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원불교의 응물론-소태산의 경외사상을 중심으로- (How to Respond to Things in the Anthropocene : Focused on the Thought of Reverence of Sot’aesan in Won-Buddhism)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24.03
26P 미리보기
원불교의 응물론-소태산의 경외사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99호 / 119 ~ 144페이지
    · 저자명 : 조성환, 허남진

    초록

    20세기 초에 한반도에서 자생적으로 탄생한 원불교는 당시를 ‘물질개벽’ 시대로 진단하고, 이에 대한 대응으로 ‘정신개벽’의 처방을 제시하였다. 그런데오늘날의 물질개벽은 기후변화와 생태위기라는 새로운 문제 상황을 낳았고, 학계에서는 기후변화 시대를 ‘인류세’로 명명하고 있다. 인류세는 물질이 개벽될 수 있는 조건으로 먼저 ‘지구’가 있다는 사실을 인류에게 자각시켜 주었다.
    물질은 지구라는 조건이 감당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만 개벽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해 준 것이다. 따라서 인간은 지구라는 한계 안에서 물질을 개벽시켜야 한다. 이것이 인류세의 정신개벽의 과제이다. 이러한 새로운 과제 상황에 대한 철학적 대응의 일환으로 동아시아의 응물론을 들 수 있다. 원불교의 창시자 소태산은 성냥을 훔친 도둑에 대해서 “그가 순간적으로 성냥의 권위에 대한 경외심을 잃었기 때문이다”라고 진단하였다. 여기에서 우리는 소태산이 자본주의적인 ‘소유’ 관계를 중심으로 사물을 보는 것이 아니라, 사물을대하는 인간의 태도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성냥과 같은사물에게도 ‘권위’가 있음을 인정하고 있다. 제인 베넷의 개념을 빌리면 성냥은 나름의 ‘권력’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소태산의 철학은 한편으로는 동아시아의 응물론 전통을 잇고 있으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현대철학의신유물론과 맞닿아 있다. 마지막으로 소태산은 인간이 자기중심적인 태도에서 벗어날 때 비로소 천지 만물에 대한 경외심을 회복하게 되고, 인간과 만물의 관계를 “강자와 약자의 약탈 관계”에서 “서로에게 은혜로운 공생 관계”로전환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이러한 태도의 전환이야말로 원불교가 인류세 시대에 던지는 개벽의 메시지일 것이다.

    영어초록

    Won -Buddhism, which has begun in the early 20th century on the Korean peninsula, defined the time as the era of “Great Opening of Matter” and proposed a prescription for “Great Opening of Spirit” as a solution. Today, however, the material development has given rise to new problems of climate change and ecological crisis, and some scientists have named the era of climate change as the Anthropocene. The Anthropocene has made mankind realize that there is Earth as the first condition for material development. It has made us realize that matter can only be developed up to the extent that the conditions of Earth can handle. Therefore, humans have to use matter within the limits of Earth. This is the task of “Great Opening of Spirit” in the Anthropocene. A philosophical response to these new challenges can be found in the theory of respond to things in East Asian philosophy. Sot’aesan, the founder of Wo n Buddhism, considered the thief who stole the matches as having “momentarily lost his reverence for the authority of the match.” Here we see that Sot’aesan does not see things in terms of capitalist “ownership” relationships, but rather focuses on human attitudes toward things. He recognizes that even objects like matches have “authority”.
    To borrow Jane Bennett’s concept, a match has its own “power.” In this regard, Sotae-san’s philosophy at once succeeds the East Asian tradition of the theory of responding to things, and resonates with new materialism of contemporary Western philosophy. Finally, Sot’aesan believed that only when humans are freed from anthropocentrism can they restore their reverence for Heaven, Earth and myriad things, and transform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all things from a “predatory relationship of the strong and the weak” to a “symbiotic relationship of mutual grace. This change of attitude might be the message of Wo n -Buddhism to mankind in the Anthropocen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