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군산 선유팔경(仙遊八景)의 설정과정과 집경(集景) 특성 (A Study on the Setting Process and Form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eonyu Eight Scenic in Gogunsan Islands)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9.12
19P 미리보기
고군산 선유팔경(仙遊八景)의 설정과정과 집경(集景) 특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통조경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37권 / 4호 / 32 ~ 50페이지
    · 저자명 : 정우진, 황국웅

    초록

    본 연구는 고군산 선유팔경이 설정된 경위와 각 경점의 경관특성을 고찰한 것으로 요약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1969년 이래 설정된 경점은 수차례 그 내용과 순서가 바뀌었고 표제어 또한 일정한 변천과정이 확인된다. 70년대까지 알려진팔경은 공식적인 팔경명이 없거나 고군산팔경으로 명명된 경우가 많았으며, 무산십이봉이 제외된 구성을 보인다. 또한 팔경의 경점이시기별로 제각각인 유형도 나타나는데, 따라서 선유팔경의 초기 형태는 인근 지역의 팔경을 참조하되, 고군산군도 특히 선유도의경승이 취사선택된 것이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현재와 같은 팔경 요소가 모두 충족되어 나타나는 2000년대 초의 선유팔경은 순번이 명시되어 있고 표제어가 네 글자로정제되어 있어 전통적인 팔경의 명명법을 따르고 있다. 이때 제1경이 망주폭포로 설정되고 선유낙조가 제8경으로 구분되기도 하였는데, 현재는 제1경이 선유낙조, 제2경이 망주폭포의 순서로 확정되었다. 이러한 경처 순서의 변화는 시기별 대표 경관자원이 달랐다는점을 잘 보여준다.
    셋째, 정체성과 완결성이 약한 점은 선유팔경에 내재된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무엇보다 설정주체와 설정시기가 모호하며, 선행되는옥구팔경, 임피팔경 등 인근 지역의 팔경사례를 답습한 흔적이 역력하다. 또한 경관대상에 대한 지식정보, 조망하는 시점의 명시, 역사․문화적 배경 등이 모호하여 정제되지 않은 불완전한 체계를 갖는 것으로 평가된다.
    넷째, 제1경 선유낙조는 전체 경점을 대표하는 것을 넘어 팔경 전체를 지배하는 주도적인 이미지를 갖는다. 일시적 경관인 낙조가제일의 경관이 될 수 있었던 것은 그것이 선유도의 아름다운 자연적 요소들이 융합하여 만들어진 경관의 총체로 인식되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선유낙조를 기점으로 선유도 및 고군산군도 전체 경관을 탐색해 보고자 하는 기왕의 인식을 활용하여, 다른 고군산군도경관자원의 가치 고양시킬 여지는 충분하다고 판단되며, 이를 위해서 각 경점의 정체성과 완결성을 강화하는 작업이 추가되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circumstances around the establishment of the Seonyu Eight Scenic Spots (仙遊八景) in Gogunsan Island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of each viewing point. The study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e scenic spots were first established in 1969, their content and sequences have been changed several times, and their names have also been changed to some extent. Until the 1970s, these scenic spots did not have official names for them and were often specified as ‘Gogunsan Eight Scenic Spots’, and excluded ‘the Musan Twelve Peaks (巫山十二峰)’. In addition, viewing points of the eight scenic spots varied across periods. This suggests that, for the early form of Seonyu Eight Scenic Spots, the picturesque scenery of Gogunsan Islands, and Seonyudo Island in particular, was chosen, while eight scenic spots in its vicinity were regarded.
    Second, the Seonyu Eight Scenic Spots of the early 2000s, which has all eight scenic spots of now, follows the nomenclature of the traditional eight scenic spots by specifying the sequence number with a refined name in four syllables. Its first scenic spot was Mangju Waterfall (望主瀑布) and its eighth scenic spot was Seonyu Sunset (仙遊落照); currently, the first scenic spot is Seonyu Sunset and the second scenic spot is Mangju Waterfall. Such change in the sequence of viewing points resulted from differences in representative landscape resources between the periods.
    Third, the lack of structure and finesse due to continuous changes is directed related to the identity issue of the Seonyu Eight Scenic Spots. Above all, it is unclear by whom and when Seonyu Eight Scenic Spots was established, and there are clear traces of following the eight scenic spots in the neighboring areas such as Okgu (沃溝) and Impi (臨陂)’s Eight Scenic Spots. Moreover, it is evaluated to have an unrefined, incomplete structure due to the lack of clarity in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about viewing objects, when to view, and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Fourth, the first scenic spot, Seonyu Sunset, has the image that dominates the entire Eight Scenic Spots. The temporary landscape, the sunset, became the best view because it was perceived as the entirety of the landscape created by the fusion of the beautiful natural elements of Seonyudo Island. Therefore, there is ample room for raising the value of other landscape resources of Gogunsan Islands by utilizing the existing perception of exploring the entire landscape of Seonyudo Island and Gogunsan Islands starting with Seonyu Sunset. This likely requires additional work to imbue each viewing point with identity and comple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전통조경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