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의 속도와 공포의 체험―이현화의 「산씻김」의 경우 (Modern Experience in Speed and Fear ―Focused on , Yi Hyun-hwa's Drama)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0.09
24P 미리보기
근대의 속도와 공포의 체험―이현화의 「산씻김」의 경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현대문학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이론연구 / 42호 / 275 ~ 298페이지
    · 저자명 : 김지연

    초록

    본고의 목적은 이현화의 「산씻김」이라는 작품 속에서 근대의 속성인 ‘속도’가 어떤 방식으로 구현되는지를 밝히는데 있다. 그러기 위해서 이현화의 「산씻김」을 언급할 때거론되는 아르토의 ‘잔혹연극론’과의 관계를 먼저 파악해보았다. 이제까지는 이현화가 아르토에게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파악되었지만, 한 연출가에 의하면 그는 나중에 잔혹연극론에 대해 알게 되었고, 당국에 의해 오해가 생긴 것을 알 수 있었다.
    아르토와 이현화 사이의 유사성은 이 둘은 무대 위의 잔혹한 방식을 통해 ‘공포’를 환기시켰으며 이는 자신의 연극을 보기 위해 객석에 앉은 관객들에게 관객 자신이 처해있는 현실의 부조리함을 깨닫고 스스로 성찰하게 하는데 목적을 둔 것이다.
    「산씻김」 속에서 속도가 어떤 식으로 드러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있어, 「산씻김」의 배경인 고속도로 옆 사무실이라는 공간에 집중해보았다. 고속도로에서 차는 일정한 속도 이상의 빠르기를 가졌을 때에 정상적이라고 판단된다. 그러나 「산씻김」의 주인공인 여자는 그 속도를 잃은 정상성을 벗어난 상태이고 그렇게 때문에 공포의 공간인 낯선 사무실에 발을 딛게 된 것이다. 고속도로 자체가 곧바로 공포의 공간으로 바뀌는 것은 아니지만 고속도로에서 속도를 잃는 것은 공포를 촉발하는 공간과 상황으로 여자를 이끄는 것이다. 「산씻김」이 탈고가 된 것은 우리나라에 고속도로가 개통된 후 10여년이 지난 시점으로 고속도로가 빚어낸 폐해가 사회적 논의 주제가 되기엔 이른 시점이지만, 「산씻김」에서 고속도로가 공포를 촉발시킬 수 있는 장소로 설정된 것은 작가의 근대성에 대한 명민한 성찰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산씻김」에서 이현화는 관객들에게 속도의 완급과 함께 공포를 체험시키고 있다. 관객은 극의 시작부터 끝까지 ‘가속-정지’를 반복해서 경험하게 되며, 속도 변화의 폭이 클수록 관객이 공포를 느끼는 진동의 폭 역시도 넓어지도록 장치되어있다.

    영어초록

    This thesis is aimed to clarify representation of Speed as modern property in <San-Ssitgim>, Yi Hyun-hwa's drama. First, this paper asserted that <San-Ssitgim> is not affected by theory of Antonin Artaud's 'Theater of Cruelty'. Most of studies seized that Yi, Hyun-hwa's idea of drama was influenced on Artaud's theory. But this misunderstanding is result of inspection by national organ of consultation in 1980's. Playwriter Yi Hyun-hwa and director Chae, Yun-il, they had made understand Artaud's theory of ‘Theater of Cruelty’ after playing <San-Ssitgim>. However, there is a close resemblance between Yi Hyun-hwa's drama and Artaud's drama theory. They represented ‘fear’ by method of cruelty on stage. Spectators were forced to become aware of the real world's irregularity and self-reflection in this cruel performance.
    The next, this paper investigated that speed was expressed in <San-Ssitgim>. The play's scene was office by the side of expressway. The main character losed her speed on the road and let herself in the strange office where she would undergo terrible experience. Expressway itself was not terrible space. But what fail to catch speed in modern times let anyone fall into terrible space and fearful situation.
    In drama <San-Ssitgim>, spectators' speed experience was designed by playwriter. For example, drama was delayed in the opening scene. It make the audience impatient of open-timing. The play's progress speed was controlled of lighting effects. Sound effects and properties were making fear to the audience. The most of equipments of drama <San-Ssitgim> represented speed and fear in modern times. <San-Ssitgim> has represented modernity with this sense as a momentu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이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