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울 도당굿의 변화상과 의미- 봉화산도당굿을 중심으로 - (Meanings of recent change in Seoul Dodanggut- a research case of Seoul Bongwhasan Dodanggut -)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20.06
28P 미리보기
서울 도당굿의 변화상과 의미- 봉화산도당굿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배달말학회
    · 수록지 정보 : 배달말 / 66호 / 185 ~ 212페이지
    · 저자명 : 정혜경

    초록

    이 글은 서울의 도시화와 재개발에 의한 도당굿의 변화양상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서울 도당굿의 새로운 의미를 도출한 글이다. 서울의 도당굿을 대표하는 사례인 서울시 무형문화재 34호 봉화산도당굿을 통해 변화상을 살펴보았다. 봉화산도당굿은 봉화산을 중심으로 중랑구 중화동과 묵동, 신내동의 주민들이 과거부터 돈독한 신앙심을 가지고 전승해온 마을굿이다. 도당굿 전승지역의 도시화와 재개발로 토박이와 원주민의 이주와 이탈,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마을 주민들의 고령화로 도당굿의 전승집단이 마을주민에서 보존회와 중랑문화원으로 변화했다. 서울 도당굿의 연행 요소의 특징으로 춤과 무가, 음악의 결합을 들 수 있다. 봉화산도당굿의 굿거리는 춤과 무가, 음악의 결합으로 무복과 무구, 상차림 등이 굿의 배경으로 작용하여 가·무·악이 하나가 되는 종합예술이다. 하지만 과거와는 달리 다양한 굿의 연행 요소에 대한 관심이 사라지고 놀이적 요소가 강한 굿거리와 공수 중심으로 관점이 변화하였다. 봉화산도당굿의 연행 요소의 변화는 굿의 제의성이 약화되고 행사적인 굿으로 변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굿 정체성의 변화, 굿 환경의 변화 등 도당굿의 새로운 변화는 도당굿이 제의적 연행에서 벗어나 공수와 놀이중심의 축제가 되고 있다. 이에 마을에서 지역사회로 마을굿 전승기반의 개념을 확대시켜 굿의 개념과 정체성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민속은 민(民) 중심이 되어야 하지만 도시 속의 도당굿을 통해보면 민(民)의 개념이 변화하였다. 과거 마을 주민 개개인이 아니라 보존회와 공공기관의 문화원이라는 새로운 공동체의 형성으로 도시 속의 민의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민의 개념이 변화하면서 도시마을의 민속의 주체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필요하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organize the changes of Seoul Dodanggut during the urbanization and redevelopment of Seoul city, and furthermore conclude a new meaning through this. The research focuses on Bongwhasan Dodanggut, which is enlisted as the 34th Seoul intangible heritage. The three districts of Jungnang-gu; Jungwha-dong, Muk-dong, and Sinnae-dong share the Bongwha mountain, and with this they share a sincere belief in the region. Urbanization of the region has brought the leave of natives. Only members among the aged people remain as active participants of the Bongwhasan Dodanggut, and this situation has changed the subject of tradition. Bongwhasan Dodanggut was originally transmitted among residents, as other Guts do in Korea. However recent urbanization has brought some serious changes to the population, leaving the task to region’s cultural centers and the preservation society groups. This change has brought an identity change in the performing group. The elderly could not perform nor transmit it, so the baton was handed over to the region’s cultural centers and preservation society groups. This change meant the decrease of inner-religious-characteristics and the increase of outer-performance-characteristics. The characteristics of Seoul Dodanggut can be pointed out as shaman dance, song, and music. Its’ specific details are embedded in shaman cloth, equipment, ritual food, and etc., and the combination of these is what makes Seoul Bongwhasan Dodanggut as a synthetic art. However as the subject of performance changed with urbanization, it tends to emphasize in amusement-performing aspects and festivals, leaving sincerity behind. This identity change is seriously altering ritual aspects of religious beliefs, and is replacing them in to play and amusement. This change demands us to expand the concept of village-centered Guts to regional community. Of course the center of folklore should be placed with ‘the folk’, but as we can witness through the change in Dodanggut in urban society, it is time where a new discussion is needed in defining ‘folk’ in urban society. In the past, ‘the folk’ meant village people, but it should now be expanded. It should now also include the members of the preservation society and region’s cultural centers, which are newly grown communities for the preservation of Guts. The change of ‘folk’ requires us to discuss a new subject of folk in urban area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배달말”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