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통춤 담론으로서 살풀이춤 무속파생설 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of a Shamanistic Derivation View of Salpurichum (Exorcism Dance) as a Discourse on Traditional Dance)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9.11
32P 미리보기
전통춤 담론으로서 살풀이춤 무속파생설 형성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속학 / 70권 / 37 ~ 68페이지
    · 저자명 : 이정노

    초록

    오늘날 살풀이춤은 남도무무(南道巫舞)에서 파생되었다고 알려져 있으며, ‘살풀이’의 무속적 의미에 따라 춤에 대한 정서도 ‘살(煞)을 푸는 춤’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강하다. 남도무무설을 가지고 있는 살풀이춤은 현재 일반적으로 연행되고 있는 권번을 통해 전승되어 온 형태를 말한다. 이 권번 살풀이춤이 남도무무에서 파생되었다는 설은 1979년 ‘진도 씻김굿’에서 파생되었다는 주장으로부터 비롯된다. 하지만 당시에는 경기도 도당굿의 마지막 거리에 추어지던 도살풀이춤도 발굴되어 알려지고 있었는데, 권번 살풀이춤의 근원이 남도 씻김굿에서 찾아지자 거시적 의미의 ‘살풀이춤’은 보다 광의의 무속적 개념이 필요하게 되었다. 마을굿인 도당굿의 마지막 거리에 추어졌던 도살풀이춤은 흥겹고 정겨운 정서를 지닌 춤이었다. 그러나 현재 도살풀이춤은 ‘서릿발 같은 위엄과 귀기(鬼氣)’가 느껴지는 살(煞)을 풀어내는 정서로 전화되어 있다. 연구자는 현재 살풀이춤의 정서가 ‘살을 푸는 춤’으로 개념화 되어 있는 현상도, 또 도살풀이춤이 살을 푸는 무속적 정서로 전화된 이유도 권번 살풀이춤과 도살풀이춤을 하나의 무속파생설로 합치시킬 수 있는 요소가 무속적 어의(語義)를 지닌 ‘살풀이’라는 춤명에 있었기 때문이라 보고 있다.
    다만 연구자는 살풀이춤의 정서가 변하면서까지 무속파생설에 대해 집착을 보인 이유가 무엇인지 생각하게 되었다. 연구자는 살풀이춤의 살을 푸는 정서가 형성된 배경의 원인을 조명하기 위해 먼저 무속파생설이 제기되기 이전의 살풀이춤 실태를 살펴 살을 푸는 형태의 춤이 아니었음을 확인해보았다. 그럼에도 이 정서가 강화되어진 배경에는 1960년대 이후 사회문화운동 속에서 살을 푼다는 의미의 살풀이의식, 또는 해원(解寃)의 형태를 띤 무속의식이 활용되고 있었던 것과 관계한다고 보았다. 또한 당시 무속이 전통문화 중에서도 가장 오래된 민족문화로 이해되고 있었던 점은 살풀이춤이 예술성을 띤 작품으로 변모되기 이전의 모습, 즉 무속의 원형적 형태를 중시하게 하였다고 보았다. 하지만 당시 전승 무속 내에서는 현행 살풀이춤의 형태를 찾을 수 없었고 때문에 권번에서 전승된 형태에 ‘살(煞) 풀이’라는 무속적 정서가 원형으로서 개입되어진 것이라 판단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오늘날 살풀이춤이 ‘살을 푸는 춤’으로 의미가 강화․고착되어진 원인은 1970, 80년대를 지나오며 무속에서 전통춤의 원형적 형태를 발견하려했던 노력에서 비롯된 것으로 담론적 성격이 강하다고 보았다. 당시 권번 전승 살풀이춤에서는 무속의 흔적이 발견되지 않았으나 살을 푼다는 ‘살풀이’의 어의를 통해 무속적 의미가 형성되어 갔고, 이후에는 이 의미를 춤 속에서 찾아내려는 방향으로 전개해갔기 때문이다. 현재 살풀이춤이 살을 푸는 춤으로 인식되어진 배경은 춤 속에 살을 푸는 모습이 내재하기 때문이 아니라 살을 푸는 어의 속에서 춤을 읽어내려는 시각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Salpurichum in recent days has been shown to stem from an exorcism dance in Jeollanam-do province and the emotional sense of theh dance shows a strong tendency toward recognizing it as a ‘dance to eliminate evil spirits,’ according to the shamanistic meaning for ‘salpuri’. Salpurichum refers to a form of dance passed down through the specific communities that are typically active in demonstrating such dances in the present day. This view, in which a Salpurichum by a specific community was derived from an exorcism dance in Jeollanam-do province, originated from a claim in 1979 that it traced its origins to ‘Jindo Ssitgimgut (a shaman ritual for cleansing the soul of a dead person)’. However, Dosalpurichum, which is performed during the last section of the Dodanggut (Tutelary Rite) of Gyeonggi-do, was also discovered and was being introduced widely at that time. In addition, the origin of Salpurichum by specific community has been identified via the Ssitgimgut of Jeollanam-do. Accordingly, a wider shamanistic concept in a broad sense was necessary for the ‘Salpurichum’ in terms of a macroscopic perspective. The Dosalpurichum performed at the end of Dodanggut, an area-specific shamanistic, was a dance with a leasant and friendly emotional vibe. On the other hand, the current Dosalpurichum has transitioned to an emotional sense to eliminate the evil spirits that exhibit ‘remarkable dignity and ghastly atmosphere’. The emotional sense for the current Salpurichum was conceptualized as a ‘dance to eliminate evil spirits’ while the current Dosalpurichum transitioned into a shamanistic emotional sense that eliminates evil spirits. This researcher believes that the two phenomena mentioned above occurred because the factor, which can combine Salpurichum from a specific community and Dosalpurichum into a shamanistic derivation, is the name of the dance ‘salpuri’ that has a shamanistic meaning.
    However, the author has thought about the rationale for an obsession with the view of ashamanistic derivation by transitioning Salpurichum’s emotions. In order to shed light on the background of the emotional sense that eliminates the evil spirits in Salpurichum, this researcher focused on investigating the actual status of Salpurichum before suggesting the idea of shamanistic derivation and confirmed that it was not a dance form that eliminates evil spirits. Nevertheless, the author thought that the background of such an emotion being entrenched was associated with a utilization of the salpuri ritual that entails an elimination of evil spirits or a shamanistic ritual that assumes the resolution of resentment under social cultural movements after the 1960s. In addition, shamanism has been accepted as the oldest ethnic culture in our traditional culture made us value shamanism’s archetypal form, that is, what it was before salpurichum transformed into a work of artistic merit. However, from the traditional shamanism, salpurichum’s archetypal form could not be found. This is why it was thought that in the handed-down form of salpurichum from Gwonbeon intervened the shamanistic sentiment of ‘salpuri (or driving out evil spirit)’ as an archetype. The perspective of this study is that Salpurichum in recent days has been strongly entrenched as a’dance to eliminate evil spirits’ and the root cause of such a fact lies in efforts to discover the original form of a traditional dance from shamanism during the 1970s and 80s, demonstrating a tendency of a discourse. Although no shamanistic traces were discovered in the Salpurichum being passed down by the specific community at that time, a shamanistic implication has been established through the meaning of the word ‘salpuri’ that implies the elimination of evil spirits. Afterwards, this tendency has moved towards a direction that seeks such a meaning within a dance. Therefore, the factthat Salpurichum has been recognized as a dance to eliminate evil spirits in recent days is not because an image that eliminates evil spirits is inherent within the dance but because a vision, which tries to interpret a dance from the meaning of the word that eliminates evil spirits, exis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