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朝鮮時代 突山島 防踏鎭의 설치와 그 구조 (The Garrison of Bangdap in Dolsan island)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07.05
35P 미리보기
朝鮮時代 突山島 防踏鎭의 설치와 그 구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史學報 / 27호 / 9 ~ 43페이지
    · 저자명 : 변동명

    초록

    늦어도 신석기시기부터 인간이 거주하기 시작한 돌산도에 방답진이 설치된 것은 조선 중종대였다. 당시 돌산도는 공문서상의 무인도로서 행정적인 공백지대였다. 돌산도 개간을 둘러싼 성종대의 논의에서 알 수가 있는 일이었다. 고려 말 왜구가 창궐하자 空島政策으로 돌산현이 육지로 옮겨간 때문이었다. 돌산진이 돌산도가 아닌 여수반도에 위치하게 된 것도 그에 따른 일이었다. 돌산현이 寓居한 지역에 설치된 수군진이다 보니 돌산도와 무관한 곳임에도 돌산진이라 불리게 되었던 것이다.공식적으로는 그처럼 무인도이던 돌산도에 방답진이 설치되기에 이른 데에는 세 가지 정도의 요인이 작용하였다. 첫째, 여수반도에 자리한 돌산진의 효용성을 둘러싸고 문제가 제기되었다. 주위의 수군진과 거리가 너무 가까운 데다, 왜구를 퇴치하기에 그다지 유리하지 않은 위치라는 점 때문이었다. 둘째, 돌산도가 왜구의 주요 통로로서 해로상의 요충이라는 점이 부각되었다. 내륙 쪽으로 들어가 해로와 다소 떨어져 위치한 돌산진에 비해 훨씬 유리한 조건으로서, 돌산도가 새로운 수군진의 유력한 후보지로 떠오르는 배경이 되었다. 셋째, 그에 더하여 돌산도의 넓고 비옥한 농토를 개간하는 문제가 대두되었다. 섬 안의 농지를 개간하자면, 왜구의 잦은 출몰에 대비해야 하는 것이 필수적이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오랜 논의 끝에 육지의 돌산만호진을 권관진으로 격하시키는 것과 함께 돌산도에는 새로이 방답첨사진을 창설하기로 방침이 결정되었다. 중종 17년(1522) 무렵이었다.방답진은 전라좌수영 휘하의 蛇渡鎭管에 소속된 수군진이었다. 巨鎭이었음에도 소속 諸鎭을 거느리며 鎭管을 지휘하지는 못하였던 것이다. 諸鎭의 하나와 같은 취급을 받은 첨사진이었던 셈이다. 하지만 그것은 형식에 지나지 않았다. 실제에서는 사도첨사와 대등하거나 혹은 서열에서 앞서기도 하였다. 봄가을의 훈련 편제에서나 혹은 무장의 수준에서는 서로 비등하였으며, 직속상관인 전라좌수사의 인수인계나 혹은 風和風高期의 防戍 및 포폄 시의 열거 순서에서는 방답첨사의 서열이 사도첨사를 도리어 앞서는 게 보통이었다. 그리하여 평시는 물론 임진왜란과 같은 전란기에 전라좌수군을 구성하는 주요 수군진으로서의 역할을 다하였다.방답진 첨사의 휘하에는 대략 500명에서 700명가량의 軍官人吏를 포함한 수군이 배속되었다. 그들을 지휘하여 두 척씩의 戰船兵船과 4척의 挾船을 운영하는 편제였다. 관아 건물이 즐비한 水軍鎭城과 그 주위에는 공문서상 170호가 거주하였다. 다만 조선 후기로 갈수록 稅役의 수취와 같은 대민 행정업무의 비중이 커지면서, 군사는 대개 문서상으로만 존재할 뿐이었고 전함은 파손된 채 방치되기 일쑤였다. 연해안과 도서지역의 경제사회적인 변화 발전을 반영한 결과라고는 하지만, 해상에서의 외적방어라는 본연의 업무를 소홀히 하도록 이끈 잘못된 정책이 빚어낸 결과였다.

    영어초록

    Dolsan island, which people had begun to live on as early as Neolithic age, was designated as ‘hyŏn’, a local administrative unit, since Three Kingdoms till the early years of Chosŏn dynasty. The governing body of the island once had to move to the mainland because of the raids of Japanese marauders[waegu, 倭寇] at the end of Koryŏ dynasty. Later, it was incorporated to be a part of Sunchŏn county in the beginning of Chosŏn dynasty. This brought to the end its function as a solid township. And then after a century, the garrison of Bangdap was established in this island. It was part of the effort by the government to guard against Japanese pirates by constructing a garrison of the naval forces in Dolsan island, which had been almost deserted in administrative control since the end of Koryŏ dynasty.
    This garrison in Dolsan island was one of the important garrisons for the Navy Command of Left Chŏlla province in Chosŏn dynasty. The garrison of Bangdap kept many warships around and was armed heavily. The commanding officer of this garrison, who was under the leadership of Yi Sun-sin, Naval Commander, has been reported to have scored victories against Japanese naval forces that invaded Chosŏn dynasty at the end of the 16th century. Of course, we can assume that the victories may have been thanks to the garrison itself.
    The garrison of Bangdap was abolished in 1895 and left abandoned. The Reform of 1894[kabo kyŏngjang] brought that conclusion. When the garrison was disarmed, it not only had hardly a whole warship but was in a desperate financial need. That is, the garrison of Bangdap was totally different from what it looked like in the 16th century. In addition, the people in the fort island suffered from burdens of overtaxation by governo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史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