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트랜스미디어 방법론을 이용한 무용 기록 방안에 대한 연구 - 살풀이 춤 무보집의 사례를 토대로 (Applying Transmedia Methodology to Recording Korean Traditional Dance - A Case Study of the Records of Salpuri Notation)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09.10
24P 미리보기
트랜스미디어 방법론을 이용한 무용 기록 방안에 대한 연구 - 살풀이 춤 무보집의 사례를 토대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무용역사기록학회
    · 수록지 정보 : 무용역사기록학 / 17권 / 145 ~ 168페이지
    · 저자명 : 윤헤정, 박진현

    초록

    무용 기록은 수많은 시행착오와 연구를 거듭하여 지금에 이르렀다. 하지만 아직도 대중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기록법이 완성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한국의 전통춤을 기록함에 있어서는 서양의 표기법으로도 만족되지 못하는 부분들이 존재한다. 전통춤의 섬세함을 담아내고 보존해 나가는 것이 우리의 정신을 담아내고 이어가는 문화유산이 될 것임은 자명하다. 따라서 무용 기록법은 끊임없이 연구되고 발전시켜 완성되어야 할 분야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필름 기록법, 자모식 무용 표기법, 라반 표기법, 모션 캡처를 이용한 무용 기록법들을 살펴보고, 장·단점을 구분하여 새로운 전통춤의 기록법을 연구하였다. 특히 급속도로 발전하는 디지털 미디어의 발달을 기록학계에 도입하여 영구 보존되고 그 가치가 변질되지 않도록 춤을 기록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점을 목적으로 본 연구는 조흥동류의 중부살풀이 춤을 무보화하는 작업의 사례를 토대로 트랜스미디어 방법론을 활용하여 새롭게 기록되어지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무보집 방식인 활자화된 평면적 이미지를 벗어나서 결과물은 책으로 만들어지지만 그 안의 이미지와 내용은 3차원의 데이터들을 모두 담아내는 입체적인 무보집을 추구하였다. 즉 디지털 기술을 복합적이고 유기적으로 사용해야하는 트랜스미디어 방법론을 이용하여 춤 동작 하나하나를 시각 정보로 보고 정보디자인을 통해 무보집 전체를 시각화하였다. 또한 동작의 정확한 기록만이 아니라 기록된 동작을 사용자가 쉽게 동작으로 재구성 할 수 있도록 무용동작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방법에 중점을 두었다. 그러기 위한 방법으로 현재 상존하는 미디어 기술의 효율적인 활용으로 시각데이터의 기록과 분해, 재조합을 통하여 무보집이 새로운 방식의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기존의 무보 작업의 형식을 시각적 표현 방법에 초점을 두고 전체적인 작품을 시간의 흐름으로 재해석한 것이다. 물론 본 연구와 같은 방식이 무용 기록법의 완성이라고 확언할 수 없지만, 제한된 조건 하에서 춤의 기록에 대한 기본적인 아이디어가 결과물을 통해 보여 질 수 있었고 디지털미디어를 통한 춤의 기록을 위한 기본적인 정보구조와 시각화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험을 할 수 있었다.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며 무보의 제작과 관련하여 독무의 전통춤 뿐 아니라 군무로 구성되어지는 민속무용까지도 기록 할 수 있는 방법 등에 대해서도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Records of dance have been developed by trial and errors and various studies, but a dance notation that can be used popularly has not been provided. On recording Korean traditional dances in particular, there are many parts that cannot be satisfied with western dance notation. It is obvious that recording and preserving the delicacy of Korean traditional dances would be our cultural heritage for expressing and continuing our spirits. This is why dance notation is a domain that should be completed by incessant studies and developments.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various methods of dance notation including the existing film recording, Ja-mo (using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dance notation, Laban notation, and dance notation by using motion capture, and to research a new measure of recoding traditional dances via comparing their merits and demerits. Recording dances is critical by introducing digital media being rapidly developed into the recording for permanent preservation and without deterioration of its values. For doing this, the authors in this study provided new measure of recording by using transmedia methodology based on the cases in which Jungboo Salpuri dance in Cho Heung Dong style was recorded by dance notation. Although the results were made as a book, the images and contents contained three-dimensional data out of the existing style of dance notation of texts and plane images. In other words, the authors used transmedia methodology in which digital techniques are used complicatedly and organically and individual dancing actions are regarded as visual information, and visualize the whole Records of dance notation via information design. Also, the authors focused methods of showing dancing actions visually not only to record the actions accurately but for users to easily reorganize the recorded actions. For doing this, the authors enabled the records of dance notation to function as a new method of communication via record, analysis, and recombination of visual data by efficient utilization of the existing media techniques. Conclus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 reinterpretation of the forms of the existing dance notation working when a measure of visual expression are focused and the whole dancing is considered to be a flow of time. Although it may not be stated that the measure provided in this study is a complete one for dance notation, the basic idea on recording dance was realized under limited conditions as a concrete result and the authors could conduct various experiments on the basic information structure and methods of visualization via digital media.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research measures of recording not only traditional solo dances but folk group dances on the production of dance not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무용역사기록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