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태산 박중빈의 정신개벽 사상과 변혁적 중도주의 (Sotaesan Park Jung-bin's Thought of the Great Opening of Spirit and the Ideas of Transformative Middle Way)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24.09
31P 미리보기
소태산 박중빈의 정신개벽 사상과 변혁적 중도주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101호 / 9 ~ 39페이지
    · 저자명 : 허석

    초록

    이 글은 원불교를 창립한 소태산 박중빈의 정신개벽 사상을 변혁적 중도주의의 관점에서 새롭게 고찰한 것이다. 소태산은 근대 자본주의 문명의 도래와 식민지 현실을 배경으로 새로운 삶의 비전을 제시한 종교지도자요 사상가다. 식민체제에서 진행된 소태산의 종교운동은 철저하게 자력양성을 위주로 했고, 약자인 조선 민중들이 강자로 진급하는 길을 이소성대(以小成大)의 마음으로 밟아나갔다. 강자와 약자가 서로 진화하는 자리이타법이란 물질개벽으로 급격하게 발전되어가는 모든 바깥 문명을 바르게 사용하는 용심법(用心法)이며, 수양・연구・취사의 삼학을 병진하되 불의를 제거하고 정의를 실행하는 취사를 결실로 하는 마음공부는 중도적 실천을 가능케 하는 체제변혁의 공부길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소태산의 정신개벽 사상은 후천개벽이라는 더 큰 변혁의 과제, 즉 자본주의 세계체제를 변혁하는 목표 아래 전 생령을 구원하고자 했기에 일제하에서의 과격한 방법을 배제했을 뿐 그 노선은 분명 ‘변혁적 중도주의’라 할 수 있다. 사회적 변혁과 개인의 수행을 병진하는 공부길과 자리이타를 통해 영원한 강자로 진화하는 길을 제시한 소태산의 정신개벽 사상은 지금 우리의 분단된 현실을 변혁하는 중도적 실천노선으로 재평가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Sotaesan Park Jung-bin’s thought of the Great Opening of Spiri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deas of the Transformative Middle Way. As a religious leader and thinker, Sotaesan presented a new vision of life amongst the backdrop of the advent of modern capitalist civilization and the colonial occupation of Korea. Through his guiding principle, "With this Great Opening of matter, Let there be a Great Opening of spirit," he advocated the Great Opening of Spirit, proposing spiritual awakening and a new perspective of civilization to overcome the crises brought by material development. Sotaesan’s thought of the Great Opening of Spirit inherited ‘the Later Day’s Great Opening’(huch'ŏn kae-byŏk) of korea, yet sought to advance it by achieving spiritual enlightenment that corresponds to material civilization. He placed the Buddhist worldview at the core of his thought, engaging in a critical reflection and precise analysis of modern capitalist civilization to discern its problems and subsequently plan a new religious movement to address them. This is significant as it not only overcame Western metaphysical frameworks but also opened a globally meaningful path through its integration of Western scientific and rational thought. From the viewpoint of the Ideas of the Transformative Middle Way, Sotaesan’s thought can be assessed as having presented a moderate yet powerful path of transformation within the colonial context of Japanese rule. While distancing himself from extreme nationalism and radical independence movements of the time, his approach was not one of mere compliance but rather a strategic middle path aimed at greater transformation. Sotaesan emphasized ‘Developing Self-Power,’ gender equality, and economic independence, proposing a path for people to assert their own agency and strength. In particular, his ‘Developing Self-Power’ movement uniquely emphasized the integration of spiritual autonomy, physical self-sufficiency, and economic independence. Sotaesan’s thought and activities, grounded in the Buddhist Middle Way, aimed to overcome greed, anger, and ignorance through disciplined practice, while simultaneously striving to carry out justice in the real world. In conclusion, Sotaesan’s thought of the Great Opening of Spirit and the Ideas of the Transformative Middle Way served as a critical intellectual resource for the self-reliance and development of the Korean people during the challenging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His thought transcends simple nationalism to pursue universal human values, and its significance remains subject to ongoing reassessment in the present d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