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교신의 ‘조선산 기독교’: 그 의미, 구조와 특징 (Kim Kyo-shin's “Joseonsan” Christianity: its Meaning,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0.09
30P 미리보기
김교신의 ‘조선산 기독교’: 그 의미, 구조와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기독교와 역사 / 33호 / 163 ~ 192페이지
    · 저자명 : 전인수

    초록

    기존 연구를 통해 조선산 기독교의 대체적인 모습은 밝혀졌지만 아직도 연구자들 사이에서 조선산 기독교가 무엇인지에 대한 의견의 불일치가 존재한다. 그 중 조선산 기독교가 ‘조선적 기독교’를 의미하는지, 아니면 ‘기독교적 조선’을 의미하는지는 중요한 논쟁점이다. 필자는 ‘조선산’이라는 용어를 김교신이 어떤 의미로 사용했는지에 착안하여 조선산 기독교의 의미, 구조, 그 특징을 추적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연구의 논쟁점도 해소하고자 노력하였다.
    김교신은 ‘조선산’이라는 단어를 자신의 글에서 총 3번, ‘조선산 기독교’라는 단어는 단 한번 사용하였다. 그는 조선산을 조선에서 난, 조선에서 만들어진, 혹은 조선에서 배출된이라는 뜻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렇게 본다면 조선산 기독교도 조선에서 난 기독교, 조선에서 만들어진 기독교라는 의미를 갖는다. 이를 영어로는 ‘Christianity born in Korea’라고 할 수 있다. 조선산 기독교는 조선에서 산출된 기독교이기 때문에 다른 나라의 기독교와는 다른 특이성을 갖는다. 김교신은 이러한 특징을 ‘조선 김치 냄새나는 기독교’라고 표현하였다.
    조선산 기독교는 ‘성서와 조선’의 접맥, 혹은 ‘성서를 조선에’라는 구도를 가지고 있다. 그는 성서를 읽음으로써 기독교의 진리를 충분히 파악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이는 그가 ‘서구 기독교와 조선’이나 ‘서구 기독교를 조선에’라는 구도를 생각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는 성서가 말하는 ‘순수한 기독교’와 ‘소위 기독교’를 구분하였다. 김교신에게 있어 서구 기독교는 교회주의에 기형화한 기독교로서 기독교의 원형이 아니라 극복의 대상이었을 뿐이다. 서구 기독교를 비판적으로 인식했기 때문에 김교신은 서구교회의 조선 이식(移植)에도 반대하였다. 그는 조선교회가 미국교회로부터 경제적으로뿐만 아니라 정신적으로 자립하길 원했다. 그러나 김교신이 기독교 전통 모두를 거부했던 것은 아니다. 그는 초대 기독교, 예수의 기독교는 긍정하였고, 예수-바울-어거스틴-루터 등은 성서의 진리를 제대로 천명했다고 생각하였다. 우찌무라의 무교회주의에 대해서도 그는 본연의 복음과 그리스도의 복음 자체를 선양하였다고 높이 평가하였다.
    조선산 기독교는 크게 네 가지 정도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는 성서의 진리가 조선어로 표현된다는 점이다. 둘째는 조선의 환경, 즉 조선의 땅과 문화, 자연에 접맥되고 체화된 기독교라는 특징을 갖는다. 세 번째는 일상생활 속에서 경험된 성서적 진리를 조선의 것으로 쉽게 표현하는 기독교라는 특징을 갖는다. 마지막으로는 성서를 공부하고 강해하는 방식도 조선의 전통을 계승한 ‘구조선식’이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조선산 기독교의 모습은 「성서조선」에 잘 드러나 있다.
    결론적으로 조선산 기독교는 서구적 기독교의 이식 과정 없이 성서만으로 하나의 토착 기독교를 산출해 내는 또 하나의 ‘조선적 기독교’라고 평가할 수 있다. 그의 조선산 기독교는 성서를 통해 사도적 기독교를 조선에 구현하려는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처음부터 제도적 교회는 논의의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곧 그의 조선산 기독교는 성서와 조선이라는 두 축을 견지함으로써 교회라는 매체가 없이도 구현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이는 보수적 조선교회의 반대에 직면하기도 했지만, 일제말 민족과 신앙의 정체성 모두를 지켜 나갈 수 있는 유일한 구조였다.

    영어초록

    Studies on “Chosun (which Korea was called during the Chosun dynasty and the Japanese reign)-san Christianity” started to blossom in the mid-1990's. Since then, research has revealed what was the approximate structure of Chosun-san Christianity, but there still exists considerable disagreement among scholars on what Chosun-san Christianity really is. Whether it means “Koreanized Christianity” or “Christianized Korea” is still in dispute. This article focuses on demonstrating the meaning,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Chosun-san Christianity, especially delving into the term “Chosun-san” used by the Korean Christian leader of a non-church group, Kim Kyo-shin.
    In his writings, he used the term “Chosun-san” three times and ‘Chosun-san Christianity’ once. According to him, “Chosun-san” means “born in Chosun” or “made in Chosun.” In this sense, Chosun-san Christianity also has the meaning of Christianity born in Chosun or made in Chosun. Since Chosun-san Christianity indicates Christianity only originating in Chosun, it fundamentally differs from those in other cultures or countries. He expressed this idea explicitly with the phrase, “Christianity with Chosun kimchi odor.”His Chosun-san Christianity has a distinct structure. Its main idea is to connect the Bible with Chosun or give the Bible to Chosun. He believed that by reading the Bible Chosun people could encounter the truth of God. This also indicates that he didn't approve of Chosun intermingling with or being influenced by Westernized Christianity. He distinguished “so-called Christianity” from “genuine Christianity,” which the Bible talks about. For him, Westernized Christianity was distorted, manipulated by churchism. It already lost its authenticity and became something to overcome. Since he criticized Westernized Christianity, it was natural for him to refuse to transplant the Western church to Chosun. He wanted Chosun Christianity to be independent from the Western Church, especially the American Church, both financially and spiritually. However, he didn't deny all of Christian tradition. He acknowledged early Christianity. He thought Jesus, Paul, Augustine, and Luther were the ones who proclaimed the truth in a right way. He also thought highly of Uchimura's non-church movement for the way that he promoted the original Gospel of Christ through the Bible.
    Chosun-san Christianity has four distinct characteristics. First, the truth of the Bible should be expressed in the Korean language. Second, it is Christianity that is incarnated in Chosun's land, culture, and nature. Third, it is Christianity plainly expressed in the daily lives of Chosun people. Fourth, it exhibits a unique method of studying the Bible that is very similar to that of Seodang, a traditional education system of the Chosun dynasty. These four characteristics are well revealed in Sungseo Chosun, the Christian magazine Kim published.
    In conclusion, Chosun-san Christianity is one specific kind of Koreanized Christianity which didn't experience the transplant process of Westernized Christianity. Kim's Chosun-san Christianity’s unique structure was to fulfill genuine Christianity through the Bible, so western church was not taken into account from the beginning. In other words, since his Chosun-san Christianity maintained two axes, which are the Bible and Chosun, it could be completed without institutional church. In consequence, it had to confront the objection of the Chosun Church, but it was the only structure able to maintain the original identity and faith of Christianity under the Japanese reig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8 오전