 되었다.
    셋째, 탈근대 역사담론은 대문자역사를 해체하여 역사들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는 문제의식으로 성립했다. 과학으로서 역사는 위기지만, 대중적인 역사서사는 전성시대를 맞이한 것은 역사담론의 탈근대적 전환을 반영한다. 탈근대 역사담론은 마르크스의 포이에르바하에 관한 11번째 테제를 다음과 같이 역전시켰다. “근대에서는 세계를 한 가지 방향으로 변화시키고자 했다. 하지만 탈근대에서 중요한 것은 세계를 여러 가지로 해석하는 것이다.” 근대가 혁명의 시대라면, 탈근대는 비평의 시대다.
    전근대에는 도덕적 당위에 의거한 역사비평이 역사담론의 헤게모니를 가졌지만, 역사서술을 역사학자의 전유물로 만든 근대 역사학은 역사의 삶에 대한 비평적 기능을 상실시킴으로써 역사학 위기가 발생했다. 탈근대에서 역사학은 위기에 직면해있지만, 소문자역사들의 귀환을 통해 역사서사의 전성시대가 열렸다.
    과거가 이미 완결된 책(book)이라면, 역사란 그에 대한 비평으로 쓴 작품(work)이다. 탈근대에서는 과거에 대한 비평을 하는 모든 사람이 역사가다. 앨빈 토플러 말대로 생산과 소비의 분업이 해체된 ‘프로슈밍(prosuming)’ 시대에서 역사생산자인 역사가와 역사소비자인 대중 사이의 경계를 허무는 역사비평의 입지는 계속 강화될 전망이다. 역사학의 위기가 모든 사람이 역사가는 못될지언정 적어도 모든 사람이 역사비평가가 될 수 있는 조건이 된다면, 흔히 하는 말로 위기는 바로 기회다.

    영어초록

    History is a narrative composed by the communication of the present and the past, E. H. Carr once describing it as “the endless dialogu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present and the past is primarily determined by the pertinent side of the initiative. An appropriate historical discourse of every epoch is constructed by way of this dialogue. We, thus, may say that the history of the historiography has been basically developed by the changes in historical discourse. The periodization of the discourse is generally categorized into three parts: the pre-modern, the modern, and the postmodern ages.
    First, pre-modern historical discourse is well expressed by the famous words of Cicero, “historia magistra viate” (History is a teacher of human life). Historians then write their histories by way of criticizing the given present time according to the precedents of the past.
    Second, modern historical discourse cam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nlightenment, which viewed the past not as an example for the present but as an obstacle to the future's progress. In other words, the progressivism of the modern historical discourse created the future-type project beyond history as the records of past; therefore, the idea becomes a grand narrative covering all of the different histories. The past loses its function of criticizing the present. This modern concept of history as a grand narrative allowed the modern time to be viewed as a revolutionary age.
    Third, postmodern historical discourse serves to excavate each history that has been buried by “History as Grand Narrative.” Although a scientific approach to history has reached a crisis, historical narratives have become popular, which reflects the “the postmodern turn of historical discourse.” On the other hand, as we all know, the postmodern historical discourse reverses the Marxian 11th thesis of Ludwig Feuerbach, as follows: “People attempted to change the world in one way; however, in the postmodern age, various ways of thinking have become significant. If the modern era is considered as a revolutionary age, the postmodern era should be considered as the age of criticism.
    While the moral right, in their pre-modern historical criticism, belongs to the hegemony of the historical discourse, modern history in which historiography is the exclusive property of professional historians loses the function of history as the criticism of life, finally facing a crisis. Although historical science has confronted a critical stage, historical narratives have become popular through “the return of micro-histories.”If the past is a finished book, then history is rather related to a work that is written to criticize the past. Every man who critiques the past is a historian in the postmodern time. According to Alvin Toffler, the term “prosuming” describes “the open source-like phenomenon of people” producing what they consume. The producers of historical dramas and historical novelists critically reuse historical knowledge, and they become prosumers. In this “prosuming” age, historical criticism is expected to play major role. With the crisis of historical science, people may have an opportunity to become history critics but not historians. If so, we can apply the common phrase, “opportunities are found in times of cris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